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영어 21번 정답률 올리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04138
누군가 그러더라구요 '햇빛만 계속되면 사막만 남는다'라구요. 나쁜일과 좋은 일이 반복되면서 인생의 참 행복을 느낄 수 있다는 비유의 말씀같아요^^어려운 일도 내 인생에 꼭 필요한 오아시스요 양념이라고 여기고 잘 극복해 나가시길 기원합니다.
이번에는 수능영어 21번에 등장하는 밑줄추론에 대한 풀이법을 간단히 제안하고자 합니다. 순전히 제 경험에 기초한 사견이므로 단지 참조하시고 혹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다면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이 밑줄 추론 문제는 비교적 신유형으로 일종의 빈칸추론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빈칸 추론 문제가 비어있는 빈칸을 주위의 단서를 활용하여 추론하는 것이라면 이 밑줄추론은 이미 채워져 있는 빈칸의 내용을 주위의 단서를 통해서 유추하는 추론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빈칸 추론 문제보다는 비교적 수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빈칸추론에 사용한 방법을 준용하면 될 것이다. 밑줄은 다양하게 문장 전체에도 해당할 수 있고 일부의 절이나 구에도 해당하며 짧은 단어일 수도 있으며 주로 비유적 표현이 많이 출제된다.
빈칸처럼 밑줄은 주어진 글의 핵심내용을 반영한다는 것을 전제로 풀이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선 밑줄이 포함된 전체 문장을 통해 밑줄이 쳐진 부분의 의미를 추론해 본다. 이 때 접속사, 대명사, 부사 등 단서가 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아주 면밀히 살피면서 철저히 읽어야 한다. (경우에 따라 이 한문장으로 답을 추론할 수도 있다)
2. 밑줄이 포함된 전체 문장만으로 해결이 곤란하다면 그 앞에 있는 문장 또는 바로 뒤의 문장을 통해 밑줄쳐진 내용을 추론한다. 왜냐하면 어떤 글은 전후 문맥을 통해 의미가 파악되기 때문에 주어진 글의 전후 문장을 읽고 맥락을 통해 밑줄을 추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도 접속사, 대명사, 부사 등 단서를 살피면서 아주 세밀하게 읽어 나가야 한다.
3. 위 1,2의 방법을 통해서도 밑줄에 대한 추론이 곤란하다면 결론 부분, 서론 부분의 순으로 핵심문장을 읽고 그것을 통해 답을 유추할 수 있다. 왜냐하면 빈칸처럼 밑줄도 주어진 글 전체의 핵심일 가능성이 높고 글의 결론과 서론에서 핵심적인 내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아주 높기 때문이다.
4. 정답을 선택하고도 시간이 있다면 혹시 매력적인 오답에 빠져있지 않은지 점검해본다. 매력적인 오답이란 정답에 아주 유사하여 선택될 가능성이 높지만 사실은 답이 될 수 없는 결정적 이유가 있는 답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영영님 생일이면서 예나나님 생일이고 더 중요한건 무빙맨의 창시일입니다.
-
화학 n제 추천 1
owl air pro evo 김준 code3 다풂 뭐 없나?
-
문학 마킹실수로 하나 틀림 이감 문학 만점 언제 맞아보냐
-
이제가봄ㅂㅂ 1
이따옴
-
헌혈하러 왔다 1
전혈은 해봤는데 혈소판은 첨이라.. 두렵다
-
그보다 정병훈쌤은 확통을 제일 자신있어하시던데 뭔가 수2나 미적으로 유명하신듯
-
with오르비
-
이번에 언매 푸는데 매체 마지막 지문에서 개청자들 보면서 웃겨가지고 5분은 더쓴듯
-
얘만 돈받으려고 않았을거 같긴 한데 솔직히 두창이도 정부 당 동원해서 여론선동...
-
수능의 정상화 가보자고
-
지금 수학 5시간정도 해서 1일 1실모+남는시간에 n제 풀고있고 지금 풀고있는거...
-
재수할자격도 없는듯..40일도 안하는데 360일을 어케함
-
현대 집합론은 자기자신을 원소로 가질수없습니다 예를들어 A={A} 가 안된다는...
-
음 사소한거에도 잘 울고 뭔가 울면 약간 바다 깊은 속에 빠진것 마냥 감정...
-
유독 국어 정답선지가 잘보이고... 유독 수학 발상이 잘 떠오르고... 유독 영어...
-
디캎 트레일러 시즌1 2회 17번 풀면서 든 의문인데, 생식세포 형성 과정에서...
-
확통 킬러 1
확통 28 29 30 기출 풀면서 와 이걸 시험장에서 어떻게 하지 라고 할 정도의...
-
96점이면 백분위 99엮음?
-
뭔가 이쌤도 듣고 싶고 저쌤도 듣고싶고 뭔가 책도 다 이쁘고 그럼 의외로 수학이...
-
무슨 누구네 대학이 누구 대학보다 낫네 해도 전세계 랭킹은 사실 다 비슷비슷함…....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