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윤성훈 실모 이거 오류인가 좀 봐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31685
11번의 ㄴ 선지에 대해서만 질문드립니다.
- 우선 ㄱ.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ㄱ은 중위 소득 -> 상대적 빈곤 관련 , ㄴ은 최저 생계비 -> 절대적 빈곤 관련 입니다.
-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것은 상대적 빈곤과 절대적 빈곤, 즉, 객관적 빈곤의 공통 특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 그런데 해설지에서 ㄴ. 에서 말한 '상대적 박탈감' 은 개인의 감정적 영역으로, 주관적 빈곤에 해당한다고 하였습니다.
- 따라서 해당 선지가 오답이라고 나와있는데,
1.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에도 해당하는 특징이긴 하지만, 객관적 빈곤에도 해당하는 요소입니다.
2. 따라서 ㄴ. 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가구는 갑국에서 ㄱ, ㄴ 모두에 해당하는 국가이므로
ㄱ, ㄴ 가구 각각의 소득은 400달러(중위소득 800의 50% 미만) 미만, 200달러 미만 라고 봐야하지 않나요?
이러한 이유로 ㄴ은 옳은 선지라고 생각 들어 질문 드려요.
--
ㄴ 선지 보자마자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거면 객관적 빈곤 주관적 빈곤 모두의 특징이니까
동그라미 ㄱ, 동그라미 ㄴ 가구 모두에 해당하는 특징이라 판단했고
그 가구의 소득들은
상대적 빈곤의 경우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400달러 미만,
절대적 빈곤의 경우 최저생계비인 200달러 미만이기 떄문에
ㄴ은 정답이라고 생각했음.
그런데 해설지를 보니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에 해당한다는.. 말만 적혀있어서 왜 그런지 궁금한 상황.
윤성훈 2025 적중예감 FINAL 실전 모의고사 9회 11번 문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거국 목표인 07입니다 충남사람이면 경북,부산대 갈 수 있어도 그냥 충남대...
-
이해원s1 2
작년보다 쪼메 어려워진거 같은데 내가 못해진건가
-
나나 다른 사람이나 뭐 백날 말을 해도 똑같은 소리만 주구장창 설명을 해줘도 주구장창 그냥 포기함ㅇ
-
칼럼 파티다ㅏ 0
-
와 몸매 미쳤다 6
겠냐고요
-
오 신기하네요
-
하아..
-
(질문) 수학 사설이 어려우면 어떤 걸 보면 좋을까요? 1
질문할 시간에 한 문제라도 더 푸는게 정배겠지만... 사고력 점검이 필요한 것...
-
수학 모의고사를 푸는 학생들은 막혔을 때 대처하는 법을 기준으로 크게 두 부류로...
-
아니 또 무슨 ai하고 대화하려면 공부를 해야된다 이런말 할거같은데 그거는 애초에...
-
안녕하세요, 수능 국어를 가르치는 쑥과마늘입니다. 오늘은 2021학년도 9월...
-
4회차 말도 안되는 난이돈것같은데 제가 못하는건가요 ..
-
[공부글] 3년 입시동안 본인의 수능 시험지 운용 방법 정리 10
소개 -23,24 정시 수도권 약학과 합격 -25수능 건수의 안정, 지방치 적정,...
-
맛있겠노
-
수1 수2 미적 하루에 3개 하루치씩 다 풀만함?
-
정치적, 제도적 이슈와 관련된 메타가 있을때마다 추가됨
-
아침부터 택배기사한테 전화오고 전화 안 받으면 반송한다고 난리나서 확인해봤는데...
-
9모끝나고랑 비겨하면 집중력이 빨리 떨어지는거같은데 너무 많이남아서 그런가….
-
수학 고민시간 1
수분감 하는 중인데요 한 문제 풀 때 고민 얼마나 하시나요? 이제 처음 푸는 거에요
-
산책하다 3
준네 멀리왔음 여기 어디여;
-
흠 3
흠
-
정말이지 무시무시한 우연의 일치가 아닐수없습니다..
-
아따 날씨좋다 2
ㄷㄷ 이쁜이 발견
-
님들은 가족 아닌 여자애기 옷 갈아 입히는 거 가능함? 7
그럴 일은 보통 없겠지만 가족 아니고 부모님 지인 분의 애기 같이 걍 남인 3~4살...
-
운동하던 친구가 갑자기 대학가겠다며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전부 3등급이면 어디...
-
오늘은 조기퇴근 0
외출했다 돌아가기엔 시간 낭비가 좀 있어서
-
국어 유기 4
3모 국어 원점수 84인데요 수학이 4가 떠서 4월 한달동안 수학만 하려고 하는데...
-
개념 다 돌렸고 문제가 적은 과목이라길래 학평, 평가원 다 뽑아서 풀려는데 법과...
-
미친짓?
-
고속기준 시립대전전컴이 찐초고 중앙대 공대는 노랑인데 인문이면 고대 가정교육과 연초...
-
지금까지 살면서 영어 과목은 강의를 들어본 적이 없는데 항상 2등급 안정 성적을...
-
프리뷰 테스트 보고 모의고사 형태 시험지에다가 필기할 거 필기하는 거임? 큐이디 본...
-
뭐 때문인거지 트럼프로인한 전세계적 현상인가
-
메미 ㅇㅈ 4
메이드 미쿠 ㅇㅈ
-
철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천문학과 생명과학과 중에 하나 가기
-
오늘 공부한다리 2
삘 옴
-
왜 나는 저 사람이 죽도록 싫은지 아직 이해할 수 없는 감정이다
-
어제 현금 많이 달러화 해뒀었는데.. 달콤하다
-
컴공보다는 나으려나..
-
필요하긴한데 하는게나으려나
-
수특독서 심리철학의 물리주의적 이론들에서 기능주의? 0
심리철학의 물리주의적 이론들중 기능주의를 쉽게 설명해주실수 있는 분 계실까요?...
-
가능할까요 4
학교와서 1시간 40분동안 오르비만 했는데 지금부터 공부하면 서울대 가능할까요
-
차이점은,,, 진짜 금을 연성해낸다는 것..
-
나
-
씨팔........................
-
어느정도 유베인 학생이랑 노베에 가까운 학생을 동시에, 아무 상처 안 주고...
-
고유시간 팽창시간 구분 확실히 시키고 동시성의 상대성 스킬(이번 3모 특상 5초컷...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은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할 '수' 있는 거지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에 해당한다고 해서
상대적 박탈감을 반드시 '느끼는' 게 아닙니다.
ㄴ 선지에는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가구를 물어보고 있으며
이건 주관적 빈곤에 해당하고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에 대한 통계 자료만 보고 알아낼 수 없습니다.
해설이 맞습니다.
+빈곤이 주관적빈곤이랑 객관적빈곤이 있는데 전자가 상대적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이고 후자는 객관화된 기준에 의해서 분류하는거에요 객관적빈곤에 절대적빈곤과 상대적빈곤이 있고 둘 다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어요
아하 그렇군요.. 그렇다면 주관적 빈곤은 항상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한다고 봐야하는건가요..?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을 ‘주관적으로‘ 빈곤하다고 부르는거에요 정확히는 주관적 빈곤이 유발하는게 아니라 그런 사람들이 주관적 빈곤층에 해당해요~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사용한 개념 교재에서는 주관적 빈곤과 객관적 빈곤 모두 상대적 박탈감을 발생시켜서 사회 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 정도 까지만 나와있어서 좀 혼란스러웠는데 답변 보고 정리하겠습니다! 좋은 밤 보내세용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을 주관적 빈곤으로 부른다는 설명은 다소 비약입니다.. 댓글 작성자분이나 글 작성자분이나 다 아셨으면 좋겠는데, 단순히 자신을 빈곤하다 느끼는 주관적 빈곤과 사회의 다른 구성원과 비교해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상태에 있다고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은 엄연히 다른 개념입니다. 개인이 느끼는 감정이라는 점에서 상당 부분 관계가 있지만요. ‘내가 쟤보다 못 벌어서 속상해’와 ‘나 돈 못 버는 것 같아‘가 이퀄 관계에 있다고 보긴 어렵겠죠? ^^ 그냥 상대적 박탈감은 누구든, 돈을 얼마나 벌든 느낄 수 있다고 납득하시고 넘어가시는 게 가장 마음 편하실 겁니다~
아하 그렇군요 그냥 그정도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안 그래도 윤성훈 선생님 Q&A 게시판에 이 질문을 남겼는데, 답변이 아래 글 정도여서 되게 의아했거든요.. 특히 두 세번째 줄에서 완전히 상대적 박탈감 = 주관적 빈곤만의 영역 이라고 말씀하신 부분이요. 18일에 9회 모의고사 해설 올라온다 하니 한 번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성훈 사회문화 연구실입니다.
우선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의 영역인데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은 객관적 빈곤의 영역이므로 둘의 범주가 다릅니다.
절대적 빈곤에 있는 상태여도 자신이 빈곤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고
마찬가지로 부유한 사람이더라도 스스로 빈곤하다고 생각한다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상대적, 절대적 빈곤은 객관적 빈곤의 영역이기는 하지만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 모두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이 항상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한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해당 문제에서도 결국 상대적 빈곤과 절대적 빈곤에 대해서만 논하고 있으므로
이들이 실제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는지 여부는 알 수 없어 틀린 선지입니다.
---
확실히 해설지랑 완벽히 동일한 얘기만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좀 의아했네요..
ㄴ이라는 명제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중에 소득이 400달러 보다 큰사람이 있을수있다는 합당한 반례가 있는데 왜 맞다고 생각하는거임?
그렇게도 이해해 볼 수 있는 선지네요.. 그렇다면 ㄴ이 틀렸다는건 이해 가능합니다. 다만, 해설지에 적혀있는 내용이,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의 영역이다'는 내용으로만 적혀있기 때문에 의아했어요. 차라리 해설지에 작성자님이 써주신 댓글의 내용처럼 반례를 들어 작성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윤성훈 Q&A 답변 게시판에
우선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의 영역인데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은 객관적 빈곤의 영역이므로 둘의 범주가 다릅니다.
라고 답변을 달아주셔서 옳지 못한 해설이라는 생각도 들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