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로운 국어사 사실: 러 불규칙의 기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22354
러 불규칙'이란 어미 '-어'가 '르'로 끝난 어간 뒤에서 '-러'로 바뀌는 활용입니다. 대표적으로 '푸르-+-어>푸르러', '누르-+-어 --> 누르러(黃)' 등이 있습니다.
중세국어에는 '프를다', '누를다', '니를다' 따위가 등장합니다. 중세 국어에서 이러한 두 가지 형태는(프르-/프를-, 누르-/누를-, 니르-/니를-) 환경의 차이 없이 자유롭게 나타났고 성조 역시 일치했습니다. 쌍형어 즉 형태는 다르지만 동일한 어원에서 변화한 두 쌍의 단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동일한 형태에서 두 형태로 분화되었다고 여겨집니다. 일반적으로 연결어미 '-어'는 '-러'로 쓰이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기원적인 어간을 '프를-, 누를-, 니를-'로 보게 되면 '프를-+-어>프르러', '누를-+-어>누르러', '니를-+-어>니르러'의 변화를 상정할 수 있고, ㄹ이 있는 형태가 사장되고 ㄹ이 탈락한 형태만 살아남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언중은 더 이상 '프르러', '누르러' 따위를 '프를-+-어', '누를-+-어'로 분석하지 못하고 '프르-+-어', '누르-+-어'에서 '-어'가 변화한 것으로 생각하게 되면서 러 불규칙이 형성됩니다.
이처럼 불규칙 활용을 보이는 경우 주로 어간의 일부에서 온 것으로 재구합니다. 그래서 '너라 불규칙'을 보이는 '오다'의 경우 '*온-'으로 재구하기도 하죠. '*온-+-어라'의 구성이 굳어지면서 '오-+-너라'로 인식하고 어간이 '오-'가 됐다는 식이죠. 혹은 제주 방언의 '오라(오-+-아)'를 보고 '*올-'로 재구하기도 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원래 이거 사려고 갔음 등급 상이라고 돼 있는데 책등 변색돼 있어서 열받았지만...
-
수능 50일 18
문과 평균 4~5등급인데 평균 3등급 바라는 건 너무 욕심이겠죠 가천대나 경기대 꼭...
-
이제 아는 건 다맞는데 모름or헷갈리는게나온다? 걍 무조건 틀림 하. 그래서 계속...
-
제발 한번만 더 읽고 판단하라고 빠가야
-
얼버기 2
-
고전소설 줄거리 요약, 고전시가랑 현대시 몇 개 수록되어있는 소책자 형식의 교재...
-
끝말잇기가 아니고 연상되는 단어를 말하는거임 예를들면 사람 영장류 원숭이 이렇게요
-
원=대상 대상이 모여서 대상이 됨 원소가 모여서 집합이 되는게 아니고 대상이 모여서...
-
몇 시간 정도?
-
9평 화미영물지 85 96 78 50 47 9덮 화미영물지 81 81 85 50 42
-
둘 다 오후공부만 해야겠다..
-
lim (x->0) f(x)/x² = 0일 때 f''(0)=0이다? 17
단 f(x)는 미분가능한 함수 (수정하면서 추가함) 증명하거나 반례 들면 덕코 다줄게
-
개미친얼버기 10
-
국어(화작) 77(문학 2개, 독서에서 나세지) 수학(확통) 41 영어 풀다가...
-
부평행 포물선 0
-
션티 빠른 찍먹 0
이명학 그불그 들으면서 실모 푸는데 션티 강의 찍먹하면 얻어갈거 많나요?? 강의 추천좀
-
튀긴거 먹으니까 속이 더부룩해서 공부할때 집중 안 되네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