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고수님들 해설좀요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15830
이게 왜 ㄹ이 안되나요ㅠㅠ 결국 칸트는 인간만이 의무의 대상이고 레건은 일부동물, 테일러는 생명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궁금한게 0
성욕이라는건 언제부터 생긴걸까? 섹스를 통해 욕구해소를 한다는건 언제부터 생긴걸까
-
일단 수학 3등급대 정도 분들 수1을 경시하시는 분들이 많던데 제 개인적인...
-
심찬우T 강의 들어야해서 계삭 못함 -> 오르비 눈팅 -> 글쓰기 반복임요...
-
정시로 재수하면 3학년2학기 출결도 보나요? 수능보고 기말때만 학교가고 나머지는...
-
시발시발시발 2
자고싶다.
-
안녕하세요. 현재 고1이고 슬슬 탐구 준비를 해야하지 않나.. 싶어서 글을...
-
스카에서 국어 실모 풀고 있는데 웬 갑자기 옆에 있던 모르는 예쁜 여자가 몸을 들이...
-
저만 나온 사진이 없어서 잘라서 내일 올릴까요
아마도 칸트를 나타내는 지문에서 "생명이 없는 대상에 대한 파괴는 인간 자신의 의무와 대립한다"라는 걸 바탕으로 생명이 없는 대상을 파괴하지 않는 것이 인간 자신의 의무라 할 수 있고, 그래서 생명이 없는 대상이 의무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출제한 것 같아요
아하.. 저는 자연과 관련된 의무는 결국 인간에 대한 의무로 환원된다고 생각해서 대상을 인간으로 한정지었는데 그런 지문이 있었군요… 감사합니다
제 생각엔 의무의 대상과 주체를 구분하는 것 같은데
의무의 주체는 그 의무를 수행할 수 있는 걸 지칭하며, 칸트, 테일러, 레건 모두 인간만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죠.
의무의 대상이 되는 것은 그 의무 안에 포함되는 걸 지칭해요.
예를 들어서 칸트는 동물에 대해서는 인간의 간접적 의무일 뿐 이라고 하니
의무 대상이 아닌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식물과, 인간은 포함될 수 있을 것 같아요
테일러는 목적을 가지는 것, 즉, 인간과 일부 동물의 의무의 대상
레건은 삶의 주체, 즉 인간과 일부 동물이 의무의 대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물론 제가 틀릴 수 있으니 참고만 해주세요 ㅎㅎ
참고로 칸트에 관한 지문이라는 게 그냥 올려주신 문제에 갑의 주장 말한 거예요
위에 답변 아니고, 칸트가 인간이 도덕적 지위가 있다는 것도 레건이 삶의 주체가 도덕적 지위가 있다는 것도 다 생명이 있어야 성립 가능해서 그래요. 죽은 대상에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지는 않으니까요.
이건 ㄹ이 맞는이유 아닌가요?
설마 ㄹ이 틀리다고 출제된건가요?
아, 테일러 불간섭의 의무 고려하셔서 출제하셨나 보네요. 제가 기억하는 기출 문항과 선지가 조금 다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