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존산소량이 심해에서 더 적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19078
기체 용해도가 온도에 반비례하니까 표층보다 심해에서 더 많은거 아닝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번 9모때 확통 찍맞 없이 80 나왔습니다. 기출 풀어본게 뉴런 문제들이랑 작년에...
-
우울글의 끝판왕
-
늦네에 14
추석물량이많나봄.. 아직 발송대기...
-
돈 필요해서 받는데 보증료만 36만원 내야하는데? 알바비 15일에 들어오는데...
-
상대평가 부활해야
-
[칼럼] 의대 교과 면접 분석 (2) 기출 풀이 #영남대 창의인재/의대생/MMI 면접 대비 3
저번 글에 이어서 이번엔 23년도 기출 풀이를 해보겠습니다. 우선 영남대는 문제...
-
쌤이 시비거는데 어카노 16
전 고등학교 3년내내 쌤이랑 트러블 있던적 없고 수업시간에 졸았던 적 거의 없고...
-
요즘 드는 생각이 저는 엄청 긍정적인 사람인것같아요 객관적으로 제 상황을 쓰면 진짜...
-
걍 풀세트로 뽑아서 다시 풀까 아님 걍 아수라에 있는걸로만 할까 어카지 9평칠때...
-
킬캠 배송떴다 0
수학 할 거 없었는데
-
호머식채점자체가 아예 불가능함 걍 예전성적 나왔다치고 성적자체를 호머해볼까
-
오르비에 가입된 이름이랑 제 이름이랑 달라서..(개명) 문의 어디로 넣음되나요
-
수능낭인이 추천하는데 연계 귀찮을때 대충대충 보면 되려나요 근데...
-
밸런스게임 0
ㅇㅇ
산소가 공급이 안 되는데 심해 생물들이 다 먹어치워서
표층보다는 적지만
아래로 내려갈수록 증가 하는 구간있어요
그리고 추가적으로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에 반비례 하는것은 맞지만 온도에만 반비례하는것이 아닙니다
온도와 기체분압 물질의극성등등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은 문제에서는 용해도를 물어볼때 수온을 제외한 다른것은 고려하지 않는다 라는 말이 붙어있어있고 지구과학 문제를 풀때는 온도가 낮으면 용해도가 높으니깐 용존산소량이 많겠지?라는 생각은 안됩니다
항상 자료를 기준으로 생각하셔야해요
표층에서 산소는 표면에서 공급, 광합성 때문에 용존산소량이 높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용존산소량이 감소합니다
계속 감소하다가 고위도의 해수 침강으로인해 용존산소량이 증가하는 구간이있지만 표층보다는 용존산소량이 낮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