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라운 사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09641
맞추다가 원형이네
아까 내신글 어디갔오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감 6-4 2
난이도는 많이 쉬워진듯 이전보다 근데 왜 문학 2개나 틀렸지; 문학 2틀 언매 1틀 94점
-
https://orbi.kr/00069316804 제발 ㅠㅠ
-
이런세상은 멸망이 답이지
-
딴거보다는 미적분에서 한테마만 70-100문제씩 줘서 바로 바로 체화되는게 가장...
-
수학 슬럼프 0
원래 개잘풀렸던 문제들이 갑자기 며칠전부터 안풀리는데...
-
https://orbi.kr/00069316804
-
베르너 이새1끼는 축구 잘한다의 여집합인가? ㅈㄴ 못하네
-
내가 시그모랑 oz모가 훨씬 잘나오니깐
-
9평vs9덮 2
언미물지 9평 98 92 1 47 38 9덮 89 80 2 44 33 어디까지 가능?
-
공무도하 공경도하 타하이사 당내공하
-
경한을 붙은 나를 상상하고있음
-
강x 9회 7
왜 더프랑 점수가 똑같음;;; 하 ㅠㅠㅠㅠㅠ
-
잠이 안 와요
'맞-추다'로 분석 안 한 건 국국원의 실수이려나
그럼 한 걸음 더의 기술은 대체 뭐임
이해 못했어요 구체적으로 부탁해도 될까요?
국국원은 2023년 7월부터 대충 1600개 정도의 어휘에 '한 걸음 더'라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맞추다'를 검색하고, 밑의 '한 걸음 더'라는 정보를 보면
"‘맞추다’는 ‘맞히다’와 구별하여 적어야 한다. ‘맞추다’는 ‘맞다’의 사동사로서 ‘똑바르게 하다’ 또는 ‘비교하다’의 뜻을 나타내며, ‘줄을 맞추어 서자.’, ‘친구와 답을 맞춰 보았다.’와 같이 쓴다. ‘맞히다’는 ‘맞다’의 사동사로서 ‘맞게 하다’ 또는 ‘적중하다’의 뜻을 나타내며, ‘화살을 과녁에 정확하게 맞혔다.’, ‘문제의 정답을 맞혔다.’와 같이 쓴다."라고 언급이 되어 있고 이 문장에
"‘맞추다’는 ‘맞다’의 사동사로서"라는 문장이 있어서 기술이 모순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뜻풀이에 '맞다의 사동사'도 없고, 붙임표도 있지 않으니 아마 '한 걸음 더'를 쓰면서 국립국어원의 편집자가 실수를 한 듯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