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적으로 검증된 공부법에 관한 사실 모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40369
0. 우리가 공부법에 관련해서 듣는 것들은 대부분 연구에 의한 것이 아니라 들은 이야기나 본인 경험에 의한 ‘의견’임.
그러나 아래의 것들은 모두 연구에 의해 ‘검증’이 되었다.
1. 반복해서 개념을 읽는 것보다 그 개념을 떠올리게 하는 행위를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ex: 문제 풀이, 백지 복습, 빈칸 채우기)
2. 추상적인 지식은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것으로 변할 때 학습이 더 잘 이루어진다. (자기 경험과 연관짓는 등)
3. 바로바로 피드백을 받는 것보다 시행착오를 겪다가 나중에 피드백을 받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4. 서술형이나 단답형 시험류가 선다형이나 OX시험류보다 효과적이다.
5. 한 문제 유형만 벅벅벅벅 푸는 것보다 여러 종류의 유형을 교차해서 푸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더 좋다. (초기 학습 단계에서는 방해됨)
6. 특정 지식을 익힐 때 간격을 두고 공부하는 것이 좋은데, 이때 싹 다 잊어버려서 새로 배우는 느낌이 들 정도로 간격을 두면 안 된다. (살짝 잊어버려서 조금 힘들게 공부할 정도로만 간격을 두자.)
7. 수면은 기억의 통합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니 쳐 자라.
8. 뭐 하나만 ㅈ빠지게 반복해서 연습하고 있다면 단기 기억에 의존하는 것이고, 이때는 정신적 노력이 거의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별로 좋은 방법이 아니다.
9. 이미 알고 있는 지식과 연결하는 한 우리가 기억할 수 있는 지식의 양에는 사실상 한계가 없다.
10. 즉 새로운 학습은 사전에 학습한 지식에 의존하기 때문에 많이 배울수록 앞으로 배울 수 있는 것들이 많아진다.
11. 회상에 성공한다는 전제 하에, 그 회상에 드는 노력이 많을수록 더 효과적인 학습이 된다.
12. 해설지 보기 전에 문제랑 씨름하고나서 해설지를 보면 더 잘 배우고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
13. 문제를 푸는 데 실패한 시도들은 나중에 답이 나왔을 때 그 답을 머릿속 깊이 처리하도록 촉진하고 부호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14.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학습에 악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시험에서 실수하는 것을 아주 두려워하는 학생은 그 불안 때문에 더 나쁜 결과를 얻기도 한다.
(왜냐하면 작업 기억 용량의 상당한 부분이 자기가 잘 하고 있는지, 실수하고 있지는 않은지 감시하는 데 쓰이기 때문에 문제를 푸는 데 쓸 작업 기억 용량이 낭비됨)
15. 무조건 어렵다고 좋은 게 아니다. 학습자가 노력했을 때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어려움이 바람직한 어려움이다.
16. 어떤 기억을 떠올릴 때마다 우리 뇌는 그 기억을 떠올리는 경로를 강화한다. (기억을 자주 꺼내면 더 쉽게 꺼내짐)
17. 무조건적인 자기주도학습은 별로다. 학습자는 자신에게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파악하고 그 부분을 채우는 데 필요한 연습의 체계를 잡아주는 교육자의 지도를 받을 때 학업 성취도가 높아진다.
18. 지능이 고정된 것이라고 믿을 때보다 자신의 노력으로 지능을 좌우할 수 있다고 믿을 때 학습이 더 효과적이다.
출처 :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0 XDK (+1,000)
-
1,000
-
국어 야뎁으로풀면 10
집중력차이 다들 느껴짐? 독서풀때 느낌 어떰
-
초반에 공부할땐 확통 ㅈㄴ쉽다는게 뭔말인지 모르겠고 너무 개같은 과목인것 같았는데...
-
빅포텐2우마이 0
내가다먹어야지
-
볼 만한 논문 추천해 드림
-
윤리는 생윤 킬러 주제 정도 빼올거고 일반사회는 경제 비교우위 기회비용이랑 사문...
-
강E분 독서 1
수특독서 60지문이 넘어가는걸로 아는데 강e분 독서는 왜 e21까지 밖에 없음?
-
그냥 존나 이번 일년이 허상같음 동기도 거의 없고 과잠도 없고 수업도 없고 이거 1학년 맞냐
-
배그 8
수능끝나고 같이 할사람 있나
-
다시 웃고 싶어졌지
-
나만 그런가 ㅋㅋ 글고 히카특인지는 몰겠는데 3점에서 은근 시간 끄는 문제가 몇개씩있음
-
메이저간 내동생 재미로 봤는대 꼴았음
-
빠르게 메카니카 한 번 더 돌립시다
-
이영수t 유베가는길, 구문20수air, 파데 상하 워드마스터 2000,...
-
서킷 풀었는데 어렵네... 1회 풀었는데 60분 3문제 틀림 대가리 깨지는 목적으로...
-
국어문법 1
공부 어떻게 하셨나요?
-
끼얏로호우!
-
나만 그런가
-
기출vs쎈 6
문제풀이의 논리는 수1 수2랑 똑같아서 큰 어려움은 없는데 지수로그함수 극한 미분...
대미래 대대대
오늘도 유익한 글 감사합니다?
이거 말고도 많은데 제가 맘에 드는 것만 가져온 거라
더 알고 싶으면 출처가 되는 책 읽기 ㄱㄱ다
미레님 약 드실 시간입니다
아침에 먹었습니다

캬김미레가 이렇게 유익한 글을
저는항상 유익한 글만 씀
정보추
노잼 내가 알던 미레 어디갔냐
감사합니다
오
18번이 와닿네요
스크랩
백지복습 하세요~~~
이글을보고6개월만에54545에서11111이 되었어요.
하나도 빠짐없이 다 맞는 말이라그냥 조용히 좋아요만 누르고 갑니다..
와닿는 게 많구만유...
17번 빼고 다 평소에 하던생각들이라 놀랍네..
구라 ㄴ
ㅈㄴ유익한데 머지
감사합니다 스크랩해가요
여태까지 오르비에서 본 유익한 글 top3인듯
18번 ㄹㅇ 경험담임. 자기객관화가 확실히 돼서 본인 행동에 결과가 예상되기 시작하면 의욕 안생겨서 멋도 모르고 할 때보다 퍼포 안나옴
지능 vs 노력 전통놀이 때 해주고 싶은 말
"만약 공부가 재능이라는 게 밝혀지면
아무것도 안 하고 살것인가?"와 함께
혹시 이윤규변호사님 영상 보셨나용? 그분이랑 되게 내용 결이 비슷함
출처가 있는디
아그러네요..ㅈㅅ..
구구절절 맞는 말만 있네
저격글과 똥글에 이어 칼럼까지 장악해버리는 대미레
7번 진짜 공감… 수면이 부족하면 이상하게 어제 공부한 게 기억이 안나더라고요
문과갤러리 화이팅
그게 머에요?
호감고닉 미레님 반가워요
11, 12 빼고 싹 다 공감
3줄요약좀
1, 5 보면 양치기랑 N회독이 왜 나쁜 선택이 아닌지 바로 이해가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