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누가 잘찍나(30000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20146
당신이 원 모양의 숲 속에서 길을 잃었다고 하자. 숲이 정확히 반지름 1km의 원이라는 것은 알지만, 현재 숲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는 알지 못한다. 이때 어떻게 할 지를 묻는다면, 직관적인 답은 ‘숲을 벗어날 때까지 직선으로 걷는다’일 것이다. 실제로 최악의 경우에 숲을 벗어날 때까지 이동한 거리를 판단 기준으로 삼는다면, 일직선으로 걷는 것이 최고의 선택임을 증명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숲에 대해 이 전략이 최고는 아니다. 예를 들어, 가로 길이가 1km이고 세로 길이가 무한한 직사각형 모양의 숲이라면, 직선으로 걸을 경우 최악의 경우, 즉 숲과 평행한 각도로 걷기 시작했을 경우 절대로 숲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한편 직선으로 앞으로 루트(2)km만큼 걸은 뒤 90도 돌아 다시 루트(2)km만큼 걷는다면, 시작 지점과 각도와 상관없이 숲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다음 중, 최고의 전략이 직선으로 걷는 것이 아닌 숲의 형태를 모두 고르면?
(모든 ‘숲‘은 2차원 평면의 닫힌 부분집합으로 간주하며, 숲에서 ‘벗어나는‘ 것은 숲의 내부를 벗어난 것으로 정의한다. ‘최고의 전략‘은 어떤 경우에도 숲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경로, 즉 모든 초기 위치와 각도에서 숲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경로의 모든 길이의 최대하계와 그 길이가 같은 경로를 의미한다.)
댓글로 답을 처음 맞추시는 분에게 30000덕을 드립니다.
아주 어려운 문제지만, 이해는 쉬우니까 찍기는 할만할지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주인공 부모 세대는 20대부터 중년 배우를 쓰고 주인공 세대는 청/장년->중년으로...
-
영어, 수학, 지구과학만 챙겨야지 화학 생명 문학은 하루전에 벼락치기
-
님들?
-
ㅋ ㅋㅋㅋㅋ ㅋㅋ ㅋㅋ 가령말이지 1970년대 라는 말을 하면 년대?...
-
약한영웅보는데 0
이사람 ㅈㄴ잘생겼어
-
왜냐면 집에서 나온순간부터 뛰었음
-
공부를 열심히하면 정치에 관심이 없어지는 이유를 암? 2
왜냐면 ㅋㅋ ㅋㅋ ㅋ 중도 를 좋아하니깐 ㅋ크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
언제죽지 1
하 시발 일 하나 줄여야지
-
졸려.. 0
더 자고싶다..
-
메이드 대학보내고 난 집에 잇는거임
-
비추인가요? srt 타면 1시간 조금 넘게 걸리긴하는데 .. 지방러라서 ㅜ...
-
결국잠못잠 1
-
옯쟝 하잇 4
나니가스키
-
아니지 노천극장 똥군기짤 등등 박제될만한 건 다 돌아다녔는데도 연고대 입학과는 일절...
-
[스포] 28 수능(예시) 국어 독서 사회·문화 지문 복습시 참조 1
안녕하세요, 디시 수갤·빡갤 등지에서 활동하는 무명의 국어 강사입니다. 어제 발표된...
-
나스닥 파멸적 숏
-
어젠 인증 떡밥도 안돌았는데 ㅅㅂ
-
이번 3모에서 수학 미적 백분위 95정도 나왔는데요, 현장에서 12번 계산실수,...
-
제발 들어봐요 안죽어요
-
교사경 모음인 거 같은데 어떰? 평가원은 카나토미랑 수분감 풀어서 충분한디
-
이 사람 강의력이랑 단권화 전략 예사롭지 않음 이미 윤리 1타지만
-
혼자 공부한다고 하는데 시간만 오래 걸리고 선지 판단과 지문 분석이 너무...
-
얼버기 혈서 0
-
더 자고싶다 0
-
먹어도 괜찮...겠죠..?
-
물리 시험 두번을 치기 위해서 계산기에 돈을 태운다..??? 싼 거라도 사야하나 그냥
-
얼버기 0
부지런행
-
물리화학이 어렵게나올텐데 배기범이나 화학1타가 통과1타하려나
-
실검 2위 뭐임 8
-
확통말고 기하나 삼각함수 미분은 배울수없는거임? 인강도 없고 대학가서만 배울수있나 좀 아쉽군
-
써먹지도 못할내신 버려야지 1.9 아깝긴한데 뭐 어쩔수있나...
-
아 일교시 0
개빡이네
-
급하게 나오느라 ㅜㅜㅜㅜㅜ 또 하나 사야되네 이렇게 산 라이터만 집에 30개다
-
이별이란…
-
ㅇㅂㄱ 12
다들 화이팅이에요
-
그냥 전범위 실모데이인거지 뭐~
-
확통은 할 줄 몰라요... 예비시행은 확실히 계산이 거의 없네요 풀이랑 코멘트...
-
D-1 6
마지막까지 달린다
-
행님덜 강기원쌤 복영 어케 구매해야 하는 건가유.. 시대인재에 전화해야 할까여 무서운데 ㅠㅠ
-
그냥 돌려서 잘생겼다고 말하더라 실제로 나존잘인데 직접적으로 잘생겼다고 못들음
-
더 좋은 대학 뱃지 있는데 낮은 대학 끼는 이유가 먼가요 3
순수 궁금증
-
그러게 근데 나 물리 마스터하고 싶었오
-
하하 내일이면 하하 중간고사가 끝나네요 하하하하하하ㅏㅏㅏ 기다려라 당장 노래방부터 간다
-
머리아파서 잠이 안오네여ㅡㅡ..ㅠ
-
25수능 미적 20 21 22 28 29 30 틀렸는데 확통하는게 나을까요? 29...
-
아 자기싫다 2
근데 안 자도 할 게 없어
-
현역 고3입니다 3모 보고 나서부터 제정신이 아닌 느낌으로 사는 것 같아요 그래도...
7
6
혹시 반수 하시나요 ㅋㅋ 요즘 뭐하고 지내시는지
반수는 안해요
걍 행복하게 사는중
‘모두 고르면‘ 입니다…
설마 답이 1개겠어요
개으렵다
사실 저 보기중에는 아예 현재 증명된 최적경로가 없는 것도 있어요
직선이 아닌 걸 알 뿐…
푸는거보다 논문 찾아보는게 빠를거같아요
최고의 전략‘은 어떤 경우에도 숲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경로, 즉 모든 초기 위치와 각도에서 숲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경로의 모든 길이의 최소하계와 그 길이가 같은 경로를 의미한다.)
하계가 막 실수집합의 크기와 자연수집합의 크기가 다르다 이런거 할때 쓰는 하계인가요...?
저건 사실 엄밀하게 쓴 거고, 그냥 숲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경로 중 길이가 최소인 걸로 생각하셔도 되요
그건 기수의 개념인 것 같아요
실수(또는 순서가 정의되는 집합)에서 어떤 집합 S의 하계는 S의 모든 원소보다 작은 원소이고, 이 하계들의 집합은 원래 집합이나 이 집합이 공집합이 아니라면 항상 최댓값을 가지는데 이를 최대하계라 해요
그와중에 최‘대‘하계인데 최소하계로 오타났네요…ㅋㅋㅋ 보통 greatest lower bound로 많이 써요
모든경우
문제 이해가 잘 안되는데
모든 지점과 각도에서 출발할때 직선으로 걷는다 치면 그때 이동거리의 최댓값보다
직선이 아닌 전략으로 위 행위를 반복할때 모든 경우 중 최댓값이 더 작을 수 있냐를 묻는 것이 맞나요?
정확해요
예를 들어 원의 경우 직선으로 가면 최대 거리는 2이고, 다른 길이가 2인 경로를 사용하면 항상 탈출하지 못하는 위치가 있음을 보일 수 있어요(경로의 중심을 원의 중심에 놓으면 됨)
엄
1, 6?

ㄷㄷ역시 구글링이 최고인듯
(https://en.wikipedia.org/wiki/Bellman%27s_lost_in_a_forest_problem)
사실 구글링 아니면 빡세서…
직관적으로 원에 가까울수록 직선일 가능성 높다로 풀 수 있긴 하죠
은근 기하학 쪽에도 소파 옮기기 문제, 정사각형 채우기 문제같이
문제 자체는 이해하기 쉬운데 난이도는 훨씬 높은 문제들이 많은 거 같네요 ㅋㅋ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28694327_Lost_in_a_Forest
논문 찾은거같은데 늦었다니 ㅠㅠㅠ
피머쌤이 안하니까 분점에서 누잘찍이...
벨만의 숲에서 길을 잃은 문제는 1955년 미국의 응용 수학자 리처드 E. 벨만에 의해 제기된 기하학의 미해결 최소화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이 진술됩니다: "하이커가 모양과 크기가 정확히 알려진 숲에서 길을 잃었다. 그가 숲에서 탈출하기 위해 따라야 할 최선의 경로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하이커는 출발 지점이나 자신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모른다고 가정합니다. 최선의 경로는 숲의 가장자리에 도달하기 전에 이동해야 하는 최악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경로로 정의됩니다. 이 문제의 다른 변형들도 연구되었습니다.
실제 세계에서의 응용은 명확하지 않지만, 이 문제는 실용적으로 중요한 탐색 전략을 포함하는 기하학적 최적화 문제의 한 종류에 속합니다. 연구에 대한 더 큰 동기는 모저의 벌레 문제와의 연관성입니다. 이 문제는 수학자 스콧 W. 윌리엄스가 "백만 달러 문제"라고 설명한 12개의 문제 목록에 포함되었는데,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 수학에 최소한 백만 달러의 가치를 지닐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접근 방식
증명된 해결책은 정다각형과 원과 같은 몇 가지 모양이나 모양의 클래스에 대해서만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60° 마름모를 둘러싸고 긴 대각선이 지름과 같은 모든 모양은 직선의 해결책을 가집니다. 정삼각형은 이러한 속성을 가지지 않는 유일한 정다각형이며, 세 개의 동일한 길이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지그재그 선을 해결책으로 가집니다. 다른 많은 모양에 대한 해결책은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해결책은 숲의 모양을 입력으로 받아 최적의 탈출 경로를 출력으로 반환하는 기하학적 알고리즘의 형태일 것입니다.
일단
삼각형 - 직선 아님
45각형 - 직선 맞음
마름모 - 직선맞음
나머진 모르겠다 살려줘요
영어가 이상해서 모루겟서요 번역해도 이상하네
전 156 하겠습니다.
이 이게무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