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윤성훈 실모 이거 오류인가 좀 봐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31685
11번의 ㄴ 선지에 대해서만 질문드립니다.
- 우선 ㄱ.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ㄱ은 중위 소득 -> 상대적 빈곤 관련 , ㄴ은 최저 생계비 -> 절대적 빈곤 관련 입니다.
-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것은 상대적 빈곤과 절대적 빈곤, 즉, 객관적 빈곤의 공통 특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 그런데 해설지에서 ㄴ. 에서 말한 '상대적 박탈감' 은 개인의 감정적 영역으로, 주관적 빈곤에 해당한다고 하였습니다.
- 따라서 해당 선지가 오답이라고 나와있는데,
1.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에도 해당하는 특징이긴 하지만, 객관적 빈곤에도 해당하는 요소입니다.
2. 따라서 ㄴ. 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가구는 갑국에서 ㄱ, ㄴ 모두에 해당하는 국가이므로
ㄱ, ㄴ 가구 각각의 소득은 400달러(중위소득 800의 50% 미만) 미만, 200달러 미만 라고 봐야하지 않나요?
이러한 이유로 ㄴ은 옳은 선지라고 생각 들어 질문 드려요.
--
ㄴ 선지 보자마자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거면 객관적 빈곤 주관적 빈곤 모두의 특징이니까
동그라미 ㄱ, 동그라미 ㄴ 가구 모두에 해당하는 특징이라 판단했고
그 가구의 소득들은
상대적 빈곤의 경우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400달러 미만,
절대적 빈곤의 경우 최저생계비인 200달러 미만이기 떄문에
ㄴ은 정답이라고 생각했음.
그런데 해설지를 보니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에 해당한다는.. 말만 적혀있어서 왜 그런지 궁금한 상황.
윤성훈 2025 적중예감 FINAL 실전 모의고사 9회 11번 문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보는 것만으로 이해가 너무 안돼서 적으려 하는데 책에는 공간이 없습니다....
-
뉴런 2
2주컷 가능해요?
-
21학번이 수업듣길래 옆에서 말동무 해줬어
-
양치하고 자리 돌아왔는데 냄새 뭐노
-
나 긴머리거든 ㅠㅠ
-
뒤에서 2등.
-
3천원이던데 빵안에 국수있나봐 신기해서 사봄
-
저녁은 5
치킨
-
가서 아줌마 꼬시자
-
그대는 내가 아니다~ 추억은 다르게 적힌다..~
-
미치겟네
-
잇올 좋군 9
근데 부산 잇올에서 왜 연대 학잠을 입어..
-
생명 커리 5
작년부터 생명 커리 백호 풀커리 타고있는데 점점 들어도 뭔가를 얻어간다는 느낌을...
-
트와이스의 장점 1
옛히트곡 들으면 그때 기억이 나면서 가슴이 좀 아리다해야하나 나만 이런가요
-
으 과제하기싫어 5
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악
-
문학 고트 ㅊㅊ 0
현역때 김승리 풀커리 타고 3까지 올렸는데(원래국어개못함) 문학은 좀 안맞는거같아서...
-
강기원 서바시즌 0
미적반 듣고있는데 서바시즌에 전국서바 푸는건가요 그냥 서바 푸는건가요
-
본래 가톨릭대는 신부를 양성하는 신학과와 성모병원에 채울 의사를 양성하는 의학과 두...
-
스타벅스가는중임 3
어딘지 몰라서 그냥 걷고잇음
-
시계병 걸렸음 ㅅㅂ
-
요즘 탄핵관련 뉴스(재판관 임기연장, 국무위원 전원탄핵등)를 보면 드는 생각 1
'탄핵 인용에 필요한 6명 이상의 재판관을 확보하지 못했다면?'요즘 민주당 행동...
-
이 기분도 젠부~
-
기본개념과 N제를 병행하면 실전개념 공부하는것의 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음 오..........
-
6월 9월 수능 + 수연 줄이다가 어감이 개이상해짐
-
국어때 하던것마냥 발문과 풀이의 유기적 연결 이러고 있는데 발문을 보고 a, b,...
-
장발 피어싱 무쌍 큰 눈 고백하고 싶은 사람 봄... 왤케 좋지 ㅋㅋㅋ
-
우리 팀 정글 요네인데
-
나도 메타 참여..
-
작수 44334 가능할까요? 알바같은거하느라 좀 늦게시작하는데..
-
더프 모고 2
매월 있는건가요?
-
과외 생각은 있는데 폼 유지에 시간을 얼마나 써야하는 지를 모르겠음 국어 영어는...
-
대치 러셀vs대치 잇올 근데 러셀은 마감됨
-
수시천룡인은 언제든지 원서를 쓸 수 있기 때문
-
도표까진 못하겠다
-
코사인법칙 3
이번 20번 코사인법칙 분수꼴로 된거썻음 못풀었겟단 생각이듬
-
6모 탐구 신청 0
고3기준 신청할 땐 과탐 본다고 손 들었는데 그 사이에 사탐런해서 6모 당일에 사탐...
-
본인이 노력하면 언제든 사귈 수 있다 샹각함 ㅇㅇ
-
길거리를 보고 다들 예쁘고 잘생기고 연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건 오르비에서...
-
고2까진 1컷 근처였는데 이번 3모에서 73으로 2후반이 떴습니다 (13 15 21...
-
동생 벌써 사수하고있네 목표가 메쟈의라는데 매번 지거국의는 붙는데 안가는거 이거...
-
골라봐 0
근데 야끼우동은 왜 야끼우동이지 우동면이 아니고 짬뽕면과 똑같던데
-
올오카 띰 4초반 들었는데 테스트이즈리듬 라이브반 들어갈까요
-
머리 잘된거임? 0
평가좀...
-
3명이서 같이 먹을걸로
-
그러고 보니까 교육청이랑 겹치는 수특 소재는 피하려 하던데 0
우연일지 사실일지 그러면 걸러지는 소재 몇 개 있는데
-
대치동에서 못 태어난 본인 같은 최소수혜자의 이익또한 고려하는 정의의 원칙에 부합하는 제도 말임
-
얼굴: 평균 이하 얼굴 크기: 작음 키몸무게: 올해 초 신검 기준 181/65 ->...
-
Def.) 정의역과 공역이 X인 함수 f에 대해 임의의 X의 원소 x가...
-
스카 ㄱㄱ혓
-
같은사람인줄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은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할 '수' 있는 거지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에 해당한다고 해서
상대적 박탈감을 반드시 '느끼는' 게 아닙니다.
ㄴ 선지에는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가구를 물어보고 있으며
이건 주관적 빈곤에 해당하고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에 대한 통계 자료만 보고 알아낼 수 없습니다.
해설이 맞습니다.
+빈곤이 주관적빈곤이랑 객관적빈곤이 있는데 전자가 상대적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이고 후자는 객관화된 기준에 의해서 분류하는거에요 객관적빈곤에 절대적빈곤과 상대적빈곤이 있고 둘 다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어요
아하 그렇군요.. 그렇다면 주관적 빈곤은 항상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한다고 봐야하는건가요..?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을 ‘주관적으로‘ 빈곤하다고 부르는거에요 정확히는 주관적 빈곤이 유발하는게 아니라 그런 사람들이 주관적 빈곤층에 해당해요~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사용한 개념 교재에서는 주관적 빈곤과 객관적 빈곤 모두 상대적 박탈감을 발생시켜서 사회 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 정도 까지만 나와있어서 좀 혼란스러웠는데 답변 보고 정리하겠습니다! 좋은 밤 보내세용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을 주관적 빈곤으로 부른다는 설명은 다소 비약입니다.. 댓글 작성자분이나 글 작성자분이나 다 아셨으면 좋겠는데, 단순히 자신을 빈곤하다 느끼는 주관적 빈곤과 사회의 다른 구성원과 비교해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상태에 있다고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은 엄연히 다른 개념입니다. 개인이 느끼는 감정이라는 점에서 상당 부분 관계가 있지만요. ‘내가 쟤보다 못 벌어서 속상해’와 ‘나 돈 못 버는 것 같아‘가 이퀄 관계에 있다고 보긴 어렵겠죠? ^^ 그냥 상대적 박탈감은 누구든, 돈을 얼마나 벌든 느낄 수 있다고 납득하시고 넘어가시는 게 가장 마음 편하실 겁니다~
아하 그렇군요 그냥 그정도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안 그래도 윤성훈 선생님 Q&A 게시판에 이 질문을 남겼는데, 답변이 아래 글 정도여서 되게 의아했거든요.. 특히 두 세번째 줄에서 완전히 상대적 박탈감 = 주관적 빈곤만의 영역 이라고 말씀하신 부분이요. 18일에 9회 모의고사 해설 올라온다 하니 한 번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성훈 사회문화 연구실입니다.
우선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의 영역인데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은 객관적 빈곤의 영역이므로 둘의 범주가 다릅니다.
절대적 빈곤에 있는 상태여도 자신이 빈곤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고
마찬가지로 부유한 사람이더라도 스스로 빈곤하다고 생각한다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상대적, 절대적 빈곤은 객관적 빈곤의 영역이기는 하지만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 모두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이 항상 상대적 박탈감을 유발한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해당 문제에서도 결국 상대적 빈곤과 절대적 빈곤에 대해서만 논하고 있으므로
이들이 실제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는지 여부는 알 수 없어 틀린 선지입니다.
---
확실히 해설지랑 완벽히 동일한 얘기만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좀 의아했네요..
ㄴ이라는 명제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중에 소득이 400달러 보다 큰사람이 있을수있다는 합당한 반례가 있는데 왜 맞다고 생각하는거임?
그렇게도 이해해 볼 수 있는 선지네요.. 그렇다면 ㄴ이 틀렸다는건 이해 가능합니다. 다만, 해설지에 적혀있는 내용이,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의 영역이다'는 내용으로만 적혀있기 때문에 의아했어요. 차라리 해설지에 작성자님이 써주신 댓글의 내용처럼 반례를 들어 작성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윤성훈 Q&A 답변 게시판에
우선 상대적 박탈감은 주관적 빈곤의 영역인데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은 객관적 빈곤의 영역이므로 둘의 범주가 다릅니다.
라고 답변을 달아주셔서 옳지 못한 해설이라는 생각도 들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