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사 9평 논란의 19번 ㄷ 선지 해설해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45764
이전에 어떤 사람이 올린 자료가 있던데, 아주 핀트를 잘못 잡았음.
(밑 링크 참조.)
https://orbi.kr/00069344103/이번-9평-윤사-19번-제대로-설명할-수-있는-사람-있음%3F
일단 ㄷ선지가 틀린 이유는 비문이기 때문임.
이가 통하기 때문에 기가 국한된다가 다 떠나서 그냥 개소리고 비문인 건 맞잖음.
저기 가져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자료는
쉽게 설명한 건 이런 거임.
의자라는 원리가 있는데, 의자마다 다 모양도 다르고 특징도 다름.
근데 그것들 각각을 의자라고 부를 수 있는 이라는 근본 원리인 이 있기 때문이라는 게 그 예시임.
일단 이 내용을 떠나서 ㄷ 선지는
이가 통하기 때문에 기가 국한되는 게 아니라
이는 형체가 없어서 보편적으로 실재하지만,
각각의 사물에 드러날 때 기의 국한성이 드러나는 거지.
그래서 비문이라는 거고 그 맥락에서 인과가 없다고 한 거겠지.
이와 기의 관계랑 이통이랑 기국의 인과 개념을 헷갈린 거 같은데,
저 원글 글쓴이는 글 내용 좀 수정해야할듯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국 것 탐내는 중국.. 아리랑·널뛰기 中 국가유산됐다 4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아리랑, 판소리, 널뛰기 등 한국의 무형유산 101건이...
-
좆박은 0
자존감올릴수는있을까 과연 난상상이안가는데
-
딱 하나 있다면 탐잘들 사탐과탐 할것없이 모두 몰살하는 것 뿐
-
더 재밌는 걸 가져와라
-
수학 기출 복습 1
쉬운4점~어려운4점 위주로 기출 복습하고 싶은데 마땅한 교재 있나요?
-
수학 퀄 0
목표 등급이 2후~3초인데 수학 s퀄 정도면 난이도 어떤거임? 더데유데 현우진...
-
ㅅㅂ
-
할복
-
졸려요 3
5분 뒤에 이감 풀어야 하는데
-
겸양 문제 헷갈리더라 선지가 딱 2개 남았는데 ㅈㄴ 고민함 그래도 할매턴 잊잊잊보다는 할만했었음
-
다했다 0
힘드러
-
엄청 늦게 한건 아니고 그래도 중2쯤에 시작한 듯 학원 다니면서 중2 때...
-
고1 과목으로 수능을 치자는 아이디어는 대체 어떤 ㅅㄲ 작품인지 1
곱씹을수록 기도 안 차네 진짜 ㅋㅋㅋ 그럴 거면 차라리 통합 과목을 3년 내내 가르치는 걸로 하든가
-
자꾸 산화시키려 하지 마세요. ㅠㅠ
-
아 먹고 싶다
-
삼수생입니다. 2
현재 시립대 논술보러 왔습니다. 이상하게도 하나도 안 쫄리네요 평소실력 발휘해서 꼭...
-
하 씹힌 건가 0
낼 만나서 이야기해야하나..보긴 볼 텐데..
-
ㅇㅂㄱ 5
-
물리 배기범쌤 0
배기범 쌤 커리 타고 있는데 d - day 파이널 문제를 푸는게 더 좋을까요 아니면...
-
뒤에서 싱글벙글 조커마냥 웃고계신 심찬우면 개추 ㅋㅋ 심-멘
“기의 국한성은 두루 통하는 이의 속성 때문이다”라는 표현은 엄밀히 말해 이이의 이통기국론(理通氣局論)의 핵심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않습니다.
이이는 이(理)와 기(氣)의 관계에서 인과적인 구조를 설정한 것이 아니라, 두 개념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한다고 보았습니다. 즉, 이는 보편적이고 두루 통하며, 기는 구체적이고 국한된다고 말할 뿐, 이의 보편성이 기의 국한성을 “원인”으로 만든다고 설명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기의 국한성은 이의 보편성 때문이다”라는 인과 관계를 설정하는 것은 이이의 사상에 맞지 않습니다. 이와 기는 상호 작용하며, 각각의 고유한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하나가 다른 하나의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의 보편성과 기의 국한성(혹은 개별성)은 인과관계가 아니라, 상호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의존적인 관계로 설명됩니다. 즉, 이(理)와 기(氣)는 서로 독립된 속성을 지니지만, 완전히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 만물이 존재하고 변화하는 데 있어 둘이 함께 작용하는 것입니다.
이이는 이가 보편적이고 통하는 것이라 하고, 기는 구체적이고 제한적인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이와 기가 서로 완전히 독립적이지는 않습니다. 기는 이가 구체적으로 현실에 드러나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이 또한 기에 의해서만 현실에서 발현됩니다.
따라서 이와 기는 서로 인과적이지는 않지만, 각기 다른 방식으로 모든 존재와 변화의 기본 원리를 제공하는 상호 의존적 관계로 설명됩니다.
캬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