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해석/해설지] 2025 9월 영어영역 총평 및 해설 & 향후 학습 방향성 안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083320
2025 9월 모의고사 영어영역 (한줄해석) (BY. 함정민T).pdf
2025 고3 9월 모의고사 영어 정답및해설 (EBS).pdf
안녕하세요 여러분
함정민T 입니다.
이번 9평 최선을 다해서 본
많은 친구들에게 우선 진심으로 박수를 보냅니다!
이번 영어는 평이했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등급을 잘 받은 친구들은
난이도에 상관없이
'실전력'을 잘 발휘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스스로에게 칭찬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지금 상황에 안주하지 않고
더 어려워질 수능 난이도 (예상 작수느낌)를
철저히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비록 이번 9평 영어의 난이도가 평이하더라도
여러 이유로 어휘와 영어 지문 공부를 꾸준히 하지 못했던 학생들에게는
어렵게 느껴질 수 밖에 없을 겁니다.
다음은 총평 입니다.
[2025 9월 모의고사 영어 총평 및 향후 방향성]
Ⅰ. 키워드
#꼼꼼한해석 #끊어읽기 #선지소거 #유형별접근법활용
#비유표현처리능력 #낯선소재이해력
Ⅱ. 전반적인 총평
1. 1등급 비율 7~10% 플마 예상. 출제 난이도 평이.
(작년 수능과 올해 6모에 비하여 확연히 쉬웠음)
2. 변별력을 주는 문항들이 기존 평가원 모고들과 대비하여 다소 평이하게 출제
(21,31~34,36~37,38~38,42번)
3. 지문은 전체적으로 내용이 쉬우나, 선지를 고를 때 전반적으로 꼼꼼한 해석과
확실한 정답의 근거 찾기를 요구
(대의파악, 요약문 특히!)
4. 선지를 고를 때, 지문의 ‘사실관계’에 맞지 않는 선지도 배제해야 함. (ex. 24번 ③의 경우)
5. 수능은 작년 수능과 비슷하게 출제 될 듯. (빈/순/삽에서 변별력을 높일 것.)
(꼭 본인의 9모 성적을 기준으로 –10점 떨어질 수 있다는 예상까지 하고
더 어렵게 강도 높게 대비해야 함)
6. 29번 어법의 경우, 대다수의 수험생들이 정답이 왜 5번인지 설명하는 건 힘들었으나,
나머지 선지들이 평이하게 지워져서 소거법으로 맞췄을 것.
7. 이번 9평의 전반적인 어휘 수준은 이전 평가원 기출 단어들이 많이 출제 되어서
그간 기출 단어를 성실히 학습해 온 학생들이라면 ‘잘 읽히는’ 느낌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
8. 대의파악 유형 조차 해석 꼼꼼하게 하지 않으면 지문의 ‘느낌’만 받고
선지는 잘못 고를 수도 있을 듯.
: 수능날까지도 오답 선지 소거하며 정답에 신중한 접근 필요
-> 1) 반대, 2) 무관, 3) 지엽적인 선지(=포괄성x) ,4) 사실관계X 위주로 잘 소거 해야 함
9. 문장이 요구하는 의미를 정확히 끌어내기 위해서는
구문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 되어야 했음.
(1)대명사 연결 (2)병렬구조 연결 (3) 끊어읽기를 통한 수식관계 이해가 중요했음.
Ⅲ. 오답률 TOP5 – 세부문항총평
[오답률 TOP15] (출처:EBS)
순위 | 번호(유형) | 오답률(%) | 정답선지 | 오답1위선지 |
1 | 30(어휘) | 79.1 | 5 (20.9%) | 4 (49.2%) |
2 | 34(빈칸) | 74.5 | 3 (25.5%) | 2 (25.8%) |
3 | 36(순서) | 69.5 | 5 (30.5%) | 4 (27.1%) |
4 | 33(빈칸) | 67.0 | 1 (33,0%) | 2 (24.3%) |
5 | 32(빈칸) | 66.8 | 2 (33.2%) | 1 (24.7%) |
6 | 21(함의) | 61.6 | 3 (38.4%) | 4 (22.2%) |
7 | 38(삽입) | 58.0 | 5 (42.0%) | 4 (28.7%) |
8 | 42(어휘) | 57.2 | 3 (42.8%) | 4 (20.6%) |
9 | 40(요약문) | 56.5 | 1 (43.5%) | 2 (24.7%) |
10 | 26(내용일치) | 50.4 | 2 (49.6%) | 3 (26.6%) |
11 | 23(주제) | 48.5 | 4 (51.5%) | 2 (16.0%) |
12 | 37(순서) | 48.4 | 3 (51.6%) | 2 (17.0%) |
13 | 31(빈칸) | 46.2 | 2 (53.8%) | 3 (15.9%) |
14 | 41(장문-제목) | 44.6 | 1 (55.4%) | 4 (17.0%) |
15 | 29(어법) | 38.9 | 5 (61.6%) | 2 (13.1%) |
TOP1) 30번(어휘) - 이유? ‘주제(we are not rational actors)’에 대한 입장 연결의 부재
: 행간을 읽는 정확한 이해 요구. 지문 처음부터 읽은 내용에 대한 이해를 잘 끄집고 내려와야 하는 느낌.
문해력 다소 필요.
-> 해석이 뒷받침이 되어야 하고 꼼꼼함도 요구 되어 변별력 있는 문항이었음.
‘Understanding more about how our minds work and how biases may operate’에서 뉘앙스가 (+)인 것을 잡아내면, ‘less subject to fallacious reasoning’이라는 인과는 논리성에 있어 적합.
오답 선택비율 1위인 4번을 고른 학생들은 이 부분에서 생각이 반대로 되었을 확률이 높음. 해석 꼼꼼하게 하지 않고 '감'으로만 읽고 있었다면, 앞문장에서 우리의 'biases'에 대한 얘기를 하고 있으니 4번 마저도 (-)가 와야 한다고 반대로 잘못 생각했을 것임.
-> 우리가 갖고 있는 irrationality, biases, reflective thinking, snap judgment를 이해해야 (+)가 될 수 있는 상황.
따라서 정답 5번은 우리 정신에 내재된 ‘합리성(rationality)’이 아닌 ‘한계(limitation)’와 같은 말이 와야 함.
TOP2) 34번(빈칸) - 이유? 빈칸 풀이 전략의 부재. ‘But’ 앞문장이 읽히지 않았을 확률이 높고 해당 문장만 잡고 빈칸을 고르려고 하면 정답 고르기 힘들 듯.
: 빈칸의 주체인 ‘his writings’의 특징을 중괄식 빈칸 ‘But’ 아래 제시된 내용에서 도출하면 됨. 특히 ‘relative’와 ‘collective’에 이어서, ‘sympathy’를 잡아내었으면 정답인 ‘emotional attachment’까지 도출해낼 수 있음
TOP3) 36번(순서) - 이유? 단서가 문단의 첫 번째 줄에 있다보니 놓침.
: 첫단락을 (C)로 잡는 건 전체 50% 이상의 수험생이 성공했으나, (A)-(B)이냐 (B)-(A)이냐를 두고 선택이 엇갈림.
-> (A) 단락의 ‘however’을 기준으로 잡고, 대비되는 기준점인 ‘the adjustment’의 ‘small’이냐 ‘large’이냐를 생각했더라면, (A) 단락의 ‘larger’ 오기 전, (B) 단락의 ‘smallest’를 먼저 배치해야 될 것을 눈치 챘을 것.
다만, ‘smallest’가 (B)단락의 첫줄부터 있다 보니까, 문단 아래에서만 단서를 찾는 학생들에게는 시간 내에 미처 파악하지 못하여 오답을 골랐을 것.
TOP4) 33번(빈칸) -이유? 글의 포괄성 잡기 실패 + 빈칸 풀이 전략의 부재
: 오답을 고른 수험생들은 ‘city quality’가 높다는 것은 사람들이 ‘staying’할 수 있는 options가 많다는 의미인 것을 이해하지 못한 채로, 빈칸 아랫부 내용도 튕겼을 확률이 있음.
TOP5) 32번(빈칸) -이유? 부정어 ‘no guarantee’ 와 연결시키려는 생각 부재+글의 포괄성 잡기 실패
: 글의 전체적인 내용을 보면 빈칸의 주체인 ‘투자(investment)’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가장 적합한 통신 형태로 이루어진 투자가 아닌, 해당 투자로 인한 통신 이용 댓가를 지급할 수 있는 대상들에게만 해당하는 상황.
Ⅳ. 수능까지 향후 대비 전략
1. 수능은 변별력을 위해 작년 수능과 비슷한 느낌으로 출제 예상. (1등급 비율 4~5%정도)
따라서, 빈/순/삽에서 난이도를 상향 조정할 확률이 높음.
해당 유형에 대한 난이도 높은 학습으로 미리 준비해야 함.
2. 꾸준한 해석 연습과 기출 어휘 암기 병행
(미미보카에 있는 고빈도 단어를 외우시는 것도 좋고,
-이전 별4~5개 올린 게시글 참고-
갖고 있는 기출 단어장이 있다면,
성실하게 외워주세요!)
3. 어려운 지문 위주로 학습하는 것이 실전에서 ‘덜 읽히는’ 걸 방지 할 수 있음.
4. 끊어읽기 연습하기
– 한국어 해석을 기준으로 수식관계 이해하기
5. 튕기는 문장이나 이해안되는 지문이 있다면
끝까지 이해하려고 시도하는 질적학습이 반드시 병행 되어야 함
(양적학습과 질적학습에 투자하는 시간이 4:6정도로 10월말까지 병행되어야 함)
-------
한줄해석자료 공개하니,
해석이 없어서 아직 오답 못한 친구들은
다운 받으셔서 기억이 사라지기 전에
얼른 오답해주세요!
9평을 발판 삼아,
수능날 최고의 전략을
잘 설계해보면 좋겠습니다!
화이팅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신혁t 0
시즌2부터 들어도 좋나요?
-
오늘 깨달은 사실 11
의평은 연막이다 존잘존예 너무 많ㅇ…
-
ㅈ반고 수준 5
수행평가로 80줄 가까이 되는 보고서 같은거 손으로 써서 냈는데 쌤이 다 읽기...
-
현역 n제 1
현역 기준 기출을 언제까지 끝내고 몇 월 부터 N제를 시작하는게 바람직 할지...
-
독학으로 충분한가요? 아니면 기출강의 듣는게 좋나요?
-
으앙으앙
-
이거 템플릿임? 4
나도 받았다 히히
-
220622특 4
식으로 초반작업하면 (나)의 세 근이 등차수열 관계임을 알 수 있음 이후에 그래프...
-
3모 10분컷 3덮 47받았는데 이번 시험지는 시간재다 3페이지 절반쯤 풀었을때...
-
설맞이 샤인미 2
나오자마자 풀어야지
-
멀리 다녀왔다 ㅎㅎㅎ
-
ㅈㄱㄴ 개념 유형서(킥옵) 기출 요정도면 충분??
-
집에 온 기념 질받 13
-
망했다ㅏ 1
3일동안 수학 실모 하나 풀었다 남은 기간 열심히 할게요ㅜ
-
내 문제의 90퍼는 시험장 안에서 발생하는거같은데
-
4월 더프 세지에 가축으로 '낙타'가 나와서 생각난건데 3
사우디아라비아는 낙타의 순 수입국임 실제로 사우디아라비아는 관광용 및 경주에 쓰이는...
-
으흐흐..이제 콜플로 채운다
-
외로워요 6
유튜브에서 폭삭 속았수다 짤 몇개 보고 문과 취업 안된다는 뉴스 보니까 갑자기 인생이 외로워짐
-
ㄹㅇㅋㅋ
-
오고곡 오고곡 1
오오 고대 고대 고려대에에 곡고곡 고대 가고 싶어서 울었어
-
비가와 오랜만에 1
비가 오지말라했어
-
저는 코사인 법칙 쓰는문제인지도 몰랐슴,,
-
이미 유네스코 갖고 있어서 해설지는 상관 없고 회독용으로 보려는데 실제 시험지...
-
드가자
-
평생 그대 곁을 지키겠노라고 세상 끝나는 날까지 잡은 손 놓지 않겠노라고 내가 그리...
-
명언 2
-
휴릅휴릅휴릅 들어오면 이 글 상위 3명에게 옵챗으로 고추바사삭 깊티 뿌림 이틀뒤...
-
왜 a따로 b따로 구하지 않고 a/b 를 "굳이"구하라 하는지 의심할 필요가 있다...
-
N티켓 하루컷 4
n티켓 시즌1 수1 수2 미적 하루에 하나씩 끝내서 3일컷 가능? 불가능?
-
화작 85 미적 92 영어 94 물2 37 지2 48 물2 1달정도 유기함
-
중1 중2 수학은 다했는데 중3때 공부를 놔버려서 중3수학을 하나도 모릅니다ㅠㅠ...
-
내도 교육과정상 문제는 없고 아마 BC구분 원툴이라 정답률 60% 나올거임
-
ㄷㄷ
-
문제가 타대 동아리랑 같이 가는 거임요... 타과생만 만나도 말하는 감자되는...
-
아침에일어나기시러 ㅡㅡ
-
국어 공부법 질문 있습니다(지나치지 말아주세요..) 23
1.범작가님 국일만 독서편으로 독해력 길른 다음에 강기분 듣는건...
-
졸리네.. 3
잘자요 월요일 힘들텐데 일주일 화이팅
-
백호 한종철 2
현재 상크스 3분의 2정도 들었고(작년에 올바원까지 했음) 16모고도 반정도 했는데...
-
해피뉴이어
-
과외 하시는분들 3
몇개 하시나요?
-
프변 3
프변
-
닉넴추 11
이제 바꿀수있다 야호~~~!!
-
기출과 실모 적당히 해도 수학 1등급은 가능하다 n제는 오히려 할수록 생각을 느리게...
-
다음달 월급 마이너스 50만원 예상
-
닉변 해야하나 2
생각보다 맘에드는데
-
너가 행복하길 바랬는데 정작 너가 행복해지니깐 내기분(강기분, 새기분, 우기분...
글 감사합니다 선생님ㅎㅎ 읽으면서 복습 했습니다 (근데 글 내용 중에 top5 문제번호가 32번인데 34번으로 되어있어용!!)
향후 공부방향에서 5번 내용 너무 도움되네요. 앞으로 실모만 주구장창 풀까 했는데 다시 생각해봐야겠어요...! 질적 공부도 놓치지 않으려면 남은기간동안 뭐하면 좋을지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옛 기출을 좀 볼까요?? 6,9평 1등급이고 5개년 기출 ebs는 다 했습니다!
오 제보 고맙습니다 ㅎㅎ 옛기출에 ebs까지 대단하네요! 그 정도 등급대라면 영어를 정말 잘하고 좋아하는 친구네요 ㅎㅎ 사설 모고 풀면서 질적학습 병행하는 것도 괜찮고, 작년 9평, 수능, 올해 6,9평들 위주로 튕기는 문장 없이 깔끔하게 해석 연습 한 번 싹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아 옛기출은 안했어요 선생님!! 5개년(평가원만) 해서 ㅎㅎ 옛기출 하는거 어떨지 여쭤본 거였습니당 ㅎㅎ 말씀해주신 공부도 도움될 것 같아요!! 최근 기출 꼼꼼히 해석해보는 연습 해보겠습니다 :)
그렇군요! 9월 둘째주 정도까지는 옛기출 할 수 있는데까지 최대한 봐도 괜찮을 것 같네요! ㅎㅎ
이번 9모 쉽다고들 하니까 시험을 잘봐도 별로 안기쁘고 왠지모르게 불안했는데, 난이도에 상관없이 스스로 칭찬해주라는 부분에서 많이 위로받았어요ㅠㅅㅠ 이런 공부 방향성 제시해주는 글 너무 좋아요~ 특히 오답률 탑5에서 어떤 부분을 놓쳤는지 알 수 있어서 정말 도움이 많이 됐어요! 앞으로 공부할 때 이런 부분을 고쳐야겠다는 명확한 목표가 생겨서 의욕이 샘솟아요!! ❤️
난이도와 상관없이 시험이 주는 압박을 이겨내고 고득점을 한 건 실력 발휘를 잘 한 일입니다~~ ^^ 수능까지 빈틈없이 보완 및 공부 계획 잘 세워서 꼭 영어 1등급 받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