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을 앞 둔 수험생들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 by Ks N L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038815
안녕하세요. Ks N L입니다.
저희는 경희대, 서강대 등에 재학중인 대학생들이 설립한 단체로 수험생들에게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의 입시 조언, 컨설팅, 분석 등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본 칼럼을 시작으로 분석 자료, 조언 등과 같은 여러 칼럼을 제공하고 추후, 입시 컨설팅까지 제공할 예정입니다. 질문 사항 등은 댓글이나 쪽지로 부탁드리며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진도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본인의 학습 상태를 인지해라
대다수의 학생들은 강의를 수강하고 교재를 푸는 것만으로 학습이 진행된다고 착각한다. 자, 지금 본인의 교재와 모의고사 성적표를 바라보자. 당신이 완강한 그 과목 성적에는 ‘1’ 이라는 숫자가 적혀있는가? 이 지점이 바로 소위 말하는 ‘허수’와 ‘실수’를 가르는 분수령이다. ‘실수’들의 성적표엔 대부분 ‘1’, 적어도 ‘2’ 라는 숫자가 적혀있을 것이다. 그들은 절대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공부를 하지 않는다. 본인의 부족함을, 허점을 채우기 위한 학습을 진행할 뿐이다. 그에 반해 대부분의 학생들인 ‘허수’들은 어떠한가? 그들의 성적표에는 실수들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의 숫자가 적혀있다. 그럼에도 그들은 무수한 강의, 교재들을 끝냈다는 것만으로 그들의 ‘sns’ 등에 흔적을 남기며 자랑하기 급급하다. 물론, 그럼에도 그들의 ‘sns’ 에 성적표는 존재하지 않는다. 온갖 핑계와 ‘실수’라는 이름의 변명만이 성적표를 대신할 뿐이다.
불안감과 불확실성에 휘둘려 본인을 속이지말자. 그대들은 냉정히 말해 실력이 부족한 것이다. 강의와 교재를 끝내는 것이 그대들의 성적을 보장하지 않는다. 그대들의 성적표를 바라보고, 학습을 되돌아보자. 수능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 변명에 취해 본인의 현실을 자각하지 못하는 수험생들에게는 ‘1’ 이라는 숫자는 보장되지 않는다. 지금부터라도 ‘허수’ 행동을 버려야할 때이다. 현실을 자각하고, 보여주기 위한 공부가 아닌, 본인을 위한, 진정 본인의 성적을 보장하기 위한 공부를 하자.
2. 멀리 보고 학습해라
그렇다면, 진정 본인을 위한, 성적을 위한 학습을 위한 마음가짐은 무엇일까? 수험생이 가장 피해야 할 마음가짐이 있다. 이전 모의고사 성적과 사설 모의고사 성적에 도취하지 않는 것이다. 물론, 적당한 자신감 또는 좋지 않은 결과로 인한 분노는 이후 그대들의 학습에 있어 큰 자양분을 제공해줄 것이므로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자만과 자아도취는 이후 학습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물론, 이 글에 등장하는 ‘허수’에 해당하지 않는 ‘실수’들의 경우엔 해당하지 않는다.) 우리들의 목적지는 수능이다. 수능이 아닌 다른 모든 시험은 그대들의 성적, 대학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본인 역시 6월 모의고사, 사설 모의고사 성적에 도취되어 수능이라는 목적지에서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렇기에 여러분들에게 역설할 수 있는 것이다.
기억하자. 우리의 목표는 수능이다. 멀리 보고 학습해야한다. 필자의 경우, 국어라는 과목에 한하여 그대들보다 좋은 실력을 갖고 있다고 자부할 수 있기에 수능을 위한 학습법에 대하여 몇 가지 팁을 주고자 한다. 첫 번째, 수능을 응시하는 그 날까지 기출을 놓아서는 안된다. 기출은 수능을 직, 간접적으로 가장 잘 알 수 있는 자료이고 그대들이 가장 익숙해져야 할 대상이다. 기출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수능을 응시하는 그 날까지 되새기고 되새기자. 두 번째, 연계 교재 학습이다. 국어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도, 국어를 잘 하는 학생도 모두 공평하게 경쟁할 수 있는 지점이 바로 연계 지문이다. 수능 이전에 수능에 출제될 지문을 미리 알려주는 교재에 대한 학습은 완벽히 해야하지 않겠는가? 세 번째, 사설 컨텐츠를 적절히 활용하자. 위에선 사설 시험 점수에 휘둘리지 말라해놓고 역설이 아니냐고 할 독자들도 있을 것이다. 다만, 1년 동안 시행되는 국가 주관 시험은 한정되어있고, 그 시험들 이외에 수능을 대비, 예상할 수 있는 컨텐츠는 사설 컨텐츠가 거의 유일하다. 활용하되 맹신은 하지말자.
3. 마무리
이렇게 몇 가지 마음가짐과 몇 가지 간단한 팁을 제시해보았다. 도움이 좀 되었을지 모르겠지만. 그대들을 위한 진심어린 충고였으니 잘 활용해주면 좋겠다. 이후 칼럼들에서는 국어 학습을 위한 자세한 팁, 시험 운영 방법 등에 대하여 서령할 예정이다. 그 때까지 열심히, 그대들을 위한 학습을 진행하자.
‘여러분의 입시 선배로써 한 두 발짝 앞에서 수험생을 위한 파트너가 되겠습니다.’
Your partner to Univ. Ks N L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개념강의 추천좀.. 20
고2인데 시발점,개때잡 중에 하나만 추천 해주세요..고2모의고사 고득점 노리기에 좋은 개념강의요..
-
급함 진짜 급함
-
아울렛을 가봐야 하나
-
작수 국 7 수 9 영 8 생명5 지구 5 더프 국 38 수학 56 영 50 탐구...
-
유대종 언매특강 1
오늘 유대종 언매특강 들으시는분들 두각 좌석신청 떴었나여..? 원래 하루 전날에...
-
편안 시험공부한다고 이틀 밤새는건 사람이 할 짓이 못됨
-
옯창 랭킹 끼지도 못하네 ㄷㄷ 1근 옯창 되기 힘들다
-
. 4
.
-
국어 커버할 정도의 위력이 되나요?
-
충격파가 이번 정시 어느 라인까지 내려올거라 보시나요? 딱 경외시 라인 인문계열이...
-
4덮 본 현역입니다 수학 푸는데 12번까진 말그대로 술술 풀리다가 13,1415에서...
-
형님 2
형님 형님빽만
-
사문 생명 하고있는데 생명 도저히 못하겠어서 생윤or한지 고민중이에요… 선택자수...
-
여태까지 재종이랑 현강 인강 많이 들었는데 어느정도 들었다싶으면 그냥 혼자하는게...
-
다이어트 1일차 2
ㅇ
-
노베 허수 특 21
다풀지도 않을 인강 문제집 ㅈㄴ 시키고 수특 마더텅 다삼 언젠가 풀겠죠… ㅎ ㅡㅎ a..
-
머가 더 어려운거같?
-
강k 풀고싶은디 3
여긴 시발 구할수가없어
-
강대 본관 vs 스투 vs 시대 대치 (사탐런하면 어디가 젤 낫나요?) 0
현역 물지러였는데 지1 은 사문으로 이미 런. 물1도 사탐으로 바꾸려고 하는데 위...
-
ㅇㅂㄱ 3
오늘도 잇올가려니까 행복
-
너무 좋다
-
안녕하세요 6
-
공부하면 할수록 , 과외 하면 할수록.. 한번 본 문제의 논리는 다음에 신속하게...
-
스텝1 푸는데 뭔 원리합계 문제도 나오고 별 이상하게 생긴 문제들이 많은데...
-
소식해야됨
-
어렵다 킬러다 말이 많은데 솔직히 1,2등급정도 수준이면 제곱식+제곱식=0 이거...
-
분명히 80중반까지는 공부 조금만 해도 감 그런데 그 이상으로는 독서 수문장...
-
[칼럼] 국어, 왜 이토록 막막할까(feat. 그읽그풀, 구조독해, 맥락독해) 5
1편 — 국어, 왜 이토록 막막할까(feat. 그읽그풀, 구조독해, 맥락독해)...
-
뭔가 요즘 영어 공부시간이 부족해서 불안한 것도 있는데 영어 공부 시간 늘리기도...
-
올 에이쁠 1
가눙하려나
-
수학목표는 2임
-
자료 써핑하다가 기출비에 수특문학 자료 좋은 곳 있어서 공유합니당~네이버 현재...
-
입결만 고집하는 악덕 아저씨들의 말이 아니라 자식의 인생을 도와주려는 따뜻한 아버지의 마음이었다..
-
얼버기 1
부지런행
-
재수학원쌤들은 거의 미적하라하고 커뮤니티에서는 거의 확통하라함 차이가 뭐죠? 밥...
-
얼리버드 기상 3
수험생 땐 한번도 안해봄
-
계백순 볼만한데 2
좀만더 섹시하게 그리지 쭵쭵
-
잠이 안옴 3
ㅈ됏음 새우는 소리들림
-
슬슬 자러감 2
라면먹고
-
화1 화2 고민 2
24수능때 화1 2등급 맞은 물화러 입니다 다시 수능판으로 돌아오게 됐는데요 요새...
-
오랜만에 무물보 5
안받겠습니다
-
저도 의외로 잘하는거 17
-
나무 잘탐 졸라 잘탐 진짜로
-
시험 얼마안남아서 마지막으로 화학1 수특풀려고하는데 2점은 풀만하고 3점은 몇개뺘고...
-
제발 나이거너무먹고싶어제발
-
"마르크스 경제학 강의 복원하라" 연서명 나선 서울대생들 11
작년 가을부터 수요부족 이유로 미개설…"대학 근본적 목적 외면" (서울=연합뉴스)...
-
[칼럼] 2028 예시문항을 통해 본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 국어 출제의 방향성 1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예시문항 세트의 구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점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