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1) 분자 관련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86447
분자가 공유 결합 물질이고 이 분자에 분자 결정(H2O, CO2 등), 공유 결정(C, SiO2 등)이 속하는데
다이아몬드, 흑연, 석영 등이 분자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던데
분자로 존재한다는게 무슨 의미인가요
공유 결정들은 이온결합 물질마냥 반복되는 구조로 결합을 이루고 있어서 분자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함수를 만든다 절댓값을 넣는다 치역이나 정의역을 집합으로 정의한다 완성
-
몇인가요? 화작기준이여!!ㅠㅠ 문학 1개틀리고 독서 7개 틀리는 장혜짓 햇는데 82점나옴요
-
전 1일1실모는 아무리 생각해도 아닌것같아서 10월까진 계속 n제 조질듯..?
-
ㅠㅠ하.. ㅆ발 다틀린거같은느낌
-
다른 방법은 없는거죠?
-
이감 6-4 2
난이도는 많이 쉬워진듯 이전보다 근데 왜 문학 2개나 틀렸지; 문학 2틀 언매 1틀 94점
-
https://orbi.kr/00069316804 제발 ㅠㅠ
-
이런세상은 멸망이 답이지
-
딴거보다는 미적분에서 한테마만 70-100문제씩 줘서 바로 바로 체화되는게 가장...
-
수학 슬럼프 0
원래 개잘풀렸던 문제들이 갑자기 며칠전부터 안풀리는데...
-
https://orbi.kr/00069316804
-
베르너 이새1끼는 축구 잘한다의 여집합인가? ㅈㄴ 못하네
-
내가 시그모랑 oz모가 훨씬 잘나오니깐
"분자로 존재한다"는 표현을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자는 일정한 수의 원자가 공유 결합을 통해 결합하여 형성된 작은 단위로, H₂O나 CO₂처럼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화합물을 말합니다. 이들은 특정한 화학식을 가지며, 그 단위가 반복되지 않고 독립적인 입자로 존재합니다.
그에 반해, 공유 결정(예: 다이아몬드, 흑연, 석영)은 특정한 "분자" 단위가 없이 원자들이 거대한 네트워크 형태로 무한히 반복되며 결합된 구조입니다. 이 경우에는 분자가 따로 존재하지 않고, 개별적인 분자 단위로 나뉘지 않는 구조로 존재합니다. 즉, 이온 결합 물질과 유사하게 원자가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분자"라는 개념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정리하면:
분자 결합 물질 (H₂O, CO₂ 등): 일정한 수의 원자가 공유 결합으로 결합하여 분자 단위로 존재.
공유 결정 물질 (다이아몬드, 흑연, SiO₂ 등): 일정한 분자 단위가 없고 원자들이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되어 있음. 이들은 "분자" 단위로 나뉘지 않음.
그래서 다이아몬드나 흑연 같은 공유 결정은 "분자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는 그들이 독립적인 분자 단위가 아니라, 거대한 원자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결정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