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제가능한 사상가 리스트(에이어, 헴펠, 샐먼, 포퍼, 콰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67807
에이어, 헴펠, 샐먼, 포퍼, 콰인, 비트겐슈타인, 아도르노.. 모두 평가원 기출 문제에서 다루어졌던 사상가들입니다. 범위를 교육청 모의고사, 리트, 사관학교(경찰대), EBS로 넓히면 더 공부할 인물들이 많겠죠. 그런데 사실 출제 가능한 학자들의 리스트는 어느정도 정해져 있습니다. 학계에서 충분히 알려지거나 논의되지 않은 지엽적인 흑수저 루키 학자를 어느 날 평가원이 찍어서 국어 지문으로 내는 것은 시스템상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출제 가능한 백수저 학자들만 골라서 누가 리스트로 만들어주면 안될까요? 사실 철학자들의 명성이나 영향력을 수치화해서 랭킹으로 만든다는 것 자체가 비현실적이긴 하지만, 입문자로서 매우 효율적인 도구가 될 수 있는 점도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제가 직접 제작해보려 했는데.. 훨씬 좋은 자료를 발견하게 되어 공유해 봅니다.
사실 출제자들은 무조건 널리 알려지고 유명한 학자들을 중심으로 출제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고등학생 수준에서 배경지식의 영향을 너무 크게 받을 우려가 있고, 출제자들 입장에서는 시시할 수도 있겠죠. 그리고 1975년 이후에 주로 활동했던 학자들은 아무래도 논란의 우려 때문인지 출제 빈도가 높지 않았습니다. 알 사람은 널리 인정하지만, 대다수는 들어본 적 없는 중간급 정도의 학자들이 주로 소재가 되는 것 같습니다. 참고로 2016학년도 9월에 기출된 샐먼은 인지도가 낮아서 한국 웹사이트에서 정보를 거의 얻을 수 없었고, 다만 SEP에서는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Salmon's critique of Hempel: an alternative view of statistical explanation and theory building"이라는 제목의 1987년 논문도 있던데, 잠이 안오는 수험생이라면 한번 찾아보셔도 재밌을 겁니다(평가원 지문의 논지와 상당히 유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에이어 정도의 학자는 아래 리스트를 미리 접했다면 충분히 대비 가능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아래 리스트 중 미출제된 인물들에 대해 1문단씩 맛보기용 지문을 제작해보려고 합니다. (여담이지만, 맛보기해야할 지식이 이렇게나 많은데 몇 개만 찍어서 깊이 파는 방식은 결코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수험생으로서 필요한 배경지식은 넓고 얕게 준비해야지, 쪽집게 식으로 고르는 건 가성비가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제가 찾은 자료는 미국의 연구자 Garth Kemerling이 운영하는 Philosophy page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실제로 1925년~1950년 사이에 수록된 약 60명의 학자들 중 많은 사람이 독서 지문에 언급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아래 리스트에는 물론 매우 유명한 인물들(비트겐슈타인, 카뮈, 하이에크, 사르트르, 포퍼, 토마스 쿤, 하이데거, 푸코, 하버마스)도 있지만, 덜 유명한 인물들(켈젠, 하트, 벌린, 아인랜드, 콰인, 에이어, 게티어, 그람시, 보부아르 등)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마오쩌둥, 간디, 슈뢰딩거 같은 인물도 있어서 흥미로웠습니다.
아래 리스트 및 All time list는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philosophypages.com/dy/zt.htm)
1925~1975년까지만 뽑은 리스트는 아래에 옮겨놓았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선호, 뇌피셜로 위 리스트에서 출제될만한 덜 유명한 인물들을 꼽는다면, 하트, 이사야 벌린, 아인랜드, 그람시, 드워킨 정도는 중요성이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1975년 이후에도 누스바움, 길리건, 드워킨, 노직, 피터 싱어, 움베르토에코, 파이어아벤트 등 중요한 인물들이 포진해 있습니다. 심심할 때 검색과 논문 초록, GPT를 통해 내용을 접해본다면 독해력과 두뇌 굴리기 실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확사로 못가면 미기했어도 못가는거 아닌가 그냥 잘할 수 있는거 해야하는건가
-
3차추합때 1명빠지고 4차추합때 4명빠져서 2번 됐고 26명 모집ㅇ하고있습니다 이거...
-
드루왕
-
저 24상크스엔 기출변형문제 문제편에 있었ㅇ는데 왜 26상크스 기출밖에없음??
-
이주호 교육장관 "초 1·2학년 대면 인계·동행 귀가 원칙" 1
(서울=뉴스1) 이광호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17일 오후 서울...
-
그때는 제가 없을거 같아요
-
고대 기공 떳냐 1
사실 최초합 이제 뱃지뜸 물론 안암캠 핳 하지만 시대재종 개강을 한 나..
-
근데 기하에서 2
ㅈㄴ어려운 부분은 어디임?
-
6등급인데 쎈C 거르고 푼다음에 시발점 풀면 좋은 것 같은데 쎈발점해도 괜찮나요?
-
생각이 들 땐 시급 7 ㅂ현 쌤을 떠올리며 마음을 다잡기
-
한 5~8명정도 뽑는 소수과에 그냥 그해 수능 아무 성적표나 다 매수해서 집어...
-
대치동 어둠의 스킬 12
반갑습니다 어둠의 스킬 400만개 보유한 흑마법사 입 니 다 크ㅡㅋ
-
으악 추워 0
밖에 왤케 추움 크하핳 강바람이네
-
경희한 뚫는법 1
이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찾아보니 정시 14명 뽑던데 한의예과(자연) n명...
-
ㄹㅇ 수인분당선 출발도 안햇서..ㅠㅠ
-
7명 모집 최초 예비7번 1차 4번 그이후로 4차까지 변화 없음 작년 12명 모집...
-
독서가 작년에 이감도 몇 개 풀었는데 역대급으로 빡셌던거 같아요
-
대 승 진
-
뭔가 느좋임
-
사회문화는 어제 풀어봄뇨
-
많이 싸우네 피신왔어요
-
흑빵댕이는 진짜 신이 빗은거같네
-
대학생 분들중 2
학교 끝나고 바로 집가고 혼밥 하고 혼공 하는 사람 없나요??? 나만 그런가?
-
집합과 명제가 고등수학 첫단원이 아닌 이유를 몰겠음 1
옛날에는 초1 첫단원, 중1 첫단원에 있었다는데 애매하게 고등수학 2학기에 배움...
-
원래는 칼럼이나 자료 올린다는 핑계가 있었는데 이제는 그런것도 일절 안할거니...
-
의대 25학번 신입생인데요 각설하고 저는 이번에 그냥 학교 다니려 합니다. 가정환경...
-
쉬4 못푸는데 시발점 들으려고 봤더니 너무 다 아는 내용인데ㅜㅜ 어느 부분에서...
-
강윤구가 어떤 스타일인지 잘모르는데 누가 낳음??
-
황금당근 6
먹을래
-
그래서 2
갑종 닉 왜 먹힘
-
ㅇㅋ
-
산화당할까 5
활활
-
김준t 커리 타는분들 스타팅포인트도 들으시나요??? 0
어떤가요???
-
아직까지 진학사에 안넣었을까...
-
제 꿈입니다
-
나 수고햇다 3
ㅇㅇ
-
이게 많이 먹는거임? 13
3시쯤에 한끼 먹음 186/85 건장한 성인 남성임
-
재밌나요
-
오늘 실밥 풀 때 살짝 아파서 울뻔 했다가 옷 소매 안쪽(?)에 있는 문신 보고...
-
가질 수 없는 사람이 있어
-
한성대vs삼육대 7
둘다 자율전공이에요 어디가 나을까요? 위치로는 한성대가 더 나은 것 같은데 주변...
-
대학교 생활할때 2
오티 새터 다 다녀오면 중,고딩때처럼 같이 다니는 무리가 생김? 아니면 걍 과애들...
-
나도 동맹휴학 참여하면 안되나
-
장학 규정보니까 250장학인데 왜 결제 금액엔 470뜨지 장학 왜 못받는걸까…
-
특성화 출신이라 지구과학을 학교에서 배운적이 없어 노베입니다 그래서 입문강의...
-
ㄱㄱ
-
ㅈㄱㄴ 여기도 그렇고 ㅅㅁㅎ도 분위기가 안 좋네
짱입니당!!!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