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대학에서 수학 잘하는 애들 뽑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844338
결국 입시의 문제입니다.
영어영문학과에서 영어를 잘하는 학생을 뽑는다.
수학과에서 수학 잘하는 학생을 뽑는다.
지리학과에서 지리를 잘하는 학생을 뽑는다.
생물학과에서 생명을 잘하는 학생을 뽑는다.
전혀 이상하지 않아 보입니다.
그런데 이제 수능 문제 및 성적을 가지고 판단한다 생각해봅시다.
수능 수학을 잘한다고 해서 수학과에 가서 고득점을 받게 되나요?
그럴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동의하시는 분이 많을 겁니다.
수능 화학, 생명을 잘한다고 해서 화학과, 생물학과에 가서 고득점을 받게 되나요?
여기서부터는 의구심이 들 것 입니다.
수능의 특성상 괴리감이 있기 때문이지요.
그렇다면 수능과의 연관성이 적은 학과면 어떻게 판단을 합니까?
선택과목 하나하나 다 적용을 시켜야하나요?
그렇다고 할지라도 어문계열은 특성상 반영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타학과도 이런 경우가 많을 것이고요.
아동학과, 조경학과 등의 이런 곳은 뭘 반영해야 하나요?
그러면 서울대 이과계열처럼 과목 하나하나 선택의 규제가 들어가야하나요?
그런데 서울대도 이 기준을 따르고 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수능과 학과 공부와 괴리가 있다고 본 것이겠지요.
그래서 학생부에서 과목을 이수했느냐 안했냐를 판단하는 거죠.
그렇다면 모든 대학이 서울대처럼 학생부를 반영해야 된다고 보나요?
반대 입장이 많을 겁니다.
현재 입시의 체제에서는요.
물론 인문 대학에서는 수학보다 국어의 중요성이 더 높겠죠.
그러나 인문, 사회, 어문, 정경 등 계열 혹은 학과마다 기준이 다르면 입시는 전반적으로 혼란을 겪게 됩니다.
문과에서만 크게 나누었을 때도 4개 카테고리로 묶입니다.
이과까지 포함하면 적어도 한 대학 당 정시 기준만 6개 이상을 만들어야 할 것 입니다.
그래서 통일된 기준을 적용하여야 하는데 그게 수학이라고 판단한거죠.
일단 대학 들어오려면 수학부터 잘하고 봐라는 겁니다.
오히려 이러한 기준이 입시의 혼란을 해소시켜주고 있다고 봅니다.
현 정시는 전공적합성을 그렇게 고려하지 못할 수 밖에 없습니다.
입시의 전반적인 문제라고는 생각하나 마땅한 해결책이 딱 떠오르지는 않습니다.
대학 측 입장에서는 최선이라고 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ㅈㄴ힘들다진짜 고졸로 살더라도 재수만큼은 정말로 안 하고싶음 재수하다가 ㄹㅇ 자1살...
-
오늘 동네재종 점심 처음으로 진짜 맛있어서 행복했는데 강대생들은 매일 맛난거 먹는다...
-
좀 더 정확히는 국어 시험볼때 하나도 안떨림 긴장감이 0임 재밌는게 평소에는 15분...
-
98일 3
지구왜안망함.
-
진짜 이과 과탐을 4개를 고봉밥마냥 꾸역꾸역 수강하려는게 왜이리 짜증나지
-
회사 때려침 17
다음주부터 휴가 다 꼴아박고 나가는데 너무 설레고 두근두근 하네요 어쨌든 여유 있을...
-
국영수탐 중에 잘하는 과목이 하나라도 있어서 부럽다 2
솔직히 몰빵 공부법 어케 생각하시나요… 하나 올리고 나머지 파박 올리는거.....
-
거의 커트라인 수준이었네 ㅋㅋ 어캐 컷이 250이 나오냐 ㅅㅂ
-
지금 유전빼고 비킬러 완벽하고 유전 개념만 해놨는데… 유전 백호 상크스 듣고 스킬...
-
최적 상 특이 눈썹 진함 눈코입 진함 풍만함 키큼 목소리 낮음 남자들이 잘생겼다고...
-
비연계 소설 아는내용일때
-
아
-
강대x 기대된다 2
시즌1 81-89진동이였는데 시즌2는 어떨까
-
근데 보통 온라인에서 욕하고 현실에선 욕 잘안하지않나 8
전 정반대임...
-
명곡과 명장면의 조합...원피스가 이런 만화였다니...
-
이거 뭐냐 42
자기 전에 서버 트래픽이 너무 몰려서 확인해 보니... 가입자 추이 문제지 생성...
-
교과 빠진거 있나요 구글에서 서칭하다가 찾았는데 안배운내용이 좀 있길래
-
차은우씨 4
그얼굴에 성균관대는 너무한거 아닌가요
-
히히히
말그대로 "대학수학능력"을 평가하는것일 뿐...... 특기로 대학갈거면 종합을 써야지
맞아요... 정시 전형의 가장 큰 문제점이라면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치만 정시 전형의 장점이라면 장점일 수 있습니다. 일관된 선발기준이요.
애초에 표준화시험이 특기나 재주를 평가하는 목적의 시험이 아닌데말이죠
정시는 전공적합성을 그렇게 고려하지 못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주호 : 그러니까 수시를 확대하면 되는거지? ㄹㅇㅋㅋㄹㅇㅋㅋ
어라..?
문장에 불필요한 부분이 들어간 부분이 있으므로 '그렇게'를 제외해야겠어.
수능 공부하다보면 아 그냥 이게 학문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논리를 공부하는구나 하고 느끼는 게 있을텐데 그런거 다 제끼고 과목으로 따지면 끝이 없...
수능공부랑 대학 전공공부는 연관 없는 경우가 많아서 그냥 고딩때 오래 앉아서 공부해본 사람을 뽑는게 아닐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