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론을 대체하게될 "대상이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27260
이게 대상이론이고
https://orbi.kr/00069306569
이게 공집합이 없는 이유고
https://orbi.kr/00069308678
여기서는 어떤분이
A ⊆ B ⇔ (∀x)[(x∈A) → (x∈B)]
라고 헀는데
원소를 모두 부분집합으로 바꾸니 모든집합의 원소가 없어지고
공집합만 남게되는데
공집합 끼리는 A ⊆ B ⇔ (∀x)[(x∈A) → (x∈B)] 가 성립하지 않음
왜냐하면 x가 없기 때문임
공집합이 공집합의 부분집합인 이유는
공집합과 공집합의 교집합이 공집합이기 때문임
어쨋든 원소와 집합을 집합으로 일원화 시키면 모든게 공집합이 되버리고
공집합이 없다고 했으니 집합론이 사라지는거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97일 가능성 없나요
-
으흐흐흐 4
살면서 2번째로 국어 1등급 맞아봄
-
좋네요
-
고1 통합사회 때도 좀 어려웠어서 글고 서울대 목표는 차피 과탐을 할 수밖에
-
원래 평일에 올라와서 걍 그날 할거 끝내고 집갈때 보면 됐는데 실시간으로 올라온...
-
해도되나요? n제보다 이게 더 재밌어서...
-
가 뭘까요??
-
왜 나만빼고 다 잘해진거냐? 나도 상대적으로 잘해져야지 않냐? ㅠㅠㅠ
-
지꿀과학이니 그랬던건 17,18수능 이때 얘기인건지
-
연고대 편입수학 1
이거 어느 분이 작성하신지 아시는 분
-
화작 98 언매 96-97 기하 92- 미적 93-
-
다행이다 어후
-
국어 눈알 굴리기 말하는거임
-
등급은 무조건 나눠지니까 정진해야겠다
-
만약 함수 h(x)가 역함수가 존재하구 치역이 y<1이라고한다면 아래 사진처럼...
니 뭐야?
어떤걸 물으시는거죠
저런건 검증받고싶으면 대학교수한테 물어보셍
대학교수한테 박살날까봐 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