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도 수백개 풀면서 느낀점 (열성공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01086
서로 같은 염색체를 공유하는데 표현형이 다르면 그 공유한 유전자가 열성이라는 명제(표다열공)가 디카프 해설에 거의 도배급으로 많이 나왓는데 이게 도움이 되는 케이스는 (백호가 가르친 용어대로 말하면) 결국 이형부모 우성, 상동분리 열성 두가지 경우밖에 없어서 표다열공 자체를 기억하는건 활용성이 너무 떨어지고 이형부모 우성 상동분리 열성으로 아는게 나은거 같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공부법] 경우의수 어려워하는 분들에게 간단한 Tip 13
국어 - 영어 - 수학 각각 시험지 A와 B로 총 6개의 시험지를 제출해야합니다....
-
공부하기 좋은 계절이군요. 영어공부법, 영공쌤이랍니다. 제목이 조금...
이형부모 우성 상동분리 열성 -> 이게 뭔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