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심할 때 읽을 수 있는 중세국어 이야기(교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48614
15세기 공시태의 음운 변동 중 교체에 대해 알아보자. 15세기는 후기중세국어(Late Middle Korean)로 분류되므로 LMK라는 약자를 사용함.
교체 내지는 대치라 하는 현상을 정리해 보자.
1. 비음화
LMK의 자료로 확인되는 비음화는 ‘ㄴ’으로의 비음화밖에 보이지 않는데 ‘ᄃᆞᆫ니다가’와 ‘ᄃᆞᆫ녀’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ᄃᆞᆮ니며’, ‘ᄃᆞᆮ녀’처럼 비음화가 반영되지 않은 표기도 존재했다. 중세국어는 이처럼 음운현상을 표기에 반영하기도 그러지 않기도 하였는데 '문노라'와 '묻ᄂᆞᆫ'처럼 쓰는 게 그 예다. 또 ‘놓- + -ᄂᆞᆫ → 논ᄂᆞᆫ’, ‘딯- + -ᄂᆞᆫ → 디ᄔᆞᆫ’, '븥-+-ᄂᆞᆫ>븓-+-ᄂᆞᆫ>븐ᄂᆞᆫ'처럼 어간 끝의 ‘ㅎ'이나 'ㅌ'이 ‘ㄷ'으로 바뀌고 ‘ㄴ'에 동화되기도 했다.
2. 경음화
현대국어에선 음절 말 ‘ㄱ, ㄷ, ㅂ' 뒤의 평음은 필수적으로 경음화되지만 중세국어에선 그러한 표기가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경음화가 안 일어났던 것인지, 아니면 표기법에서만 경음화를 반영하지 않은 것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중세국어 자료에서 확인되는 경음화는 관형사형 어미 아래 예와 같은 ‘-ㅭ’ 뒤에서 일어나는 경음화와 ‘녛- + -ᄉᆞᆸ고 → 녀ᄊᆞᆸ고’와 같은 ‘ㅎ'과 ‘ㅅ'의 결합에 의한 경음화뿐이다. 관형사형 어미 뒤의 경음화는 두 가지 표기가 있었지만 모두 동일하게 발음됐을 것이다.
디니ᇙ 사ᄅᆞ미 디닐 싸ᄅᆞ미
몰로ᇙ 거시라 몯ᄒᆞᆯ 꺼시라
이시ᇙ 저긔 받ᄌᆞᄫᆞᆯ 쩌긔
닐오ᇙ 딘댄 닐올 띤댄
호ᇙ 배 몯ᄒᆞᆯ 빼니
3. 반모음화
현대국어와 마찬가지로 /j/ 반모음화와 /w/ 반모음화가 있는데 전자의 경우 현대국어와 달리 /j/가 다른 모음 뒤에 올 때도 일어났다.
3-1 모음 앞에서의 /j/ 반모음화
활용:
1. 그리- + -어 → 그려
2. 즐기- + -어 → 즐겨
3. ᄭᅮ미- + -운 → ᄭᅮ뮨
4. 스치 - + -옴 →스춈
단모음 ㅣ가 모음 어미와 만날 때 반모음화를 겪었다. 그런데 반모음화는 필수적인 현상이 아니었고, ‘디- + -어 → 디여', ‘서리- + -어 → 서리여', ‘자피- + -어 → 자피여'처럼 반모음 첨가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3-2 모음 뒤에서의 /j/ 반모음화
주격 조사: 부텨 + 이 → 부톄
서술격 조사: 젼ᄎᆞ + 이 → 젼ᄎᆡ라
피사동 접사: 셔- + -이 → 셰-
부사 파생 접미사: 오라- + -이 → 오래
다만 피사동은 중세국어에서 공시적인 결합인지의 여부가 문제이고, ‘쓰- + -이 → 쓰이-’처럼 반모음화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도 종종 보인다.
3-3 /w/ 반모음화
오- + -아 → 와
일우- + -어 → 일워
뫼호- + -아 → 뫼화
용언 어간 말음과 어미 ‘-아/어'가 결합할 때만 일어났다. 또 ‘오/우'가 속한 음절이 모음으로만 되어 있거나 후음으로 시작할 경우에만 이러한 반모음화가 일어났다. 그러니까 현대국어에서는 ‘보다'나 ‘쏘다'도 ‘봐’, ‘쏴'와 같이 반모음화가 일어나지만 중세국어에서는 그러지 않았단 얘기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회문화 질문 7
여성가구의 절대적 빈곤율은 19%입니다. 따라서 전체 여성 가구 소득 중 19%의...
-
캬캬
-
옛날이 계속 찾던 노래 찾았당 ㅎㅎ 기분 째지네 한동준-사랑의 서약
-
완전히 아는게 아니라 어설프게 알면 나머지부분이 망상으로 가득참 내 학창시절이 그랬음
-
오늘의공부 1
국어:독서연계3지문+문학연계3지문+비연계독서2지문 영어;하프모 1개 어법...
-
수학 n제 0
2등급 초반이고 1등급 목푠데 배워갈 거 많은 n제로 지인선이랑 설맞이중에 뭐를 풀까여
-
2024 수능 물리학1 17번 문제 변형입니다 정답은 4 4입니다 제 풀이에 오류가...
-
명사절 부사절 관형사절이 뭔지 몰라서 찍었는데 틀림뇨
-
그 중 진짜 친구는 몇 명이에요?
-
죽은 와이프 생각하다가 새여친 생각하는 새낀 진짜 ㄹㅈㄷ
-
싱겁다 강k 사문 << ㄹㅇ 모래주머니 ㅆㅅㅌㅊ
-
9덮 수학 10
수능 때도 제발,,
-
둘 다 풀 시간이 안 될 것 같아여용 대학겨 다녀서 ㅠ 뭘 풀까요
-
대체왜?
-
지금까지 한게 뭐지
-
그래서 논리학도 지들꺼라고 해버림 원래 논리학은 국어껀데
-
연논 오후 0
ㅍㅇㅌ입니다
-
지듣노 3
-
좋지 않나요... 전 이 쌤 강의를 대한민국 모든 수험생들에게 필수 강의로 지정해야...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