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로운 국어사 사실: 러 불규칙의 기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22354
러 불규칙'이란 어미 '-어'가 '르'로 끝난 어간 뒤에서 '-러'로 바뀌는 활용입니다. 대표적으로 '푸르-+-어>푸르러', '누르-+-어 --> 누르러(黃)' 등이 있습니다.
중세국어에는 '프를다', '누를다', '니를다' 따위가 등장합니다. 중세 국어에서 이러한 두 가지 형태는(프르-/프를-, 누르-/누를-, 니르-/니를-) 환경의 차이 없이 자유롭게 나타났고 성조 역시 일치했습니다. 쌍형어 즉 형태는 다르지만 동일한 어원에서 변화한 두 쌍의 단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동일한 형태에서 두 형태로 분화되었다고 여겨집니다. 일반적으로 연결어미 '-어'는 '-러'로 쓰이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기원적인 어간을 '프를-, 누를-, 니를-'로 보게 되면 '프를-+-어>프르러', '누를-+-어>누르러', '니를-+-어>니르러'의 변화를 상정할 수 있고, ㄹ이 있는 형태가 사장되고 ㄹ이 탈락한 형태만 살아남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언중은 더 이상 '프르러', '누르러' 따위를 '프를-+-어', '누를-+-어'로 분석하지 못하고 '프르-+-어', '누르-+-어'에서 '-어'가 변화한 것으로 생각하게 되면서 러 불규칙이 형성됩니다.
이처럼 불규칙 활용을 보이는 경우 주로 어간의 일부에서 온 것으로 재구합니다. 그래서 '너라 불규칙'을 보이는 '오다'의 경우 '*온-'으로 재구하기도 하죠. '*온-+-어라'의 구성이 굳어지면서 '오-+-너라'로 인식하고 어간이 '오-'가 됐다는 식이죠. 혹은 제주 방언의 '오라(오-+-아)'를 보고 '*올-'로 재구하기도 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팥붕 vs슈붕 11
저는 슈붕
-
폭망 빙고 0
허수행동
-
수능 참전 선언 9
지금 모교 가서 신청하면 되나요?
-
화작 97점, 기하 88점 표점하고 백분위 몇정도? 0
화작 97점이고, 기하 88점입니다 등급은 둘다 2등급 될거같고, 표점하고 백분위를...
-
9덮 수학 12
20번까지 55분정도 걸렸는데 그 뒤에 말아먹음
-
응 죽을게 ㅋㅋ
-
중국수능 킬러문제 12
이런거 현장 풀맞해야 북경대 의대 간다함
-
ㅇㅇ?
-
ㅈㄱㄴ
-
1컷은 셋 다 똑같았음 걍 기하는 적당하게 나오는 게 기하러 입장에선 젤 꿀임
-
님들 근데 과탐 불에 그렇게까진 쫄지 않아도 되는게 7
1. 어차피 남들도 어려움 2. 수능날 뭔가 삘받아서 잘 풀리수도 있음 3. 근데...
-
수1,2 뉴분감하고있고 끝나면 바로 미적 상하 시발점 들으려고 책 사뒀는데...
-
응애 고3 ㅇㅈ 8
12시간의 벽은 쉽지 않아.
-
항상 예상보다 훨씬 높음 그래도 뭐 표점 나쁘지 않다
-
난이도 생각하면 ㄹㅇ임 적어도 물1보단
-
확통 5
개망했다
-
9덮 물리 9
분석 해보니까 완전 전형적인 유형들이던데 수능이면 1컷 50뜨나요?
-
수능 응시 자격 일정 기간 박탈해야 한느 거 아니냐 흠냐뇨링
-
언매 85 미적 80 물리 47 지구 39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