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제가능한 사상가 리스트(에이어, 헴펠, 샐먼, 포퍼, 콰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67807
에이어, 헴펠, 샐먼, 포퍼, 콰인, 비트겐슈타인, 아도르노.. 모두 평가원 기출 문제에서 다루어졌던 사상가들입니다. 범위를 교육청 모의고사, 리트, 사관학교(경찰대), EBS로 넓히면 더 공부할 인물들이 많겠죠. 그런데 사실 출제 가능한 학자들의 리스트는 어느정도 정해져 있습니다. 학계에서 충분히 알려지거나 논의되지 않은 지엽적인 흑수저 루키 학자를 어느 날 평가원이 찍어서 국어 지문으로 내는 것은 시스템상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출제 가능한 백수저 학자들만 골라서 누가 리스트로 만들어주면 안될까요? 사실 철학자들의 명성이나 영향력을 수치화해서 랭킹으로 만든다는 것 자체가 비현실적이긴 하지만, 입문자로서 매우 효율적인 도구가 될 수 있는 점도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제가 직접 제작해보려 했는데.. 훨씬 좋은 자료를 발견하게 되어 공유해 봅니다.
사실 출제자들은 무조건 널리 알려지고 유명한 학자들을 중심으로 출제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고등학생 수준에서 배경지식의 영향을 너무 크게 받을 우려가 있고, 출제자들 입장에서는 시시할 수도 있겠죠. 그리고 1975년 이후에 주로 활동했던 학자들은 아무래도 논란의 우려 때문인지 출제 빈도가 높지 않았습니다. 알 사람은 널리 인정하지만, 대다수는 들어본 적 없는 중간급 정도의 학자들이 주로 소재가 되는 것 같습니다. 참고로 2016학년도 9월에 기출된 샐먼은 인지도가 낮아서 한국 웹사이트에서 정보를 거의 얻을 수 없었고, 다만 SEP에서는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Salmon's critique of Hempel: an alternative view of statistical explanation and theory building"이라는 제목의 1987년 논문도 있던데, 잠이 안오는 수험생이라면 한번 찾아보셔도 재밌을 겁니다(평가원 지문의 논지와 상당히 유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에이어 정도의 학자는 아래 리스트를 미리 접했다면 충분히 대비 가능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아래 리스트 중 미출제된 인물들에 대해 1문단씩 맛보기용 지문을 제작해보려고 합니다. (여담이지만, 맛보기해야할 지식이 이렇게나 많은데 몇 개만 찍어서 깊이 파는 방식은 결코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수험생으로서 필요한 배경지식은 넓고 얕게 준비해야지, 쪽집게 식으로 고르는 건 가성비가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제가 찾은 자료는 미국의 연구자 Garth Kemerling이 운영하는 Philosophy page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실제로 1925년~1950년 사이에 수록된 약 60명의 학자들 중 많은 사람이 독서 지문에 언급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아래 리스트에는 물론 매우 유명한 인물들(비트겐슈타인, 카뮈, 하이에크, 사르트르, 포퍼, 토마스 쿤, 하이데거, 푸코, 하버마스)도 있지만, 덜 유명한 인물들(켈젠, 하트, 벌린, 아인랜드, 콰인, 에이어, 게티어, 그람시, 보부아르 등)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마오쩌둥, 간디, 슈뢰딩거 같은 인물도 있어서 흥미로웠습니다.
아래 리스트 및 All time list는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philosophypages.com/dy/zt.htm)
1925~1975년까지만 뽑은 리스트는 아래에 옮겨놓았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선호, 뇌피셜로 위 리스트에서 출제될만한 덜 유명한 인물들을 꼽는다면, 하트, 이사야 벌린, 아인랜드, 그람시, 드워킨 정도는 중요성이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1975년 이후에도 누스바움, 길리건, 드워킨, 노직, 피터 싱어, 움베르토에코, 파이어아벤트 등 중요한 인물들이 포진해 있습니다. 심심할 때 검색과 논문 초록, GPT를 통해 내용을 접해본다면 독해력과 두뇌 굴리기 실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 정답자 3000덕 드리겠습니다!
-
강사가 퍼리취향이면 어쩔거임
-
문법 질문 받음 10
문법 원리 국어사 기타 등등 질문 있으시면 물어보셔요들
-
지금 벚꽃 1
만개 했나요? 석촌호수 여의도 서울숲 어떤가요
-
창의적 독해를 묻기 위해 법과 경제를 내는건데 그것도 모르고 학교에서 안배웠으니...
-
정법이랑 뭐하는게 좋을까요 일단 정법은 너무 재밌고 잘맞아요 사실 사문 하려고...
-
질문받음 7
나도 꼴에 시험공부라는걸 하고있다
-
자기가 듣는 강사에 대해 믿음을 가지고 따르는 건 필수
-
대체... 언제... 끝나는... 거야...
-
행복하다 0
내일 월급들어오거든 ㅎㅎ
-
와 마약이 나라 턱 밑까지 기어들어올라왔놐ㅋㅋㅋㅋ
-
대부분 교과서로부터 나오는거아닌가..?
-
다들 화이팅 2
다들 정신 바짝 차리고 화이팅 내가 응원함
-
머리개망했다 0
고데기하다 머리망함 ㅅㅂ
-
국어 인강 듣지 마세요 여러분,, 국어나 영어는 2000년대 초반이나 지금이나 본질이 똑같음
-
공통 개념은 다른걸로 뗐음. 한완수로 미적하고 지금 미적(하)하고 있는데 너무...
-
[단독] 3호선 연장안 "송파하남선" 행안부 심사서 탈락...착공 무기 연기되나 5
https://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
-
CNN 재밌노
-
In April, a study published in Nature observed...
-
내가 생각하는 트럼프가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폭탄을 부과한 이유는 2
일부러 대공황을 발생시켜서 미국 빼고 나머지 국가들을 말려죽이려는 게 아닐까 의심됨.
-
지방 가서 내신 따는게 제일 쉬운데 왜 7살 애를 쥐잡듯 잡지?
-
아마 그럴겁니다 제생각에는... 아니 예정인가?
-
자연수의 갯수가 실무한이라면 실수의 갯수도 실무한이다 범위가 0이상 1이하인 길이...
-
수잘형들 2
미적분 처음하면 개념을 뭐로 시작해야할까요?? 시발점말구요
-
카케구루이마쇼!! 10
메챠 카와이
-
Are we the baddies 걍 존나 웃김
-
스탠다드수2ㄱㅊ게풀정도면이해원n제시즌1바로들어가도되나요? n제를한번도 안 풀어봐서...
-
자버렸음 3
시바
-
Don't Blink <-- 우는 천사 GOAT
-
다시 현생을살자
-
닥터후?얘나오는거 이유는 ㅁㄹ겟는데 개역겨워
-
뉴런에 있는 문항들은 개념 배우고 푸니까 잘풀리는데 타 문제들도 정복 가능함? 뭔가...
-
수능 수학도 어려워요
-
요즘 나오는 8~10번용 입문N제는 실제 시험에서는 10~12번 난이도인듯 2
마찬가지로 11~13번용 입문N제는 실제 시험에서 13~15번 난이도임 모래주머니...
-
"한덕수 재판관 지명 위헌 확인" 헌법소원·가처분 잇따라 1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사진)가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지명한 것은 위헌임을...
-
내가뽑아줄게
-
저 슬슬 무서움뇨 단어 하나하나가 저를 관통하는군뇨
-
이게 진짜 궁금함.. 왜냐하면 어디서 가무한 실무한 얘기를 대충주워들어서 잘 기억은...
-
21대 대선 후보 기호 1번(더불어민주당) 하츠네 미쿠가 선거 운동을 하는 모습이다.
-
젖지안나오냐 진짜 대머리같은것
-
대성패스 저렴하게 양도해주실 분 계실까요? 가격은 제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몰래...
-
쓰레기 개새끼 6
나쁜 놈, 인간말종
-
아무도 안적어저 어떻게
-
회로 과부하 1
녹아내리는 퓨즈
-
난 정상인이었어
-
내가 뭘본거지 6
진짜 개더러운걸봤는데
-
작년 수능에서 국어5 영어4 나왔는데 어떻게 공부하는 게 좋을까요 집은 강남쪽에 살아요
-
사설 국어를 풀다보면 문학 파트 옳지 않은 문제에 와 지문에 없는 선지의...
-
음침하게 혼자 오르비하는건 디폴트니까 그건 좀 빼시고
짱입니당!!!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