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윤성훈 실모 이거 오류인가 좀 봐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31685
11번의 ㄴ 선지에 대해서만 질문드립니다.
- 우선 ㄱ.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ㄱ은 중위 소득 -> 상대적 빈곤 관련 , ㄴ은 최저 생계비 -> 절대적 빈곤 관련 입니다.
-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것은 상대적 빈곤과 절대적 빈곤, 즉, 객관적 빈곤의 공통 특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 그런데 해설지에서 ㄴ. 에서 말한 '상대적 박탈감' 은 개인의 감정적 영역으로, 주관적 빈곤에 해당한다고 하였습니다.
- 따라서 해당 선지가 오답이라고 나와있는데,
1.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에도 해당하는 특징이긴 하지만, 객관적 빈곤에도 해당하는 요소입니다.
2. 따라서 ㄴ. 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가구는 갑국에서 ㄱ, ㄴ 모두에 해당하는 국가이므로
ㄱ, ㄴ 가구 각각의 소득은 400달러(중위소득 800의 50% 미만) 미만, 200달러 미만 라고 봐야하지 않나요?
이러한 이유로 ㄴ은 옳은 선지라고 생각 들어 질문 드려요.
--
ㄴ 선지 보자마자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거면 객관적 빈곤 주관적 빈곤 모두의 특징이니까
동그라미 ㄱ, 동그라미 ㄴ 가구 모두에 해당하는 특징이라 판단했고
그 가구의 소득들은
상대적 빈곤의 경우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400달러 미만,
절대적 빈곤의 경우 최저생계비인 200달러 미만이기 떄문에
ㄴ은 정답이라고 생각했음.
그런데 해설지를 보니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에 해당한다는.. 말만 적혀있어서 왜 그런지 궁금한 상황.
윤성훈 2025 적중예감 FINAL 실전 모의고사 9회 11번 문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과외하시는분 2
여쭤볼게 있는데 쪽지 가능하신 분ㅠㅠㅠ 간절합미다...
-
세지 질문 0
매년 통계나 수치가 조금씩 바뀌는걸로 알고있는데 마더텅같은거 풀어도 되나요..?...
-
영어 노베 커리 0
영어 완전 쌩노베라서 이명학t 신택스 들어봤는데 살짝 어려운 것 같은데 유베가는 길...
-
근데 오르비 과외시장 사이트에서 과외구하면 옯만추가능성있지않나 3
방금 떠오른 생각이다.
-
오른쪽이 나(남자)
-
안 풀리는 3점문제 고민시간 몇 분정도로 하는게 적당할까요?
-
하트브레이커 4
난도 도랏네..
-
종착점 0
경한 26 설인문 26 고언어 26 연국문 26 한파경 26 성글경 26 공사 78
-
너무 듣기 볼륨 커서 듣기 힘들지만 깐 거 수1은 계속 이어가고 친구가 한완수 안...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5천원 커피값에 미리 하나...
-
아닌가 좀 쌀쌀한거 같기도
-
야 야 야 5
뭐하냐 너가 나보다 미드라인에 대해서 관리 잘해? 왜 와서 밀고 가는 거야
-
'내란죄의 구성과 성립요건' 예시: 계엄 판례: 20250404 출제위원: 리짜이밍 주석
-
인스타에 자꾸 장력 내분이라는 희한한 단어를 팔아먹으려는 사람이 있는데 5
대체 저런 게시물이 왜 좋아요 600 ㅋㅋㅋ
-
나 설산데 뿌지직뽕뿌지직 소리를 들려줄 순 없는거잖아 살려줘
-
할x스 0
할리스커피 신메뉴 몬스터 아메리카노 <<<<< 사지마셈 개노맛
-
빨리수능보고싶다 1
-
다시는 안산다
-
abc 과목이고 수능도 물지러라 시간을 많이 쓰긴 좀 그런데 그래도 A는 받아야...
-
뻘소리긴한데 6
ㄹㅇ 좀비아포칼립스(과학적으로 영양실조~~제외) 뛰어다니는 좀비같은거로 나라...
-
전공과 관련해서 내가 존경하는 인물을 쓰는 과제.. 내가 존경하는 사람들은 딱히 내...
-
작년 이맘때쯤엔 0
이쁜이랑 석촌호수에 갔더라죠 올해는 수학이랑 데이트 오히려좋ㅇㅏ ㅋㅋ
-
차단 4
-
지브리 ㅇㅈ 4
나 왜이렇게 ㅈ같이 나옴 ㅠㅠ
-
커여운 새끼 참새도 보고 벚꽃도 보고 예쁜 목소리로 얼음 적게 달라하는 여성분도 있었어 낭만이다
-
수렴과 발산 0
극한상쇄!
-
ㄹㅇ왜지 이제 기억남
-
날씨 진짜 좋다 한강공원이 근처인데 놀러갈까
-
서울/인접 수도권 지역에서 추천부탁드려요
-
어땠음?
-
뭔 이때 사설킬러들이 지옥수준이냐
-
옛날 백성민자가 이마에 문신 새겨진 노비였다는데 저 또한 똥글을 쓴 죄로 이름에...
-
학교다니기 개싫고 걍 때려치고싶은데논술반수 어떻게 생각하시나요숭실공대쪽이고 이번...
-
[교육부/KEFA] 2025년 제15회 e-ICON 대회 중·고등 참가자를 모집합니다(~5/30 17시까지) 0
한국디지털교육협회(KEFA)에서 e-ICON 세계대회 국내 및 해외 참가자를...
-
루시드드림 성공하신 분 쪽지주세요
-
사탐 과목고민 0
사문+ 나머지 하나가 고민인데 열심히 공부했을때 변수?없이 안정적으로 1맞을수 있는 과목이 뭘까요
-
그렇다네여...모고 평균 백분위 98들이 머리싸맨 결과입니다
-
망할 세상아 어서 망해라
-
이번역은 한남역입니다 11
내리실 문은 없습니노
-
팟타이 먹고싶다 2
사주세요
-
과제하기싫어 3
ㅋㅋ
-
이름에 딱 걸맞게 살고 싶은데
-
* 자세한 문의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연락 바랍니다....
-
주어진 영어 지문을 읽고 난 후 해석 안되는 부분만 파악하고 세부해석본만 보면서...
-
시대인재북스에
-
오늘 뭔가 잘 되는 것 같기도 하고
-
시즌 2 시즌3 가격 아시는 분 계신가요?? 알려주세요 ㅜㅜ
-
26수능 참전 선언 18
내년이면 졸업이지만 꼭 하고 싶은 일이 생겼습니다.. TEAM화미물화 합류 선언합니다..
-
맨날 헷갈림… 서술자는 글을 쓰는 사람이잖아. 1인칭이면 서술자가 곧 주인공인거고...
-
여기서 저 접선을 구하고싶은데 잘 모르겠어요ㅠㅠ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은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할 '수' 있는 거지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에 해당한다고 해서
상대적 박탈감을 반드시 '느끼는' 게 아닙니다.
ㄴ 선지에는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가구를 물어보고 있으며
이건 주관적 빈곤에 해당하고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에 대한 통계 자료만 보고 알아낼 수 없습니다.
해설이 맞습니다.
+빈곤이 주관적빈곤이랑 객관적빈곤이 있는데 전자가 상대적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이고 후자는 객관화된 기준에 의해서 분류하는거에요 객관적빈곤에 절대적빈곤과 상대적빈곤이 있고 둘 다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어요
아하 그렇군요.. 그렇다면 주관적 빈곤은 항상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한다고 봐야하는건가요..?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을 ‘주관적으로‘ 빈곤하다고 부르는거에요 정확히는 주관적 빈곤이 유발하는게 아니라 그런 사람들이 주관적 빈곤층에 해당해요~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사용한 개념 교재에서는 주관적 빈곤과 객관적 빈곤 모두 상대적 박탈감을 발생시켜서 사회 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 정도 까지만 나와있어서 좀 혼란스러웠는데 답변 보고 정리하겠습니다! 좋은 밤 보내세용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을 주관적 빈곤으로 부른다는 설명은 다소 비약입니다.. 댓글 작성자분이나 글 작성자분이나 다 아셨으면 좋겠는데, 단순히 자신을 빈곤하다 느끼는 주관적 빈곤과 사회의 다른 구성원과 비교해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상태에 있다고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은 엄연히 다른 개념입니다. 개인이 느끼는 감정이라는 점에서 상당 부분 관계가 있지만요. ‘내가 쟤보다 못 벌어서 속상해’와 ‘나 돈 못 버는 것 같아‘가 이퀄 관계에 있다고 보긴 어렵겠죠? ^^ 그냥 상대적 박탈감은 누구든, 돈을 얼마나 벌든 느낄 수 있다고 납득하시고 넘어가시는 게 가장 마음 편하실 겁니다~
아하 그렇군요 그냥 그정도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안 그래도 윤성훈 선생님 Q&A 게시판에 이 질문을 남겼는데, 답변이 아래 글 정도여서 되게 의아했거든요.. 특히 두 세번째 줄에서 완전히 상대적 박탈감 = 주관적 빈곤만의 영역 이라고 말씀하신 부분이요. 18일에 9회 모의고사 해설 올라온다 하니 한 번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성훈 사회문화 연구실입니다.
우선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의 영역인데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은 객관적 빈곤의 영역이므로 둘의 범주가 다릅니다.
절대적 빈곤에 있는 상태여도 자신이 빈곤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고
마찬가지로 부유한 사람이더라도 스스로 빈곤하다고 생각한다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상대적, 절대적 빈곤은 객관적 빈곤의 영역이기는 하지만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 모두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이 항상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한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해당 문제에서도 결국 상대적 빈곤과 절대적 빈곤에 대해서만 논하고 있으므로
이들이 실제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는지 여부는 알 수 없어 틀린 선지입니다.
---
확실히 해설지랑 완벽히 동일한 얘기만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좀 의아했네요..
ㄴ이라는 명제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중에 소득이 400달러 보다 큰사람이 있을수있다는 합당한 반례가 있는데 왜 맞다고 생각하는거임?
그렇게도 이해해 볼 수 있는 선지네요.. 그렇다면 ㄴ이 틀렸다는건 이해 가능합니다. 다만, 해설지에 적혀있는 내용이,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의 영역이다'는 내용으로만 적혀있기 때문에 의아했어요. 차라리 해설지에 작성자님이 써주신 댓글의 내용처럼 반례를 들어 작성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윤성훈 Q&A 답변 게시판에
우선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의 영역인데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은 객관적 빈곤의 영역이므로 둘의 범주가 다릅니다.
라고 답변을 달아주셔서 옳지 못한 해설이라는 생각도 들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