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멘탈관리합시다(2,3등급)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036199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이제 진짜 몇몇분들은 뒷심이 떨어지신 분들도 많으실거고,
(각자 겨울 본인 의지/공부량과 지금 생각해보시면..)
자기 성적대/목표와 맞지 않는 현실 같은걸 보면서
좌절하실수도 있죠.
저 같은 경우는 수학에 좌절을 느낀 케이스인데,
결국 수능에서까지 발목을 잡았습니다.
실모 풀다가 원하는 점수가 안나올거같아 중간에 때려치고,
괜히 이상한 컨텐츠 잡아도 보고,
지금 생각해보면 차라리 중난도 실모들 가져다가 양치기로
계속 밟아보는게 정답이였던거 같은데,
공부방식이 너무 잘못되었던것 같습니다.
공부는 양치기가 항상 전제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수능날에도 성공한 과목들과 수학의 차이는,
수학은 문제량 대비 인강을 많이 들었고요,
수능 1달전부터는 실력이 퇴보해서 13,14번부터 어려웠는데
어려운 드릴 풀어가며 드릴 해설강의만 많이 봤던것 같습니다.
다른과목은 책에 쓰여진 해설만 보고 이해한후 스킵하는것도 많았고요.
실모를 계속 풀다가 때려쳐서 실모량이 이전 대비 확 줄었습니다.
다른 과목은 실모 정말 많이 풀었거든요. 시중 유명 실모는
거의 다 풀었을겁니다
자신감도 많이 떨어져서 수학공부할때 중압감이 너무 커져서
수학 공부도 하기 너무 싫어졌고요.
그래서 굳이 마스터한 사탐 개념노트를 한번 다시 읽어보던가,
국어 ebs 연계강의를 다시 듣는다던가, 했습니다.
예전에도 말씀드린바 있듯,
자신이 잘하는 백분위 96 과목과 자신이 못하는 백분위
80 과목이 있을때, 백분위 80과목에 올인하셔야지
안정적인 1을 받기위해 백분위 96과목을 백분위 99
만들겠답시고 집착하시면 안됩니다.
저 같은 경우도 그랬는데 이제는 진짜 본인 약점을 찾아서
죽을듯이 매달려 메꿀 시기입니다.
(그렇다고 아예 놓으시면 안됩니다.감유지만이라도 하세요)
수능 공부할때 저는 많이 자학적이여서, 문제 하나 틀리면
해당과목에서 실제 수능 점수가 저만치 까일거 같고,
계산실수를하면 수능에서도 그럴거 같고 그랬습니다.
이 시기에 공부시간이 그 이전 대비 줄었었는데,
한번 궤도에서 벗어나니 다시 그 흐름을 타기가 매우 힘들더군요
예외를 두지 마시고 수능 전날까지 전속력으로 정진하세요.
한번이라도 쉬었다가 못 돌아갈수 있습니다.
이때 공부시간 채워보겠다고 온몸비틀기를 많이 했는데,
정각에 시작하겠다고 중간 쉬는 시간도 많이 가졌었고,
굳이 안들어도 되는 다 아는 내용을 인강으로 듣기도 했었고요,
하여간 많은 방법을 사용했는데 정말 잘못된 일입니다.
굳이 안들어도 되는 내용을 인강으로 멍때리며 들어놓고 공부했다
생각하시면 매우 큰 착각입니다. 시간 날린거에요.(특히 이시기)
자기 실력에 발전이 있는 행동을 스스로 하려고 최대한 노력하시고, 생각하세요. 펜만 붙들고 앉아서 뭘 한다고 공부가 아닙니다.
스스로 브레인크래킹 하지도 않으면서 아무생각없이 맨날
풀던 유형 헬렐레 복붙하면서 양치기하는것도 의미가 없습니다.
절대 실력이 늘리가 없습니다.
고통스러우신가요, 모든 수험공부는 원래 고통스럽습니다.
이 사실을 바꿀순 없습니다. 그냥 눈 딱 감고 미친듯이 정진하십시오. 버티는 사람이 승리합니다. 버티지 못하면 낙오됩니다.
본인이 해도 자기 목표를 이루지 못할것 같다, 고 생각하신다면,
본인 목표대학보다 두세 라인 아래에 있는 대학을 간다고
상상해보세요. 지금 멈추면 그게 반년뒤 여러분의 미래입니다.
지금 현재 본인에게 제일 힘든걸 찾아서 하세요.
자기 약점들은 스스로 알테니 끊임없이 브레인크래킹하며
매울 생각을 하시고, 어중간하게 이상한 공부로 떼워놓지
말고 제대로 공부하세요.
자기 목표를 이루는게 매우 요원할수 있습니다.
어떡하겠어요? 현실은 현실입니다. 본인 실력대를 인지하세요.
그리고 그 실력대 바탕으로 최대한 남은기간 전략을 잘 짜봐야합니다. 스스로 했던 계획을 바꿔야할수도 있습니다.
자기 꿈 붙잡고 세상에 징징거려도, 아무도 뭘 해주지 않더군요...
사회는 차갑습니다.(똑똑한 청년)
남은 기간 인생을 걸고 최대한 버텨보시길 바랍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0 XDK (+3,000)
-
1,000
-
1,000
-
1,000
-
답의 근거를 지문에서 찾고, 단순히 지문을 여러 번 읽어서 '내용'의 이해가 된...
-
ㅅㅂ 2기나 만들라고 두세개까진 좋은데 대체 몇 장을 내는 건지
-
개강한 반수생 0
아침 공부 후 학교 수업듣고 집에 오니 6시 반 좀 빡시네 그래도 얼마 안남았다
-
반수 비용 15
반수 하시는 분들 1달 비용 어느정도 나오시나요? 내돈내반수인데 생각보다 너무 많이...
-
운영되나요 그리고 통금같은거 있나요?? 있으면 외박은 허락받아야하나요 사감한테
-
국어 화작문 15문제 20분 안에만 다 맞추면 1등급임 ㅇㅇ 고2는 문학 ㅈㄴ...
-
국밥유형 많다면 몇개만 사서 풀려 하는데 비슷비슷한 느낌인가요?
-
야식 ㅇㅈ 4
-
고2리서 우기분이나 ebs는 안 해도 될거 같은데 이후에 커리 추천좀
-
정시 100%하면 자퇴율 급증할거다 하는데 그것은 공교육이 망했다는 반증
-
나는 공부는 잘 못 했지만 내가 가르쳐준 애들은 대학 다 잘 가더라 1
수능은 잘 못 봤지만 중고등 내신은 꽤 열심히했던 편이어서 중고딩때 친구들 많이...
-
탐구는 멘탈싸움 1
포기하지 않으면 목표에는 도달할 수 있는 거 맞겠죠??? 맞다고 해줘..
-
작품그자체
-
확통사탐으로 공대가려면 미적보다 얼마나 더 잘 쳐야하나여? 3
국숭같은데는 한두급정도 높게 성적이 나와야할까요?
-
지구과학 급하게 개념 OZ로 끝낸 거 한달 반 정도 됐는데 개념 좀 까먹어서 5
개념강의 빠진 부분만 다시 듣는 거 괜찮죠?
-
'BIS비율 권고기준 미달' 저축銀 4곳…당국, 자본조달계획 접수(종합2보) 13
(서울=연합뉴스) 오지은 기자 = 상반기 기준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이...
-
틀리면서 왜 틀렸는지 분석하고 해설듣고 필기하고 복습하는 식으로 공부하려는데 나쁘지 않은거 같음?
굳이 안들어도 되는 내용 인강 들으며 공부 시간 채우기... 요즘 딱 저네요 ㅜㅜ
삐약
선생님 좋은 글 너무 감사합니다. 요즘 생각했던 것 만큼 점수가 안 나와 걱정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자꾸만 도피하려던 경향이 있었는데 다시 마주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제 정말 며칠 안 남았으니 죽을듯이 노력해보겠습니다. 열정을 상기할 수 있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정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