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지문 대비) 출제자가 법철학을 좋아하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61857
안녕하세요 독서 칼럼 쓰는 타르코프스키입니다.
법철학에 대해 아시나요? 많은 학생들이 법학, 철학 지문을 공부하지만 법철학이라는 개념에 대해서는 생소하게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로스쿨생들, 법조인들도 실무에서 접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죠. 하지만 법철학은 사실 직간접적으로 평가원(베카리아), 교육청(하트), 리트(구조이론, 관습이론) 등에서 반복적으로 출제되어 왔습니다. 특히 법학과 철학이 만나는 지점에서 이론학문과 실용학문의 성격을 모두 가진다는 점이 흥미로운 것 같습니다. 그러니 최소한 아래 내용 정도는 알아둡시다(이미 익숙한 이름들이 많이 보일 것입니다).
법철학은 법의 본질과 목적, 법적 개념들의 의미와 기능, 법과 도덕의 관계 등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이 학문은 법이 무엇인지, 왜 존재하는지, 그리고 법의 정당성과 효율성에 대해 질문하며, 규범적 법 이론과 기술적 법 이론, 법적 해석의 문제, 정의와 평등, 권리와 의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룹니다. 주요 법철학자로는 자연법 사상을 주장한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사회계약설을 논의한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법적 실증주의를 체계화한 존 오스틴(John Austin), 근대 법철학의 기초를 세운 이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법적 실증주의의 대표자인 한스 켈젠(Hans Kelsen)과 H.L.A. 하트(H.L.A. Hart)가 있습니다. 특히, 하트는 법적 실증주의를 발전시켰으며, 이에 반대하여 법의 내재적 도덕성을 강조한 론 풀러(Lon L. Fuller)와 중요한 논쟁을 벌였습니다. 또한, 정의론을 통해 사회적 공정성과 법의 역할을 논의한 존 롤즈(John Rawls)와, 법과 도덕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주장한 로널드 드워킨(Ronald Dworkin)도 중요한 법철학자입니다. 나아가, 법의 비도덕성이 극단적으로 사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 구스타프 라드부르흐(Gustav Radbruch)도 법철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제 법철학 지문 네 개를 찍어먹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습문제 1)
https://plato.stanford.edu/entries/lawphil-nature/#GenJur 참조 및 재구성.
인류 문명의 역사 전반에 걸쳐 법(law)은 위협과 강제력을 통해 그 명령을 시행하는 강압적 제도로 인식되어 왔다. 초기 법실증주의(legal positivism) 철학자들인 벤담(Bentham)과 오스틴(Austin)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법의 규범성(normativity)이 본질적으로 강제적 성격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법실증주의는 법의 유효성이 도덕적 고려사항보다는 사회적 사실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관점을 견지한다. 그러나 20세기에 이르러 법실증주의자 H.L.A. 하트(Hart)와 조셉 라즈(Joseph Raz)는 강제성이 법의 본질이나 사회적 기능의 핵심이 아니라고 반박하였다. 오스틴의 환원주의적 설명—즉, 법의 규범적 측면을 단순히 제재를 피하려는 욕구로 환원하는 견해—은 하트에 의해 엄격히 비판받았다. 하트는 법률 규칙이 단순한 처벌의 예측을 넘어 행동의 이유를 제공한다고 강조하며, 규칙의 이유제공 기능을 부각시켰다. 반면, 오스틴의 예측 모델의 지지자들은 법의 효력이 주로 제재에 있다면, 개인들이 왜 법률 규칙을 행동의 정당화로 간주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이에 조셉 라즈는 권위 이론(theory of authority)을 통해 법이 정당한 권위를 주장하는 권위 있는 사회 제도임을 서술하며, 권위가 그 주체와 적용될 이유 사이를 중재함으로써 개인이 독자적으로 행동할 때보다 더 나은 준수를 가능하게 한다고 보았다. 라즈의 개념은 배타적 법실증주의(exclusive legal positivism)를 지지하며, 이는 법의 유효성이 도덕적 고려 없이 전적으로 사회적 원천에 의해 결정됨을 주장한다. 이 입장은 드워킨(Dworkin)의 반실증주의 이론과 포괄적 법실증주의(inclusive legal positivism) 모두에 도전장을 내밀어 현대 법철학에서 중요한 논쟁을 촉발하였다. 또한, 승인 규칙(rules of recognition)과 같은 관습적 관행이 의무를 생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일부는 관습만으로는 의무를 생성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관습이 일정한 조정 문제를 해결한다면 의무적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법의 기초적 관습은 체스의 규칙이 게임 자체를 구성하는 것과 유사하게, 법의 실제를 창조하는 구성적 성격을 가질 수 있다. 구성적 관습 자체로는 그것이 구성하는 실천에 참여할 의무를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법을 준수할 의무는 외부의 도덕적 고려에서 비롯되어야 하며 이는 사회의 법을 준수해야 할 도덕적 의무인 정치적 의무(political obligation)의 문제와도 연관된다. 최근의 철학적 담론은 법의 규범성이 독특하다는 개념에 의문을 제기하며, 법이 다른 규범과 유사하게 행동 이유에 영향을 미치고, 그 규범적 중요성은 그 도덕적 영향에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현대 법철학은 또한 로널드 드워킨의 주장, 즉 법과 그 본성에 대한 이론이 본질적으로 해석적이고 평가적이라는 견해에 따라 방법론적 변화를 겪었다. 이는 도덕적으로 중립적이고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법의 본성에 대한 이론 개발에 대한 회의론을 불러일으켰다. 전통적인 논쟁에 대한 증가하는 좌절감 속에서, 학자들은 법을 특정 목적을 위해 인간이 만든 구성물로 이해하는 법의 인공물적 성격과 그것의 허구주의와의 연결성을 탐구하는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
<선택지> |
<선택지> |
(연습문제 2)
https://plato.stanford.edu/entries/criminal-law/#JustCrimLaw
형법의 존재 정당화는 그 막대한 자원 소비와 개인 삶에 미치는 심대한 영향을 고려할 때 지극히 복잡한 과업으로, 그 존재를 합법화하는 가치의 규명이 필수적이다. 다양한 이론들이 이 가치를 설명하고자 시도하는데, 응보적 관점(punitive view)은 형법의 주된 기능이 도덕적 위반에 대한 정당한 처벌을 가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법정 중심 관점(curial view)은 법정에서 개인의 책임을 추궁하는 절차적 정의와 공적 책임의 가치를 부각시킨다. 또한 예방적 관점(preventive view)은 형법이 범죄 예방을 통해 사회를 해악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에 주목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들은 각 기능 수행의 내재적 가치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해 설명적 공백을 남긴다. 이를 해소하고자 일부 이론가들은 형법의 가치가 사회적 관계의 틀 내에 존재하는 관계적 가치(relational value)라고 제안한다. 예컨대, 칸트적 관점(Kantian view)은 형법이 노예와 주인 간의 관계와 유사한 상호 의존적 관계를 개인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독립적 관계로 변환한다고 본다. 이러한 변환은 법적 권리의 존재뿐만 아니라 이 권리가 존중될 것이라는 보장과 위반 시 이를 재확립할 수 있는 기제를 요구한다. 반면, 공동체주의적 관점(communitarian view)은 형법이 정치 공동체 내 기존 관계에서 그 가치를 도출하며, 형사 절차가 공동체의 핵심 가치에 대한 헌신을 표명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견해들에 대한 반론은 심각한 장애를 가진 이들과 같이 독립성을 획득할 수 없는 개인을 고려할 때 제기되며, 이는 형법이 반드시 독립성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취약계층을 부당행위로부터 보호함을 시사한다. 또한 가부장제나 인종차별과 같은 체계적 불의로 특징지어지는 일부 공동체는 기존 관계를 단순히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가치를 재구성하여 형법을 통한 변혁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더불어 형법이 부당행위를 그 자체로 다루기보다는 더 큰 사회적 선을 위한 수단으로 보는 부당행위의 도구화(instrumentalization of wrongdoing)에 대한 회의론이 존재한다. 대안으로 일부는 형법의 정당성이 관계적이거나 본질적으로 공적인 것이 아닌, 누구나 실현할 수 있는 비인격적 가치(impersonal values)인 해악 예방이나 도덕적 부정행위의 방지에 있다고 주장한다. 비평가들은 이 접근법이 형법을 모든 도덕적 잘못에 책임지게 하는 지나친 확장성을 가지거나, 도덕적으로 잘못이 아님에도 가치 있는 제도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행위를 배제하는 과도한 제한성을 지닐 수 있다고 지적한다. 결국 형법의 정당성은 자원 배분, 개인의 자율성 존중, 선택적 집행의 가능성 등 실질적 고려사항을 인식하면서도 도덕적 부정행위를 예방하고 대응하는 그 고유한 능력에 근거할 수 있다. |
<선택지> |
<선택지> |
(연습문제 3)
https://plato.stanford.edu/entries/law-language/
법률 해석의 맥락에서는 법령 용어의 적용이 빈번히 평가적 판단을 요구하는데, 이는 가너 대 버(Garner v Burr) 사건에서 극명히 드러난다. 해당 사건에서는 바퀴 달린 닭장이 도로교통법(Road Traffic Act) 상의 "차량(vehicle)"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규범적 추론이 필요했다. 법은 도로 표면 보호라는 공익적 목적을 위해 제정되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차량"이라는 용어를 적용하는 것은 입법 의도 추구와 명확히 금지되지 않은 행위에 대한 형사 책임 확대 방지 등의 원칙들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 법률 언어의 이러한 평가적 고려에 대한 의존은 가치에 대한 전면적 회의주의에 도전하는데, "차량"과 같은 표면적으로 기술적인 용어조차도 규범적 맥락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조지프 라즈(Joseph Raz)의 "근원 논제(sources thesis)"는 모든 법이 사회적 사실에 근거하며 평가적 논증 없이도 사회적 사실만으로 식별 가능하다고 주장하나, 법 해석에서의 평가적 추론의 필요성은 이 논제와 상충한다. 법을 규범적 판단 없이 식별할 수 없다면, 이는 법의 내용이 사회적 사실뿐만 아니라 평가적 고려에서도 도출됨을 시사한다. 이 문제는 명백한 법 적용의 경우에도 해석을 안내하는 근본적인 평가 원칙이 존재하기 때문에 경계 사례를 넘어 확장된다. 예컨대, 명백한 차량의 사례에서도 그 적용이 평가적 고려에 의해 뒷받침되는 만큼 평가적 추론은 필수적이다. 법률 언어의 모호성(vagueness)은 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부주의한 운전(careless driving)"이나 "적법 절차(due process)"와 같은 추상적 기준을 사용하는 법률은 철학적 소라이트 역설(Sorites paradox)과 유사하게, 명확한 경계가 없는 모호한 술어의 문제에 취약하다. 소라이트 역설은 타이어에 고무 한 분자를 더하는 것이 그것의 상태를 대머리(bald)에서 아닌 것으로 바꾸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며, 결과적으로 어떤 타이어도 대머리가 되지 않는다는 모순된 결론에 이르게 된다. 모호한 법적 용어에 내재된 불확정성은 판사가 경계 사례에서 재량을 행사할 때 법적 의무의 소급 적용과 관련하여 법치주의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 로널드 드워킨(Ronald Dworkin)과 같은 철학자들은 법적 분쟁에서 단일한 정답의 존재를 주장하며, 어려운 사례에서도 법이 결정적인 답을 제공한다고 본다. 반면, H.L.A. 하트(H.L.A. Hart)는 법적 불확정성 앞에서 판사의 재량을 인정하며, 기존 법이 불확정적일 때 판사가 법을 만든다고 주장한다. 법에서의 모호성과 평가적 추론의 필요성은 법실증주의(legal positivism)와 법과 도덕의 엄격한 분리를 주장하는 이론에 중대한 도전을 제기한다. 더욱이 법에서 추상적 기준의 사용이 미덕인지 악덕인지에 대한 논쟁은 법 해석의 본질과 법이 행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더 깊은 질문을 반영한다. 궁극적으로 평가적 판단과 법 해석의 상호 연관성은 법적 권리와 의무를 결정하는 복잡성을 강조하며, 법이 규범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는 완전히 이해되거나 적용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인식은 법 해석에서 도덕적 추론의 역할을 최소화하거나 배제하려는 이론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평가적 고려가 법 담론의 근간에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
<선택지> |
<선택지> |
(연습문제 4)
https://plato.stanford.edu/entries/rule-of-law/#RuleLawRuleLaw
법치주의(Rule of Law)는 정치철학의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추구되어온 이상으로,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에서부터 현대 법학자들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에 걸친 지적 담론을 통해 진화해 온 개념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최상의 인간에 의한 통치와 최상의 법률에 의한 통치 중 어느 것이 우월한가에 대한 질문을 통해 법치주의의 기원을 제시했다. 그는 법률이 일반성과 사전 수립성을 갖춤으로써 정의 구현을 위한 예측 가능한 틀을 제공한다고 인정하면서도, 복잡한 사안에는 에피에이케이아(epieikeia, 공평)의 집중적 사법 통찰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존 로크(John Locke)는 이를 더욱 발전시켜 "공표되고 국민에게 주지된 확립된 상설 법률"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예측 불가능한 "임시적이고 자의적인 법령"과 대비시켰다. 여기서 "자의적"이라는 표현은 억압이 아닌 예측 불가능한 판결의 변덕을 지칭한다. 로크의 사유재산 보호에 대한 강조는 입법에 실질적 제약을 도입함으로써 자연권과 실정법 간의 긴장관계를 부각시키고, 입법부가 재산권 개념을 다룰 때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조명했다. 몽테스키외(Montesquieu)는 사법부의 입법부 및 행정부로부터의 독립을 보장하는 권력분립을 주창하며, 법률과 절차의 복잡성이 개인의 존엄성에 대한 존중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복잡한 법체계가 시민을 권력의 침해로부터 보호하는 방벽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며, 사법상의 권리(민법)는 정치적 권리(공법)의 원칙에 의해 지배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다이시(Dicey)는 "누구도 법 위에 있지 않다"는 법적 평등의 원칙을 강조했으나, 행정적 재량권에 대한 그의 경멸과 법치주의에 대한 엄격한 해석은 현대 통치에서는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F.A. 하이에크(Hayek)는 법치주의와 경제적 자유의 관계를 분석하면서 초기에는 사전에 수립된 일반적이고 비인격적인 규칙을 통한 통치를 옹호했으나, 후에는 사법적 결정을 통해 원칙이 발전하는 관습법 모델을 선호하여 입법적 강제보다는 자연발생적 질서를 선호하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론 풀러(Lon Fuller)는 법의 형식과 절차 준수가 실정법과 도덕적 정의 간의 간극을 좁힌다고 주장하며, "법의 내재적 도덕성"을 정립했다. 이는 법이 일반성, 공개성, 전향성, 일관성, 명확성, 안정성, 실행가능성을 갖추어야 한다고 명시한다. 풀러는 이러한 절차적 미덕이 효과적인 통치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행위 주체성과 존엄성에 대한 존중을 보여주며, 법이 도덕적으로 중립적일 수 없다는 견해를 주장했다. 법치주의의 진화는 예측 가능하고 일반적인 법의 필요성과 복잡한 사회에서의 재량과 적응성의 필요성 사이의 지속적인 긴장관계를 반영하며, 이는 자유와 정의를 수호하는 데 있어 법치주의의 근본적 역할을 강조한다. |
<선택지> |
<선택지>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성은 빼고 선착순 5명 기회 1번
-
국어시간에 선생님이 진로랑 연관지어서 자신이 생각하는 더 나은 세상을 적어오라고...
-
라는 가설이었던가 연구결과(?)가 있죠, 인간 대부분은 양성애자지만 사회적, 관습적...
-
단순히 에너지드링크 과다 복용 방지 관련해서 청원 걸면 효과 있다 보시나요? 되려...
-
패션 시전한다 이거 지면 진짜 챔스권 노란불 들어올까말까 되는데
-
10명까지
-
작년담임ㅆㅂ아 10
접장제 해서 애들 가르친거 봉사시간 10시간 안 들어갔노 ㅠㅠㅠㅠ 글밥왕이라서...
-
이제 시계 똥글도 별로 안쓰고 정상적인 글들만 썼으니 호감도 올라갔겎지?
-
으으 다람쥐 0
저걸 암산을 어케함
-
생명 사문하는 고3인데여 생명이 4 떠요..생명을 좋아하긴 합니다만 개념형 문제도...
-
갑자기 김과외로 과외가 잡혀서 허겁지겁 준비하는 중인데 무슨 지문 들고갈지 모르겠음...
-
중경외시라인 자연계열 합격해서 다니고있는 학생입니다. 요즘 제가 대학생활을...
-
겠냐고 ㅋㅋㅋ
-
뭐가 그나마 나음? (게이들 말고 이성애자 분들만....)
-
한 달 정도밖에 안 했는데 너무 많이 시킴 물론 맡은거 다 열심히 하고 있긴한데...
-
먹고 돼지처럼 살 쪄서 확실하게 외모 때문에 연애 못하는걸로 되기
-
투데이 146
-
우울해서 빵샀어 5
내일 잇올갈생각에 우울해 우웅
-
영어 기출 0
지금 김지영쌤 v올인원하고있는데 마더텅 같이 풀어야될까요 아님 걍 완강하고 시작할까욤
-
문 디 컬 논 술 성균관의대 빰빰빰 님들은 가능함
-
오늘 공부 끝 13
깔쌈하다
-
231밖에 안됨
-
현역인데ㅡ과탐 10
과탐 걱정되는데 어캄? 물지고 적어도 1,2 또는2,1 이렇게는 받아야 최저 맞출수...
-
수2 강사 추천 0
재종반 수2 수업으로 얻어가는게 없는 기분이라… 수2 자신은 있는데 암것도 안듣긴...
-
캬캬 메인이다 0
기분이 좋네요
-
나는 수시 진짜 ㅈ되서 주요과목 내신 산출하면 교과로 동아대 교육학과도 상향인데...
-
10에서 약간 당황할 문제 11-13까지는 무난하게 20-22가 약간 빡빡하게...
-
과탐 자습서,평가문제집,개념완성(부교재) 있는데 완자 풀 지 메가n제 풀지...
-
님 친구가 어느 날 게이 커밍아웃을 하고 본인 남친을 공개함, 커밍아웃 이후...
-
1213번급 입문 n제 정도 난이도임?
-
국어 ebs 누구듣지.. 피램 해설지식 지문 독해 스타일을 가진 강사분 있나요?
-
고등학교땐 학급임원도 안나가봄
-
담주에 유지장치 본뜨기로 했는데 오늘 교정기 사이사이 고무줄 엮어놓은거...
-
대기업 취직 / 로스쿨 도전 이건가
-
“ 응 내가 심찬우쌤이야.”
-
공동체 역량은 학생회 활동 안해도 충분히 채울 수 있음 시간 너무 빨리고 진로랑...
-
작년에는 쉬운 느낌이었는디 올해는 빡빡하네.. 근데 문제퀄은 엄청 옹라간듯.. 양산형 문제가 없음
-
아가 자야지 0
낄낄 1교시
-
실검 ㅋㅋㅋㅋ 5
오르비 2일차에 본 내가 승자다 물론 바로 탈릅할뻔함
-
주변도르임 걍 ㅈㄴ 만족해하는듯
-
일요일 저녁에 오겠음 오르비 끊기 시작
-
칼럼러에게 좋아요, 팔로우,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칼럼] 독서 점수가 왜 안...
-
나한테 하등 도움이 안되는걸 앎 그래도 보고 있음 기분은 몇시간 내내 계속 불안함
-
이미 학급회장이긴 해서 고민중인데 고등학교 학생회 해보신분들 추천하시나요...
-
무슨생각드나요
-
난 자식 얼굴 생각하면 못할거 같음 물논 한다는 사람이 있단 전제하에
-
이번년도 강의랑 들어도될까요??? 사놓고 안썼었는데 다시사기아까워서.... 내용 똑같나요
-
인현강 강사들이 분석서 만들어줘 강의 찍어줘 변형문제 만들어줘 심지어는 중요도도...
-
수험생에게 사치인가요?
선생님께서 들고 오시는 지문은 수능지문보다 어렵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요 구체적인 내용은 최대한 생략했기 때문에 지문 독해 자체가 어렵지는 않다고 생각해요. 다만 낯선 글을 효율적으로 읽고 압축된 문장에서 최대한 구체적으로 표상해보고 연결/비교/대조하는 연습이 중요한 거라서요. 모의시험이라기보다는 상상력 강화 훈련 도구+배경지식의 단서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