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수학 21번 평변 의도가 뭐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070848
진짜 대입대입계산계산인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학원 가기전에 개념은 다 떼고가야하나요? 공통수학이랑 미적은 1컷정도 확통은 개념만...
-
상남자는 답지를그어버려 그래서국어를제일못봤어요 여러분을그러지마세요
-
22 수능 카메라지문처럼 읽을땐 쉬운데 문제가 안풀리게 만들수도 25 수능...
-
.
-
돈을 절약해요
-
https://orbi.kr/00071212956 우리 세계의 구조상 신의 존재는...
-
왜하는거죠?궁금하네.....
-
궁금궁금
-
텍스트 읽기 너무 싫다....... 그래프 그리기 너무 싫다..... 영단어 외우기...
-
의치만인가?
-
서울대 2차붙으면 20
내 똥사진 오르비에 올림 귀한거라 아껴서 보세요
-
벌써부터 +1 하는 사람이 둘이나 보인다
-
이 시발아
-
그래서 집 와서 다시 누움 소화 되면 다시 나가야지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사설에서 나오는 그래프 해석 관련 태도 저격한 문항인듯요.
사실 도함수 물어본것 자체가 "미지수 두 개니까 계산으로 밀어야 한단다. 어설프게 실전개념 들은 애들은 그래프 해석하겠지? 낄낄낄"
하려는 의도가 아니었을까 싶네요...
오 듣고보니 진짜 그런것도 같네요 평가원이 평가원스러움을 이용한 함정을 파다니
실전개념에 너무 과적합된 풀이를 추구하려다 보면 그런 함정에 특히 빠지기 쉬웠겠죠.
그래서 개인적으로 21번에서 얻어가야 할 포인트는
'기하적 해석과 대수적 해석의 판단 순간'
'대수적 풀이의 당위성 (도함수 제시->상수항 고려X->대수연립)'
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 합니다.
결국 한쪽의 풀이법에 매몰되지 말고 서로 비교해서 더 쉬운 길을 택하는 게 실력이 되겠네요 이런 시점 진짜 좋네요 ㅎㅎ
ㅎㅎ...제가 대단한게 아니라 신성규쌤이 잘 가르쳐주신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저 배운대로 적용하는 연습만 좀 했을 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