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매 잘 아시는 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095216

이거 3번에서 저는 당연히 자음군 단순화로 ㅈ이 탈락하고 남은 ㄴ 뒤에서 된소리되기가 일어나서 [언꼬]가 되는 줄 알았는데
답지에서는 ㅈ이 먼저 음절의 끝소리 규칙으로 ㄷ으로 바뀌고, ㄷ 뒤에서 ㄱ에 된소리되기가 일어나서 [꼬] 발음이 된다고 하네요
이거 두 개 차이랑 어떻게 구분하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숨 자고 짜파게티도 먹었으니 이제 공부를
-
6번 문제의 ㄹ선지 ‘자신 이외의 존재에 대한 도덕적 의무는 성립불가능하다'에...
-
저거 이해안돼서 유기해놓은문제인데요 ㄷ : 이러한 현상은 매우 드물게 관측 ”이런...
-
정법 사문 만점받고 신나서 손풀이 복기해봤는데 초록별이랑 초록 형광펜 부분에 대한...
-
모든 사회문화 현상을 획일적으로 설명할 이론은 만들 수 없다는 점이 오히려...
-
160921(A)!!!! 쉬4인건 비밀
-
한 달전만해도 개씹 멸치였는데 식단 하니까 장난없네 ㄷ
-
약 서너달 아주 심하게 우울해서 자존감이 많이 떨어졌어요 그래서 공부가 안되니까...
-
투표 한번만 부탁드려유
-
3사 전부
-
서울 벗어나는 순간 서울 아니라는 느낌이 확 옴 신기하게도….
-
ㄹㅇ 어떻게 푼느거지 몰랐는데
-
Lck결승은 봐야하는데 24
양심상 문제집 풀면서 봐야겟다..
-
걍 넘어가도 무방한거아님? 진짜모름 오류가 레퍼런스가 돼서 나중에 자승자박될 우려 있어서 그런건가
-
1 띄우는거면 적어도 저능아는 아닌가?.. 근데 국어가 ㅆ저능아라
이거 상상이었나
ㄴ, ㄹ 뒤에서 평음이 경음화될 이유가 없어서 ㄷ에 의해 경음화가 된다고 보는 겁니다
ㄱ, ㄷ,ㅂ 뒤의 경음화는 필수적이니까
앉고>안ㄷ고>안ㄷ꼬>안꼬
이렇게 ㄴㅈ의 ㅈ[ㄷ]에 의해 ㄱ이 경음화가 된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거죠
앉고>안고>안꼬
이건 앉-의 어간이 '안-'이 아니라 ㄴ 뒤에서 ㄱ이 ㄲ이 될 이유가 뚜렷이 보이지 않죠
이건 앉-의 어간이 '안-'이 아니라 ㄴ 뒤에서 ㄱ이 ㄲ이 될 이유가 뚜렷이 보이지 않죠
-> 아래 규정이 어간 받침 ㄴㅈ 뒤에서 어미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거 아니에요?
받침 ㄴㅈ인 경우도 받침 ㄴ의 경우에 준하는 거 같아서요
제24항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이러려면 '앉-'의 어간의 '신-', '안-(hug)'처럼 기저형이 [안-]으로 인식되어야 하는데 그게 아니니까요
그러나 이론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ㄴ’ 뒤에서의 경음화와 ‘ㄵ’ 뒤에서의 경음화는 차이가 있다. ‘ㄵ’ 뒤의 경음화는 실제로는 ‘ㄷ’에 의한 경음화이다. 겹받침의 일부인 ‘ㅈ’이 탈락하기 전 대표음 ‘ㄷ’으로 바뀐 후 그 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ㄵ’ 뒤에서의 경음화는 제23항에서 규정하는 ‘ㄱ, ㄷ, ㅂ’ 뒤의 경음화와 동일한 성격을 지닌다. 다만 ‘ㄵ’이 표면적으로는 음절 종성에서 [ㄴ]으로 발음된다는 측면을 중시하여 이 조항에서는 ‘ㄵ’ 뒤의 경음화와 ‘ㄴ’ 뒤의 경음화를 하나로 묶어 놓았다
24항 해설입니다
어문규범은 이렇듯 해설이나 붙임까지 자세히 보아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냥 한 단어 내에서 자음군 단순화는 일어날 수 있는거 다 일어나고 마지막으로 일어난다 생각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