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책 읽기 어렵다면, 서평이라도 보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05758
안녕하세요 독서 칼럼 쓰는 타르코프스키입니다.
독해력을 키우기 위해 책을 읽는 게 중요하다는 건 수험생이라면 다 알지만, 책 읽을 시간조차 부족한 게 수험생입니다. (그럴 시간 있으면 수학 문제 하나라도 더 푸세요) 그래서 독서를 안 하고도 독서를 한 것 같은 효과를 보는 방법은 없을까 꽤나 고민했었죠.
조정식 T의 공부법 영상에서도, "영어 지문을 못 읽는 원인의 90%는, 영어를 못하기 때문이 아니라, 텍스트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라고 언급하신 걸 봤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Aa8Ibm8b9Qo). 실제로 저는 텍스트에 대한 경험치와 피지컬을 높이는 게 국어는 물론이고 영어, 탐구 공부에도 크리티컬하게 유익하고, 심지어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제가 찾은 해법은 좋은 서평을 읽자는 것입니다. 그리고 세계에서 서평으로 가장 저명한 기관이 바로 NYT(뉴욕 타임즈)입니다. 이름에서부터 높은 권위가 느껴지는 NYT book review는, 전문가, 교수, 필진들이 모여 책을 선별하고, 또 그 책을 요약하고, 의의와 평가까지 해설해 줍니다. 잘 모르겠으면 전문가가 골라주고 써준 요약본 읽기만 하더라도, 책을 읽은 효과를 (어느 정도) 낼 수 있는 거죠. 원래 좋은 서평은 도서에 종속된 글이 아니라 그 자체로 독립된 작품으로 여겨집니다. NYT 이외에도 퓰리처상, NBA, 아마존 등 다양한 기관에서 가장 핫하고 뛰어난 책의 목록을 발굴할 수 있습니다.
혹시나 서평 읽는 시간도 없는 극한의 '효율충'이라면, 서평에 대한 소개글이라도 읽어보세요. 유튜브 영상 하나쯤 안 보면 다들 그 정도 시간은 있잖아요?
가장 큰 문제는 한글로 된 좋은 컨텐츠가 생각보다 적고, 수능 비문학처럼 예쁘게 압축되어 있지 않고, 특히 NYT 컨텐츠가 모두 유료라는 건데요. 제가 여러 도구를 활용해서 한문단짜리 서평 자료를 제작,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하나의 책을 한 문단으로 요약하려면 반드시 추상적인 개념, 난해한 문장구조, 방대한 정보량, 암묵적인 배경지식, 복잡한 논리, 불충분한 전후맥락을 포함하게 됩니다. 그게 바로 수능 국어에서 소위 킬러 문제로 불리는 지문의 특징입니다.
수능 국어가 어렵다고들 하지만 사실 정말로 어렵다고 손꼽히는 지문은 많지 않습니다. 쉬운 지문을 두 개 읽는다고 어려운 지문이 대비되지 않습니다. 봤던 지문을 다시 본다고 새로운 지문이 읽힐리도 없습니다. 따라서 어렵고 새로운 지문을 효율적으로 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자료를 접하는 연습이 필수적입니다.
(예시 지문 1)
이자벨 윌커슨(Isabel Wilkerson)의 "다른 태양의 온기(The Warmth of Other Suns)"는 1915년부터 1970년까지 약 600만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억압적인 남부의 농촌을 떠나 산업화되고 도시화된 북부로 향한 대이주(Great Migration)라는 복잡하고 다층적인 현상을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과거에는 이들 이주민이 빈곤하고 교육 수준이 낮으며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집단으로 묘사되었지만, 윌커슨은 그들을 더 나은 기회와 인간의 존엄성을 추구하는 결단력 있는 개인들로 재조명한다. 그녀는 이들이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미국에 정착한 유럽 이민자들과 마찬가지로 기업가 정신과 밝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공유했다고 강조하며, 이 주장을 이주민들의 교육 및 고용 수준 상승이라는 통계적 증거로 뒷받침한다. 세 명의 서로 다른 시대에 속한 개인들의 이주 경험을 따라가는 그녀의 서사는 그들이 직면한 인종적 편견과 경제적 어려움의 복잡성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윌커슨의 면밀한 연구는 단일한 대탈출(exodus)이 아닌, 세 개의 철도 노선에 따라 구분되는 세 가지 독특한 이동 경로로 특징지어지는 이주 현상을 밝혀낸다. 이는 대이주가 단순한 인구 이동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과 경로에 의해 형성된 복잡한 현상이었음을 시사한다. 그녀의 저서는 또한 새로운 환경에서 이주민들이 경험한 성공과 동시에 지속되는 인종적 긴장이라는 역설적인 상황을 깊이 있게 분석한다. 그들은 새로운 삶을 구축하는 데 많은 성취를 이루었지만, 여전히 인종 차별과 편견에 맞서야 했다. 비록 윌커슨의 글에서 반복과 생략과 같은 서술적 한계가 존재하지만, 이는 그녀가 구조적 요인보다 개인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녀는 개인적 경험에 주목함으로써 이 역사적 사건을 더욱 인간적이고 공감할 수 있게 묘사한다. 궁극적으로 윌커슨의 작품은 삶의 터전을 떠나 새로운 시작을 추구한 이주민들의 불굴의 희망과 강인한 정신에 대한 증언으로서, 미국 역사에서 자주 간과되어 온 중요한 장을 부각시킨다. 그녀의 저서는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대이주가 단순한 지리적 이동이 아니라 자유와 존엄을 향한 인간의 보편적 추구였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윌커슨은 복잡한 역사적 현상을 개인의 삶을 통해 생생하게 그려내며, 독자들에게 깊은 이해와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https://www.nytimes.com/2010/09/05/books/review/Oshinsky-t.html ] 참조 및 재구성.
- 윌커슨은 대이주를 하나의 단일한 대탈출(exodus)로만 인식하여, 세 가지 철도 노선에 따른 이동 경로의 다양성을 무시하였다.
- 윌커슨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이주민들이 유럽 이민자들과는 달리 기업가 정신과 밝은 미래에 대한 희망이 부족했다고 기술하였다.
- 윌커슨의 연구는 대이주 이전 남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며, 그들의 이주 결정이 주로 문화적 동기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 "다른 태양의 온기"는 대이주 참여자들의 교육 및 고용 수준 상승을 통계적으로 입증함으로써, 이 현상이 미국 사회 전반의 인종 차별 해소에 직접적으로 기여했다고 결론짓고 있다.
(예시 지문 2)
고전 시대 문학 작품의 방대한 손실 가운데, 티투스 루크레티우스 카루스(Titus Lucretius Carus)의 데 레룸 나투라(De Rerum Natura,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는 수천 년에 걸쳐 깊은 통찰로 공명하는 놀라운 생존 작품으로 떠오른다. 기원전 1세기에 집필된 이 7,400행의 라틴어 서사시는 철학, 물리학, 광학, 우주론, 사회학, 심리학, 종교, 성(性) 등을 정교하게 직조하여 데모크리토스(Democritus)의 원자론에 기반한 에피쿠로스(Epicurus)의 세계관을 담아낸다. 루크레티우스는 무한하고 영원한 원자들이(클리나멘clinamen) 미세한 "편향"(swerve)을 통해 허공을 예측 불가능하게 이동하며 모든 물질을 구성하고, 사물의 형성과 소멸을 가능케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원자의 편향은 물리적 우주의 근간을 이룰 뿐 아니라, 결정론적 운명을 거부하는 무작위성을 도입하여 인간에게 자유의지를 부여하고 해방을 촉진한다. 인간은 영혼을 포함한 원자들의 집합체이므로, 죽음은 단지 원자들의 분산을 의미하여 사후 세계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하고 신적 개입을 무의미하게 만든다. 존재의 일시적 본성을 수용하면서, 루크레티우스는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는 에피쿠로스의 원칙에 따라, 향락주의적 과도함이 아닌 평온함을 함양하고 비이성적 두려움과 달성 불가능한 욕망을 회피하는 삶을 권장한다. 서로를 소유하려는 연인들의 헛된 시도를 생생하게 묘사하며, 이는 인간의 끊임없지만 무의미한 추구를 상징한다. 대신 그는 우주의 진정한 본질을 성찰하여 깊은 경이로움과 평온함을 얻을 것을 촉구한다. 역사적 무관심과 억압으로 인해 거의 소멸될 뻔했던 이 서사시는 1417년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포조 브라치올리니(Poggio Bracciolini)에 의해 우연히 재발견되었다. 이후 데 레룸 나투라의 전파는 뉴턴(Newton)과 다윈(Darwin)과 같은 사상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며, 문학이 시간을 초월하는 강력한 힘을 지님을 강조한다. 이 텍스트의 여정은 오래된 목소리가 세기를 넘어 새로운 지성과 친밀하게 소통하는 작가와 독자 사이의 연약하지만 강력한 연결을 입증한다. 이러한 친밀함과 연약함의 상호작용은 문학적 생존의 우연성과 인간 사상을 보존하는 데 있어 우연의 결정적 역할을 부각한다. 궁극적으로 루크레티우스의 걸작은 사상의 회복력과 연이은 세대에 영감을 불어넣는 능력의 증거로 남아 있다.
[https://www.nytimes.com/2011/10/02/books/review/the-swerve-how-the-world-became-modern-by-stephen-greenblatt-book-review.html ] 참조 및 재구성.
- 루크레티우스의 원자론은 현대 양자역학의 불확정성 원리를 예견하였으며, 이는 그의 사상이 현대 물리학의 근간을 이루는 결정적 역할을 했음을 명확히 입증한다.
- 에피쿠로스 철학의 쾌락주의적 원칙은 루크레티우스에 의해 재해석되어, 모든 욕망의 무제한적 충족을 통해 궁극적 행복에 도달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 발전하였다.
(예시 지문 3)
공공 선택 경제학을 혁신적으로 발전시킨 제임스 맥길 뷰캐넌(James McGill Buchanan)은 모든 이익 집단이 공동의 복지보다 자기 이익을 추구한다는 전제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그는 정부 기관에 대한 회의적 시각을 조장하고 시장 중심의 해결책을 지지했다. 그는 민주주의에서 다수 지배가 공공 서비스의 과잉 확대를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는 다수가 대규모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부유한 소수에게 세금 부과를 선호하는 경향 때문이며, 이러한 현상이 민주주의의 본질적 경제적 딜레마를 형성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다수 연합의 욕구(appetites of majority coalitions)"를 제한하기 위해 뷰캐넌은 그들의 권력을 억제하는 영구적인 헌법적 제약의 수립을 주장하며, "현시대의 문제는 통치자가 아닌 규칙에 집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의 급진적인 고찰은 "전제정치(despotism)가 우리가 목도하는 정치 구조에 대한 유일한 조직적 대안일 수 있다"는 제안으로까지 확장되었으며, 이는 현존하는 민주주의 틀에 대한 그의 심오한 비판을 반영한다. 그는 다수가 이러한 제약을 본질적으로 거부할 것임을 깨달았다. 소득과 부의 격차 심화로부터 대중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그는 공공 기관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키는 노력을 조직했다. 그는 "효과적인 반지식인(counterintelligentsia)"을 육성함으로써 대리인들을 우익 이념으로 세뇌시켜 사회의 의식 구조 깊숙이 침투시키고자 했다. 사회보장제도의 민영화와 같은 계획에 전략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그는 그 제도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회의를 불러일으켰다. 또한 공공의 합의를 분열시켜 근본적인 사회 구조의 재편성에 몰두했음을 보여준다. 뷰캐넌의 이론은 현대 정치의 극단적 분열과 제도적 마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 이념적 운동이 민주주의 절차를 재정의하는 데 얼마나 강력한지를 부각시킨다. 그의 유산은 사회를 지배하는 체계적 구조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요구하며, 일시적인 지도자보다 불변의 규칙의 우선성을 강조한다. 공공선을 위한 집단적 행동의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그는 엘리트의 특권을 다수의 복지보다 상위에 두는 민주주의에 대한 냉소적 관점을 조성했다. 그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은 오늘날의 정치적 역학을 형성하는 근본적인 힘과 정부가 사회적 요구를 해결하는 역할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https://www.nytimes.com/2017/08/15/books/review/democracy-in-chains-nancy-maclean.html ] 참조 및 재구성.
- 뷰캐넌의 공공 선택 이론은 민주주의 체제의 근본적인 결함을 지적함으로써, 전제정치가 더 효율적이고 공정한 정치 시스템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여 권위주의적 통치 형태의 정당성을 옹호한다.
- 뷰캐넌의 이론은 정부의 역할을 최소화하고 시장 중심의 해결책을 추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소득 불평등 해소와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진보적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기여했다.
- 뷰캐넌은 공공의 합의가 지속될 경우 사회보장제도의 민영화가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는 이러한 믿음으로 사회의 공공 기관에 대한 신뢰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민주주의의 경제적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뷰캐넌은 다수 연합이 그들의 욕구를 통제하도록 자발적인 헌법적 개혁을 지지했으며, 이를 통해 모든 사회 계층 간의 평등한 부의 분배를 추구하였다.
(예시 지문 4)
알리 호크셜드(Arlie Hochschild)의 탐구는 리 셔먼(Lee Sherman)과 같은 핵심 인물을 중심으로 티파티(Tea Party) 운동의 복잡한 역학을 철저히 파헤친다. 리 셔먼은 과거 화학 공장 직원이었으며, 불법적으로 유독 폐기물을 투기했으나 이후 환경운동가로 전향했다. 그는 여전히 화학 회사를 불신하지만, 게으른 사람들에게 세금을 지출하는 연방 정부를 더 불신한다. 연방 정부에 깊은 불신을 품게 되었다. 이처럼 호크셜드는 연방의 지원이 필요하지만 이를 강력히 반대하는 이들의 모순적인 태도를 “위대한 역설”(Great Paradox)로 묘사하며, 경제적 소외, 급격한 인구 변화 및 문화적 소외가 얽혀 있는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반영한다. 그녀는 공감의 렌즈를 통해, 정체된 임금, 사회적 변혁, 그리고 신앙과 애국심을 조롱하는 자유주의 문화로 인해 소외감을 느끼는 이들의 감정을 세밀히 풀어내며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의 중심에는 흔히 흑인 및 이민자로 인종화되는 “새치기한 자들”(line cutters)에 대한 만연한 분노가 자리하고 있으나, 그녀는 명시적인 인종적 라벨링을 피한다. 보통 “정치에서의 감정”(emotion in politics) 이론은 티파티에 대한 지지가 오랜 좌절감에서 벗어나기 위한 감정적 자기이익에 의해 주도된다는 주장을 전면에 내세운다. 그런데 호크셜드의 연구는 근본적 경제적 역경이 통제되지 않은 기업의 지배력과 기술적 진화에 의해 더욱 악화되어, 인구 및 문화적 격변 속에서 백인 남성의 전통적 지위를 약화시킴을 밝혀낸다. 해럴드 아레노(Harold Areno)와 마이크 샤프(Mike Schaff)와 같은 인물들의 묘사는 그들의 정치적 동맹이 다면적임을 강조하며, 반-환경 정책에 대한 지지가 개인적 경제 불만과 공존함을 보여준다. 호크셜드는 "깊은 이야기"(deep story)를 구축하는데, 이는 사실적 담론을 초월하여 대상의 세계관을 포착하는 현상학적 서술로, 정부의 배신과 사회적 소외에 대한 인식을 강조한다. 체계적인 불만의 기원에도 불구하고, 호크셜드는 이들을 단순한 정치적 적대자가 아닌 경제적 손실과 문화적 이동에 고군분투하는 회복력 있는 개인으로 인식한다. 이러한 섬세한 묘사는 그들의 동기에 대한 단순한 해석에 도전하며, 대신 그들의 정치적 입장을 뒷받침하는 깊은 감정적 및 구조적 요인을 강조한다. 호크셜드의 작업은 인구 및 문화적 변혁이 지위와 정체성의 상실을 초래하고, 정치적 양극화를 조장하는 환경을 어떻게 조성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한다. 그녀의 분석은 지속적인 계층 기반의 분노가 정책적 개입에도 불구하고 불변하며, 광범위한 사회경제적 힘이 중산층 백인들을 계속해서 소외시키고 있음을 시사한다. 복잡한 사회정치적 이론과 풍부한 서사적 세부 사항을 통합함으로써, 호크셜드는 현대 정치 운동을 이끄는 감정적 흐름에 대한 설득력 있고, 존중하며, 지적으로 자극적인 탐구를 제시한다.
[https://www.nytimes.com/2016/09/25/books/review/strangers-in-their-own-land-arlie-russell-hochschild.html ] 참조 및 재구성.
-호크셜드의 연구는 티파티 지지자들의 반환경적 입장이 주로 개인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합리적 선택이라기보다는, 그들의 문화적 가치관과 종교적 신념에 기반한 결정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호크셜드의 '깊은 이야기' 개념은 티파티 지지자들의 세계관을 객관적으로 설명하는 데 성공했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그들의 정치적 입장을 정당화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아래에 제시된 선택지들은 모두 틀린 추론입니다. 왜 틀렸는지 근거를 찾아보시면 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NYT가 2023년 선정한 21세기 최고의 책 100권 중 논픽션이 27권입니다. 이 시대의 교양인으로서 최소한 제목이라도 알아두겠다는 생각이 있다면, 시간 날 때 검색해보시길 바랍니다. 27개 작품의 목록(1위~100위 순)은 댓글에 남겨놓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개춥네
-
아님 정의되지 않음?
-
나 이학교어케왔지
-
4000부 판매돌파 지구과학 핵심모음자료를 소개합니다. (현재 오르비전자책 1위)...
-
어려운 것만 다시 보고 싶은데 뉴런 괜찮을까요?
-
여름이 너무 덥다는 유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가을의 온도를 다소 낮추었습니다....
-
놀랍게도 국어 ebs에 잇엇던 말 ㅋㅋ
-
수능이그립다.. 그리고 후회된다 여러가지 후회 그래서 너무 괴롭다.. 10월의...
-
해리스는 60%, 트럼프는 47%…이 두 숫자가 美대선 가른다 [미 대선 D-30 | View] 1
‘60’ 그리고 ‘47’. 오는 6일로 정확히 30일 앞으로 다가온 11ㆍ5 미국...
-
매일 기다리는 신호등에 나무그늘 위치가 달라짐
-
나만 헷갈림? ㅋㅋ 계속 인테그랄이랑 헷갈려서 무의식적으로 시그마 n에다가 1넣고...
-
간단한 미적분 문제입니다 덕코 그지여서 상금 내려갔으니 양해부탁드립니다;; 난이도 : 2.5/5
-
저 12시에 자고 6시에 일어났는데 너무 피곤해요.. 중간에 계속 깨서 그런가
-
ㅅㅂ 겨울임? 6
뭐임,,
-
보통 환절기에 눈물콧물흘리고 재채기 열심히 하다보면 갑자기 수능이 50일 후고...
-
늑대다아ㅏ아ㅏ아아!!!!!!!!!!!!!!!!!! 16
늑대가...
-
씹 소름돋네 0
밖에 나와서 한숨 푹 쉬니까 입에서 입김 나옴 분명 2주 전까지만 해도 밖에 나와서...
-
입김이 나온거 같은데 기분탓이겠지? 다들 따듯하게 입고 다니셔요
-
얼버기
-
세특보고서 작성 어케 하나요? 고1인데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써오라는거 정도 하고...
-
좋은 아침이에용 1
오늘도 열심히 해봐용
-
떠나가요~ 3
아주 먼 곳으로~
-
강사 줄세우기 의도 아님 도움 됐던거 / 좋은거 ㅊㅊ좀요
-
형님들 반갑습니다. 12
형님들 반갑습니다.
-
좋은 아침이에요 4
-
나는 쓰레기야 0
또 폰보다 늦게잤어 난 수능 잘보고 싶다는 생각할 자격도 없어
-
다들 졸은아침 3
더 자고싶어요
-
얼버기 1
-
기세문게슝
-
개좆됏다
-
기적이 아닌 당연한 결과
-
좋은 아침이에요 다들
-
졸립니다 시발
-
바로 7시경에 도착하자마자 번역 빠르게 끝내야 함... ㅡㅡ
-
9시 수업인데 8
이제 취침??
-
기차지나간당 5
부지런행
-
사랑이 변하나요? 죽을때까지 약속아닌가요?
-
잘자 4
-
긴팔 입으니까 2
기분이 이상하넹
-
찾아보는데 존재하는지도 모르겠네요..
-
2차로 피방 갔다가 지금 집가는 내가 할말은 아닌거 같긴하네.. 난 쓰레기야
-
왜 안 자요.. 몸 상해요
-
아무도 없다 흐흐
-
흠 아무도 없나? 19
-
아 피곤하다 5
잠은 안온다. ㅎ 오늘 1교신데
-
그거 되게 맛있었는데
서평ㅋㅋ
ㅋㅋ
역시 내용요약은 사퍙ㅋㅋㅋㅋㅋ
The Warmth of Other Suns - Isabel Wilkerson 2010
The Year of Magical Thinking - Joan Didion 2005
Say Nothing - Patrick Radden Keefe 2019
Evicted - Matthew Desmond 2016
Behind the Beautiful Forevers - Katherine Boo 2012
Random Family - Adrian Nicole LeBlanc 2003
Citizen - Claudia Rankine 2014
Between the World and Me - Ta-Nehisi Coates 2015
The Years - Annie Ernaux 2018
H Is for Hawk - Helen Macdonald 2015
Postwar - Tony Judt 2005
The Argonauts - Maggie Nelson 2015
Nickel and Dimed - Barbara Ehrenreich 2001
Stay True - Hua Hsu 2022
Heavy - Kiese Laymon 2018
Far From the Tree - Andrew Solomon 2012
The New Jim Crow - Michelle Alexander 2010
Secondhand Time - Svetlana Alexievich 2016
The Passage of Power - Robert Caro 2012
Pulphead - John Jeremiah Sullivan 2011
The Emperor of All Maladies - Siddhartha Mukherjee 2010
Pastoralia - George Saunders 2000
Frederick Douglass - David W. Blight 2018
The Return - Hisham Matar 2016
Wayward Lives, Beautiful Experiments - Saidiya Hartman 2019
Men We Reaped - Jesmyn Ward 2013
The Looming Tower - Lawrence Wright 2006
知則爲眞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