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정민T] 따끈한 7모 영어 총평. "쉬운 유형도 다시 보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711989
안녕하세요 여러분,
함정민T 입니다.
따끈한 7모 영어 총평을 들고
찾아 왔습니다.
이번 7모는 여러모로 출제기관의
신박한(?) 시도가 보이는
'실험적'인 모의고사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불 가리지 않고
이런 저런 형태의 모의고사들을
접하는 것 만으로도,
수험생에게는 의미있는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
아직 응시 안한 학생은
올해는 영어가 전반적으로 어려우니,
시간 맞춰서 듣기까지 풀세트로 꼭 풀고,
아직 오답노트 안한 학생은
기억이 사라지기 전에 꼭 하는 걸
권장합니다!
<2024 7월 모의고사 총평 및 피드백>
Ⅰ. 문항별 오답률 TOP7
출처: EBS (7/12 기준)
번호(유형) | 오답률 | 배점 | 정답 | 선지 선택비율 | ||||
① | ② | ③ | ④ | ⑤ | ||||
34(빈칸) | 79.6 | 3 | ⑤ | 18.2 | 14.8 | 20.9 | 25.7 | 20.4 |
39(삽입) | 71.7 | 2 | ⑤ | 5.2 | 10.5 | 26.6 | 29.4 | 28.3 |
30(어휘) | 69.0 | 3 | ④ | 6.6 | 8.6 | 44.1 | 31.0 | 9.8 |
37(순서) | 67.2 | 2 | ⑤ | 1.9 | 8.6 | 14.0 | 42.7 | 32.8 |
32(빈칸) | 62.2 | 2 | ② | 21.3 | 37.8 | 15.5 | 12.3 | 13.0 |
23(주제) | 58.4 | 3 | ④ | 8.4 | 9.7 | 15.8 | 41.6 | 24.5 |
25(도표) | 57.2 | 2 | ② | 0.7 | 42.8 | 7.9 | 7.1 | 41.5 |
Ⅱ. 특징
1. 7월 모의고사의 키워드
#실험적 #난이도중하 #단어의중요성(특히, 선지) #도표..2번? #요약문 박스 문장 길이 무엇..?
#장문....미스터..? 몽구스?
2. 선지 변별력+꼼꼼한 이해 요구 – 23번, 34번
3. 대충 읽었다간 나락 – 25번
4. ‘명시적 단서’의 적극 활용 필요 (지시어, 대명사, 접속사)
5. 대충 읽으면 틀릴만한 함정이 많았음. (도표, 빈칸 34번, 순서)
6. 배점 이슈
-> 31~33번 빈칸 (2점) / 34번 빈칸 (3점) / 35번 무관문 (3점) / 38~39번 삽입 (각 2점) /
40번 요약문 (3점) / 42번 어휘 (2점)
Ⅲ. 총평
1. 1등급 비율 7% 이상 예상.
(올해 시행된 3,5,6월 모의고사와 비교했을 때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평이.
허나, 어휘 약하고, 평소 감으로 푸는 학생들에게는 쉽지 않았던 시험.
이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한 지문이라도 더 한국어로 정확하게 해석하는 '질적학습'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하시길 바람.
작년 10월 모의고사랑 비슷하면서도 좀 더 어려운 느낌)
2. 빈칸이 6평과 비교했을 때 확연히 쉽게 출제.
단, 34번의 빈칸의 경우 이해를 꼼꼼하게 하지 않고 단어의 조합으로만 풀려고 한 학생들은 ‘4번’을 많이 골랐을 듯.
3. 20번 대는 비교적 평이하게 출제
(6평에서 20번 대 대의파악부터 어려웠던 선지와 비교해서는 난이도 하향)
단, 23번 주제의 경우 내용 파악이 까다로웠음. (듣기 들으면서 풀 수는 없는 정도?)
4. 21번 함축적 의미추론 또한 나머지 오답 선지 소거가 쉬워서 무난한 느낌.
5. 정답 선지에 포함된 단어가 생소한 단어들이 많이 나오긴 하였음.
지문 이해는 기껏 잘해놓고 선지 단어 몰라서 틀린 학생들도 있을 듯.
(21-roundabout(완곡한,우회적인)/24-Backfire(역효과를 낳다))
6. 도표에서 ‘2번’이 정답. ‘more than ten times’가 아닌 ‘less than ten times’로 봐야 맞음.
평소 3~5번 위주로 읽던 학생에게는 특히 5번에 ‘Among plant-based milks’를 파악하지 않았다면,
오답으로 ‘5번’을 골랐을 확률이 높음.
(평소 무시하던 쉬운 유형들도 반격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정답 ‘신중히’ 고르기!)
7. 29번 어법은 흔히 나오는 패턴인 ‘준동사vs본동사’ 판별 문제.
관계사절에 있는 동사가 병렬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bloom’으로 변경해야 함.
8. 30번 어휘는 난이도가 꽤 있었음. ‘wants’와 ‘shoulds’ 갈등이라는 생소한 소재가 당황스러웠을 듯.
정답을 고르려면, 단순히 주제만 아는 것이 아닌 앞뒤 문맥에 대한 이해까지 요구하는 느낌.
전반적으로 지문을 구성하는 어휘 난이도도 높았음.
9. 빈칸은 ‘주제찾기’ 느낌으로 풀면 될 정도로 평이하게 출제
(작년 수능과 이번 6모와 난이도 갭이 너무 나는 듯한 느낌)
단, 34번 빈칸은 6평 빈칸과 비슷하게 선지 내에서 인과까지 따져야 하는 정도까지 답을 고를 때 신중할 것을 요구.
10. 순서의 경우, 36번은 명시적 단서들이 많이 제시되어 있음.
(This is because / In contrast) 해당 단서들을 적극 활용해서 해석을 차분히 잘했다면 맞출 수 있었을 것.
37번의 경우, 단어의 난이도가 높고 각 단락별 상황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 되어야 수월했을 것. 명시적 단서(those conditions/That extra carbon/These carbohydrates)를 적극 활용하면 정답을 고를 확률이 더 높아졌을 것.
순서 지문 분석할 때 해당 대상들이 어떤 것을 가리키는 지 꼭 찾아보기.
11. 삽입의 경우, 지문을 구성하는 문장의 길이는 길지 않았으나, 어휘의 수준이 높음.
39번은 박스에 있는 내용 자체가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되는 학생들이 있었을 듯.
허나, ‘go back to eating meat in February when the social support has disappeared(사회적 지지가 사라진 2월에는 고기를 먹는 것으로 되돌아갈지도 모른다)’와 같은 해석이 가능한 쉬운 문장을 포착하여 차분히 해석해보았다면, 내용적으로는 친구(=the social support)따라 채식을 시도 하고 있는 4번까지는 정답이 될 수 없으며, 그 뒤에 남은 유일한 선지인 ‘5번’에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을 이해했을 것.
12. 40번 요약문의 경우는 박스의 길이가 유독 길어진 느낌. 지문을 구성하는 단어가 꽤 난이도 있었음. (symmetrical 대칭적인/complementary 보완적인/align with~ ~와 일치하다)
13. 장문 43-45번의 단어 수준이나 문장 길이가 길어짐.
올해 6평 까지도 장문은 쉽게 읽히는 수준에서 출제되었지만 7모의 장문은 단순 해석을 넘어서 상황을 정확히 이해해야 풀 수 있는 느낌.
Ⅳ. 의의 및 시사점
1. 모의고사는 모의고사다. 오답노트 철저하게 하고 해석 연습 꼼꼼하게 할 것!
: 평가원 모의고사는 아니지만, 영어 난이도가 부쩍 어려워진 최근 경향을 고려하면, 올해는 교육청 모의고사들도 오답하고 해석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
2. 34번의 빈칸의 경우는 평가원이 유도하는 오답 스케마와 비슷한 느낌. 정답의 근거 반드시 찾아볼 것. 틀린 학생은 본인이 고른 답이 왜 오답인지 확실하게 짚고 넘어갈 것.
3. 어휘 학습의 중요성.
: 전반적으로 지문과 선지가 쉬운 듯 하지만, 평소 보지 못한 생소한 어휘들이 등장하여 글이 튕겨나가고 당황했을 수 있음. 수능 전까지 어휘는 매일 꾸준히 외울 것.
4. 쉬운 유형에서도 방심은 금물.
: 25번 도표, 35번 무관한 문장, 40번 요약문, 43-45번 장문이 빡빡(?)해진 느낌. 실전에서 해당 유형들이 ‘만만한 유형’이라는 프레임을 갖고 가는 것은 위험. 이 점 간과하지 말고 해당 유형들 정답을 고를 때에도 해석 정확하게 하고 꼼꼼하게 보기.
5. ‘최악’을 대비하는 실력 기르기.
: 6평 정도의 지문 수준을 학습의 기준으로 잡고, 7모 잘봤다고 긴장을 늦추지 말 것! 틀린 지문은 오답노트 꼭 하고 [해석연습+모르는 단어 찾아 적기(제일 중요)+정답의 근거 찾기] 반드시 하기.
질적학습을 할 수 있는 마지막 기간은 8월 말 까지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단어 열심히 외우시고 해석 연습 열심히 하시길!
(작년 뜨거운 성원에 힘입어
올해 역시 미미보카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EBS 연계교재 3종+5개년 평가원 최다 빈출 단어리스트 모음인 '미미보카'는 8월 둘째 주 쯤 오르비 Docs에 업로드 예정입니다! 많관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ㄷ 틀리다고 했으면서 ㄴㄷ 체크해서 틀리고 5분동안 고민함 작년에도 수능때 이렇게...
-
기분이 생숭싱숭 7
sangsungsingsung
-
별로 안어려울것 같은데 근들갑이 심하노
-
저만 1과목씩 밀면서 수1끝내고 수2끝내고 선택과목 공부하는 식으로 한건가요?
-
실전 개념 강좌 뭐 있을까요
-
미분파트 푸는데 30번부터 장마가 시작됌ㅅ어오 원래 이런건가요 아니면 제가...
-
정신이 1
몽롱하네ㅔ..
-
평균 백분위가 83정도 나오면 누적 백분위가 8정도 나오나요?
-
열심히해도 맨날 실모 풀면 4페이지에서 2문제는 항상 시간부족함. 걍 다 푸는애들은 지능이 높은건가
-
저는 샤프심 그라파이트 B 지우개 피버카스텔 더스크 프리 파란색 이렇개 쓰고 있음
-
지방인이여서 배달받아서 치는데 곡소리가 다들 엄청나네요
-
8:00~14:50 자습&칼퇴 ㄹㅇ 내신 ㅈ같다고 욕한거 다 용서되네
-
한국사때 다시풀어보니까 14번 ㄷ에서 내가 다풀어놓고 곱하기를 더하기로 써서 몇십분...
-
경영 경제 이런 데가 경쟁률이 낮던데 애초에 표본이 높으니까 좀 빡센가요? 논술...
-
체력을 고려하면 0
에너지드링크보다는 녹차가 낫겠져?
-
4등급도 들을 수 있음?
-
노베 삼반수생 현재 쌍윤이고 윤리 좋아해서 하는데... 이해되는것과 재미있는거...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5천원 커피값에 미리 하나...
-
정신안차리네 ㅠ
-
ㅈㄱㄴ 7덮 수학
-
오호라,,,,
-
우울해 4
흐어어어어ㅓㅇ
-
기록 2
kg(내가 제일 좋아하는 단어)117 g 109 dhz 123 d 71 b 70 s...
-
가성비라고 표현하긴 좀 그렇지만 의치한약수 서연고 자연계 다 돌고 오는 거니...
-
안해도 수시 딸깍^인데,,,
-
만약 취업쪽이 목표라면 어디가는게 좋다고 생각하세요? 로스쿨이나 전문직은 완전...
-
덮 4
밥 육회덮밥 오늘 영어 유비니에 올아오면 풀어봐야지...
-
독서 40분 문학 40분 화작 15분 이정도 쓴것 같은데 실제 시험장이면 80점도 빡쎄겠죠?
-
담요단이 되어버렷!!
-
수2 풀이 어떰 1
맞아서 기분조아서올려봄
-
컷만 보면 왜 6평보다 왜 표본이 높은 거 같지??
-
현역들끼리 친걸로 등급컷 내는건가요? 아니면개재수생들 포함한 보정컷으로 나오는건가요?
-
엊그제 220일이였던거 같은데
-
사문고수분들,, 2
도표 사회보장제도만 버리고 계층,인구부양비는 문풀만 조지는중입니다.. 2가 목표면...
-
Everyday Grow, and Glow "매일 성장하며 빛날 당신" 안녕하세요,...
-
자격증 공부를 할까,,, 스페인어 A1 도전?!
-
2003년 3월 고1 대성 모의고사 성적표2003년 인문계 기준 배치표2003년...
-
여름방학때 수2 할건데 모고는 2~3등급입니다. 수2 시발점을 샀는데 수분감이나...
-
인강 들으시나요? 아니면 수특? Or n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
생윤 2
그냥 유교로 묶여나오는게 아니라 맹자 공자 구분해서도 문제 나오나요?
-
7모 96 6모 88인데 원래 이 성적대에는 이렇게 어렵나요?? ㅠㅠ 엔티켓은 거의...
-
설마… 0
한국사까지 맵진않겠지..?
-
매일 아침에 잠 깨려고 에너지드링크(ex.핫식스 제로, 몬스터에너지 하얀거)를...
-
k가 음수가 안된다고 착각해서 k가 0456 or 0345 or 0234일 때 이런...
-
그냥 찢고 다신 더프 안풀게요
-
하 공부해야하나? 내 지망 학과 후보군이 3개가 있는데 하나는 적성 안 맞겠다...
-
대해린 0
해린이가 저보고 결혼하자네요... 심장이 멎을 것 같아요
-
수학낮은데가 어디엿지 연대처럼
-
7덮 영어 답 0
좀주세요ㅜ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