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 사실 수능 국어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78577
그냥 읽고 이해하고 그대로 풀면 되긴 해요
이해하는 과정에서 감상이니 글의 구조니 하면서 논쟁이 생기는거지 본질은 단순 이해라고 생각합니다.
잊잊잊이든 골목 안이든 결국 작품이 어떤 상황이고, 어떤 말을 하고 싶은지 '이해' 하면 풀린다고 생각하고요.
근데 그 이해를 어디까지 할 수 있는가, 어떻게 이해하게 만들 것인가, 이해의 범주를 어디까지 잡는지의 기준이 모두에게 다르기 때문에 국어 방법론에 대한 의문이 끝없이 나온다고 생각해요.
그런 점에서 상위권과 하위권의 발상이 완전히 다르기에(글 이해 속도든 처리 능력이든) 서로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하고 등급별 방법론이 나오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Ps. 팔로우 해두시면 국어 관련 칼럼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플때마다 자힐할거 아님..
-
https://orbi.kr/00069306569https://orbi.kr/0006...
-
질문받아요 16
ㄱ
-
물2 - 포물선 11
연습문제 14/16 뭐든 다 풀 수 있을 것만 같은 자신감
-
이걸 풀꽉 가네 0
누가 이길까
-
수특이랑 자료 조금 더 벅벅하고 렛츠고 벨로드롬
-
정삼각형 넓이가 X이고 3분의2 × X가 색칠한 부분의 넓이라고 X를 정삼각형 으로...
-
스카 와이파이가 대성연구소 사이트 막아놓음...ㅠㅠㅠ
-
뭐가 있을까 님들은 그때그때의 욕망에 충실하지 않고 열심히 사는 이유? 동기?가 뭐임
-
자기자신을 원소로 가질수없는거 부터가 집합론의 한계 0
https://orbi.kr/00069316804 그런 당신에게! 새로운 이론,...
-
친구가 연고전 영상 보내줘서 봤는데 갑자기 연고뽕 차서 ㅈㄴ 가고 싶어졌는데 더프랑...
-
자기라고 생각하면 100덕을 놓고 가세요
-
도서관이라 그만둠뇨
-
용용 7
다들 잘자용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