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익 T 조교쌤들 답변에서 잘 모르겠는 부분이 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168411
베카리아는 생득적 인격성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형은 범죄자의 생득적 인격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시행되어야 한다'라는 것을 베카리아의 입장으로 볼 수는 없다는데 이게 맞나요? 납득시켜주실 생윤 고수분 찾습니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동시에 생각보다 멍청하다 표층해수가 표층에서 흐른다는말에 X표시함ㅋㅋㅋ
-
수학머리 빡통인 사람이 노력으로 미적 100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나요 5
수학머리가 개빡통인데 지금까지 엄청 열심히해서 커리어하이가 올해 6평 백분위...
-
뭐 푸는게 나음?
-
아직 나온게 없어서 확정은 아니겠지만 이번 년도랑 비슷하게 가려나요??
-
카페알바해보신분 4
애기현역이 친구 알바하는 카페에 카공할겸 왔는데 너무 불친절하고 막 개미 잡아달라고...
-
난 아무리 생각해도 댓글이 찐따같다는거 이해를 못하겠는데 4
어디가 찐따같고 완성이라는거지
-
1컷 수준인데 60일동안 열심히 하면..?
-
수1은 ㄱㅊ은데 수2가 어려워요 ㅅ발 ㅠㅠ
-
마음이 간다는게 어떤 느낌일지 궁금함 샤 제외
-
실전독해력은 꽝이지만 사후적분석은 굉장히 좋아하는 편이라 이렇게 자주 공부하는데...
-
누구 저격해서 한번 가고 한번은 박광일 복귀 기사로 갔던것같은데
-
천만덕 가쥬아
-
뭐사져
-
말 그대로 지능에 연관없이 "누구나" 노력으로 가능한 대학 어디까지라고 보시나요 아무나 말해주세요
납득할게 머잇어요 그냥 그런갑다 하는거지
생득적 인격을 주장한 사람은 칸트뿐이니 다른 사상가를 제외하고 보면 될거 같아요
단순히 '생득적 인격성'이라는 표현을 베카리아가 안 쓰기 때문에 틀렸다고 볼 수도 있지만, 베카리아 또한 그의 저서에서 인격에 대한 언급을 자주 합니다. 예를 들어 고문같은 경우는 인격을 무시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사형과 마찬가지로 금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죠. 베카리아는 사형이 범죄자의 인격을 존중하지 않는 형벌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틀린 선지라고 보는 것이 올바른 접근법 같습니다!
애초에 저문장이 사형이 시행된다는 걸 전제로 하고 있으니까 베카리아 입장은 아니지 읺나요?
생윤은 명확히 다른 철학자의 주장이고 그 철학자가 그런말한적 없으면 대부분 틀림. 오히려 상상해서 채워넣으니 문제가 생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