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ASIP [313550] · MS 2009 · 쪽지

2011-01-24 12:52:39
조회수 489

수리가형으로 문과대학 지원할때 점수 환산법 잘 아시는 분 있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8674

가형 백분위를 나형 백분위의 표준점수로 환산한 뒤 가산점을 더하는 방식이 맞나요? 그렇다면 올해 가형 99퍼를 받았다고 치면 나형 144점으로 환산후 올해 가산점 5.2점을 더하는 건가요? 내년에 가산점이 2배로 커진다 그래서 관심이 생기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겨녀뎌려 · 346715 · 11/01/24 12:58 · MS 2010

    예를 들어 언수(가)외 표점이 138/148/137라고 합시다. 환산점수 계산시
    138 + 146.54 x 1.25 + 137 + (탐구 계산) + 5.2 이렇게 계산합니다.
    올해 가형 99퍼를 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나형 144점이 아닙니다. 서울대 자체 산출 표준점수표를 확인해보세요.
    그것보다 님이 문과시라면 그냥 나형 100점 맞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 PedroMartinez · 354574 · 11/01/24 13:08

    그것보다 님이 문과시라면 그냥 나형 100점 맞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2)

  • anotherday · 349363 · 11/01/24 13:19 · MS 2010

    그것보다 님이 문과시라면 그냥 나형 100점 맞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3)

  • 과고생 · 342008 · 11/01/24 15:48 · MS 2010

    헉 (146.54+5.2) x 1.25 가 아니라 그냥 +5.2 인가요? 전자라면 꽤나 파격적일텐데

  • Returns. · 348584 · 11/01/24 23:20 · MS 2010

    정확히 말하자면, 수리나형 백분위의 5%씩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표준점수 차이의 평균을 5로 나눈값이에요.

    그니깐,
    [{(나형 100%의 표점)-(나형 95%의 표점)} + {(나형 95%의 표점)-(나형 90%의 표점)} +……… + {(나형 55%의 표점)-(나형 50%의 표점)}]
    을 5로 나눈 값이에요.


    결과적으로 정리하면,

    {(나형 100%의 표점)-(나형 50%의 표점)}/5 라고 정리되요.

  • Returns. · 348584 · 11/01/24 23:24 · MS 2010

    위에서 보다시피, 나형이 어려울수록 각 백분위 급간간의 표점 차이가 커지니, 가산점은 많이 붙게 되요.
    올해까진 위의 값에 나누기 10을 했지만, 2012입시부터 나누기 5로 변경되서 정확히 가산점이 2배가 되었구요,


    그래서 결론적으로 문과가 수리가형 응시시에는
    자기가 맞은 가형의 백분위에 해당하는 나형의 점수로 변환된 다음, 가산점은 따로 붙는거에요.
    (가산점에 *1.25를 하지 않는단 뜻)


    고정적으로 5.2점! 이런식으로 붙지 않는다는걸 알아두세여.

  • IIASIP · 313550 · 11/01/26 22:30 · MS 2009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