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독해력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499650
독해력 관련해서 질문 들어오는것이 제일 많습니다.
(사실 대부분입니다)
많은 분들이 국어에서 제일 고민하시는게 이거고
대학에 와서도 PSAT, LEET를 도전하실 때에 독해력을
고민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수능 국어 시험은, 애초에 낼 때 그 사람이 초-중-고 10년간 교육과정을 꾸준히 따라옴으로서 쌓아올린 독해력이 있다고 가정하고 출제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평소 그간 공부에 소홀히 하신 분들, 책을 멀리하신 분들이 단기간에 갑자기 국어공부를 하시면 점수가 나오지 않는것이 어찌보면 당연하고, 별다른 국어 공부 없이도 그간 책을 이것저것 많이 접해오신 분들이라면 국어 성적이 잘 나올 것입니다.
특히나 예전처럼 문학에서도 일상독해 같은걸 요구하지 딥한 문학적 지식들을 요구하지 않잖아요. 독해력의 중요성이 더 커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어가 막힌다고 느꼈을때 저도 그렇고 대부분이 별의 별 행동을 다 하게 되는데, 단락별 요약도 해보고, 지문 옆에 구조니 뭐니
해서 별거 다 그려보고, 제재별 태도가 어쩌고 저쩌고,
"그러나"에 세모도 쳐보고 다 해요. 근데 잘 안 늘죠.
독해력 그 자체는 평소에 안 읽던 사람들이 책 1,2년 읽었다고
팍팍 느는게 아니라 그렇습니다.... 수험생분들께는 유감스럽게도요. "무난하게 적당히" 공부했을 때 본질적인 독해력을 늘리려면 한 4~5년은 잡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우리는 그렇게 적당히 공부하진 않죠.
독해력은 계단식으로 오릅니다. 대부분의 공부가 그렇습니다만, 왕창 했는데도 뒤지게 안 오르다가 갑자기 어느 순간 쭈욱 올라있지요.
따라서 수험생의 목표는, 그 계단처럼 오르는 그 독해력의 비약의 시기를 최대한 빨리 빨리 당겨야한다는 말입니다.
제일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즐기는 것이라고 합니다. 지문을 읽으면서도 계속 스스로 질문하고, "왜 이렇지?" "아 이런 말을 하는 것을 보니 앞으로도 계속 이런 이야기가 나오겠군!" 같은 태도를 좀 가지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문에 몰입하고, 재밌어하고, "아 xxxx 뭐라는거야" 하면서 죽을듯이 한번 파보고(특히 평가원 기출이라면 모든 지문에서 이런 경험을 해보는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해야합니다
"한 문단 한 문단 지문 읽을 때는 다 알겠어, 근데 또 다 읽고나면
xx 뭔 내용인지 하나도 모르겠어! 미치겠다!" 하시는 분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결국 저렇게 몰입하다보면 저것의 원인 중 하나인 문단&문단,문장&문장간의 관계도 무의식적으로라도 더 따라오게
되곤 합니다.
지문을 읽는 와중에도 스스로에게 설명하듯이 이해시키려고 하고, 그것을 계속 반복하니 자연스레 실력이 느는 것이지요.
(공부 잘하시는 분들 중 혼잣말이 버릇인 분들이 계신데 그런 혼잣말이 어떻게 보면 스스로의 사고과정의 피드백을 즉각즉각 하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랜만의 글을 마무리하며, 물론 양도 중요하겠지만 피드백 과정이 없는 공부는 생각보다 많이 무의미하다는 말씀 드리겠습니딘. 이원준T 말씀대로, 매일 문제 벅벅 풀어제낀다고 근본적인 독해력이 3,4개월만에 느는것이 절대 아닙니다.
"아, 나 이거 다 풀었다, 보람차네?"만 무의식적으로 반복하면 의미없는 결과에 허무함을 느끼실 수도 있으실까봐 염려됩니다.
(특히 국어에서요)
아직 3월입니다. 모두 건강 조심하시고, 각자의 목표를 위해
열심히 달려나가도록 해요.
여러분이 의미있는 결과를 얻으시길 응원하겠습니다.
(내용 추가) 혹시나 이 글을 읽고 무기력해지신다거나, 하시는 분들 계실까봐....수능 전에 본인의 독해력 수준이 본인의 목표만큼 가지 못하실 수 있습니다. 그걸 위해서 우리가 다른 수단들
(기출 분석, 태도, 본인만의 독해법과 루틴/팁들)을 쓰는것입니다.
다른 어떠한 사람들 방식들을 의미없다고 깎아내리거나, "종자가 다르니 국어 공부해도 의미없다" 같은 칼럼이 절대 아님을 말씀드립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여기서부터 칼럼이 아닌 사담입니다.
-일본어 칼럼이 제 불찰로 날라갔더라구요 ㅠ 죄송합니다.
2년전 칼럼이라 기조가 지금과 다를거 같기도 하고, 다시 쓸 수
있으려나 모르겠습니다.
-저는 아마 7월 공군 입대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스트레스가 너무 심하네요 ㅠㅜ... 별의 별 생각이 다 드는 요즘입니다.
학교는...어째 다니고는 있습니다.
-위 칼럼은 순도 100% 제 본인의 의견은 아니고요, 이쪽 분야에서 조금 유명하신 교수님 강의 들은 내용+제 경험을 조금 섞어서 써본 것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떻게 안되나
-
체력적으로는 되는데 정신적으로 힘들다 아닌거같다 이방법은..
-
요즘 군대많이가네..
-
오랜만이에요 0
현생 열시미 사는중
-
야이씨발년들아 14
수면제 먹고 야식먹어서 진정이안돼
-
그래도 내년에 가야지..
-
발바닥 핥기 11
미소녀 발바닥 할짝할짝
-
피부 ㄹㅇ 짱 시원해짐... 삶의 질이 상승해
-
근데 나도 모르는 사이에 뜨고 있음 뜬다고 해서 얻는것도 없고 상대방 생각도 못돌리는데
-
이사람왜케저능 0
저도참궁금
-
어차피 나도 많이 당했을테니 나도 해야겠어
-
ㅇㅇ
-
인기가없는데 알고잇겟냐? .
-
그럴 수 있지...
-
피곤해 날벌레들이요즘많죠?^^
-
목마름
-
추억돋네 1
옛날에
-
어디까지 가능할꺼라봄? 제 이야기는 아니고 학교 후배가 물어봐서 ㅋㅋ 1은 뜰꺼같다고 해주긴 했는데
-
멍청한데게으로기까지하고모쏠찐따아싸꼴초야
-
겟냐?
-
불쌍맨 ㅇㅈ 4
ㅠㅠ
-
백분위기준 화작83 미적58 영어4 생윤12 사문56 그만 알ㅇㅏ보도록 하자…….
-
어떻게?
-
저는 이원준쌤 하트브레이커라고 생각합니다.
-
경외시끼리 이렇게나 붙어있는 줄은 진짜 상상도 못 했음... 서로 넘 가까움
-
벗ㅂ중임 23
1억내면 입장가능
-
가끔 밝은데 가면 밝기가 최소로 바뀜 그래서 십 폰 꺼진줄알고 한참을 지랄함
-
난진짜 아무상관없는데 솔직히 아내이름 그대로 쓰자고 해도 ㄱㅊ음 다만 그게...
-
대학 주변에 5
존잘들이 너무 많아서 항상 눈 깔고 다니는 즁...
-
그냥 이름 그대로 넣었는데 그땐 suck이 그런 단어인 줄 몰랐지... 네이버랑...
-
미적분 선택자이고 교육청 기준 평균 미적 2틀 (원점수 88 언저리) 3덮 81...
-
한지 vs 동사 1
동사 개념 작년에 한바퀴 돌렷는데 다시 보긴해야하는데 어쨋든 베이스가 있긴하고요...
-
입술 1
깨물기
-
막 청첩장 주는데 이름이똑같은거임
-
나처럼 0
미3누 덕분에 이채영 좋아하게 된 사람?
-
지금도 부럽다..
-
사설에서 에바인거 나오면 거르라는데 교육청도 해당되나
-
신촌오샘 2
기영이 숯불치킨 쿠폰 써야됨
-
몸이 근질근질 0
스카
-
학교장 추천 수시 기준 면접 없음 최저 없음 군외라 그냥 써도 됨
-
수능공부하면서 많이 이용한 앱에 제 가정사까지 쓰게될줄은 몰랐는데 말할곳도 없고...
-
ㅇㅈ
-
하는 것 만큼 비참한 존재가 없음 그래서 난 내색하지않을거
-
이거 개웃기던데 1
ㅋㅋㅋ
-
한정거장 더 옴 지하철 끊겨서 다시 걸어가야함 시발 ㅠ
-
다음에 ㅇㅈ메타돌때와야갯다
-
지1 엄영대 2배속개념 : 1~18강 2024 수능특강 1~3,5단원...
-
우리집너무좋다.
-
삼성 야구 너무 분함 11
김재윤 경산 보내든 반품하든 해라 좀.. 하아아ㅏ 가을 야구 가긴 가냐?
-
후시구로 메구미나 포트거스 D 에이스같은 사람들보면 난 엄마성따르는거도 되게 좋다고봄
교수님 말씀하시는게 김동욱T 하시는 말씀이랑 결이 비슷하시더라고요
그 교수님.. 리트 만드신 교수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아마요. 그분 맞으실겁니다

오랜만입니당민찬홍 그는 신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