연논 복기(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55625
1-1
(다) 인종을 넘어 보편적 인류애적 혁명정신 강조
희생을 불사한 의지 보여줌
(가) 칸트 : 내면적 이성에 따른 도덕준칙 수립 및 자율적 이행
->(다)화자는 스스로 이성에 따른 '보편적 인류애'라는 보편적 도덕준칙 수립 후, 외부의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실천하는 중
(나) 유전자 관점 : 모든 인간의 행위는 유전자로 환원됨
그럼에도 주어진 상황에서 해야할것을 자율적으로 선택 후 삶을 개척할 수 있다
->(다)화자를 비롯한 혁명가들의 인류애, 나아가 혁명도 결국 유전적 요인임
그럼에도 그들은 인류애 실현을 자신들이 해야 할 의무로 인식하고 삶을 개척해 나감
1-2
A : 도덕적 행위는 감정으로부터 유래됨
여기서 감정은 전인류가 공유하는 보편적 감정. 이성은 그저 도덕이 행위로 실현되는 과정을 중개하는 보조적 도구일 뿐임.
(가) : 도덕적 행위는 이성으로부터 유래됨
보편적 이성으로 전인류가 합의할 수 있는 도덕준칙 수립.
감정은 이러한 이성의 작용을 방해하므로 준칙에 의하여 이성의 통제 하에 놓여야 함.
비교 : A는 도덕 행위의 발현에 있어서 도덕>이성
(가)는 이성>도덕
공통점은 이성과 감정 모두 인류의 보편적 속성. 더불어 도덕행위는 주체가 스스로 일구어 나가는 것임
2-1
(가)-> 표 1 A,B
B보다 A의 봉사시간이 많음. 따라서 B보다는 A에 도덕준칙을 준수하는 학생이 더 많을 것.
(나)->표 1 A,B
A에 비하여 B는 봉사시간보다 자기개발시간이 많음.
이는 주체가 해야 할 일을 스스로 선택, 삶을 개척하는 과정.
(가)-> 표 2
정책의 변화가 생김.
A 전반적으로 봉사시간 감소=필요성이라는 자연적 경향성 극복 못한 학생들 존재.
동시에 하위 집단이 상위 집단보다 더 많이 줄어들은 것은, 하위 집단에서 자연적 경향성의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난 것임.
이는 그림1에서 하위 집단의 즐거움이 증가한 것과 관련됨.
(나)->표 2
B 집단 학생들은 A집단 전체보다 즐거움이 높음.
이는 도덕에 얽매이지 않고 봉사를 하거나 자기개발을 하는등 삶을 개척해 나가는 과성에서 기인.
2-2
P Q 값은 표로 나타내서 도출
사차함수 최댓값은 주어진 범위에서 X=1 일때임.
(나로 해석.
정부는 100% 역량으로 정책을 시행할 것이므로 이때 상황만 보면 됨.
55%의 활동 참여 인원 중 45%는 이타적 기질 타고남.
그다음은 10%는 다른 유전적 요인으로 행동했다는 해석인데... 무리수같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번에 국어랑 사탐 반영비 올랐다던데 수학 2 중반~컷 영어2 탐구 만점이나 1틀...
-
“비트코인 가능”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역시 관악 구석탱이가 조용하고 좋아
-
씨발 좆같은 물가
-
벌써 수능이 한 달밖에 남지 않았군요. 요새 날씨가 굉장히 급격하게 추워지죠? 이런...
-
너 그러다 치인다
-
공대가지마라 7
또 봐...?
-
두 줄 긋고 썼는데 결격 아니겠지 까맣게 칠한 건 받침 틀린 거 주의사항 암만 봐도...
-
129일차
-
옛날엔 그래도 천박함 한 스푼에 박식함 한 스푼 기만 세 스푼에 그래도 볼만 했는데...
-
인문 연논 후기 22
2-1이 관건이겠네요 나머지 셋은 평이해서 잘 풀었는데 2-1이 영 찜찜하네요 저는 논술 연대 논술
-
방가
-
걍 n제를 실모화 시킨건가
-
15 22 28 29 30보다 도형이 더 빡센 것 같은
-
ㅆㅂ 3-2 2009로썼네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5-2 답은 틀렸는데 부분점수...
-
대단하다 쿠쿠리...
서강대 분들 왤케 잘하시지
두렵다 국어 따잇 당해버렸!!
(경희사자)
앗,,, 잘못봤네요...ㅠㅠ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기도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