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1 - 7월 모의고사 19 한계반응물 판단 방법 (질문받아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799026
오랜만에 들어오네요.
7모 19, 20번 문제 풀이에 대한 질문이 종종 들어와서 글 남깁니다.
정확하게는 19번의 한계반응물 판단 방법과
20번의 액성 판단 방법에 대한 질문이 주를 이뤘기에 이에 대한 방법 위주로
19번
대부분 학생들이 실험 1의 한계반응물을 구하고, 실험 2의 한계반응물은 귀류로 판단하더라고요.
아마 제가 시험장에서 풀었어도 이렇게 풀지 않았을까 싶어요.
하지만 귀류 없이 실험 2의 한계반응물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그건 그래프를 떠올려보는겁니다.
0. A고정 해도 되고 B 고정 해도 됨. 숫자 간단한 B고정으로 일단 예시
실험 1을 2배로 늘려 B의 질량을 112w로 고정하면
부피는 실험1 : 실험2 = 6 : 5로 나오고
실험 2에서 1로 갈 때 부피가 늘었으니 1은 B가 한계다 가 나오죠.
1. 그래프에서 실험1 점과 실험2 점을 지나는 직선 그리기
이때 A질량은 실험1과 실험2가 4 : 3으로 존재하니
점을 3,5 와 4,6으로 잡을 수 있고
이 둘을 지나는 직선의 y절편은 0,2가 됩니다.
이때 2 < 5/2 이기 때문에 3,5는 한계반응물이 B이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이유
당량점 이후 그래프를 연장하면 y절편은 당량점에서의 y좌표 /2 가 되고 (계수 보고 판단)
만약 3,5에서 한계반응물이 B라면, 당량점의 y좌표는 5이하일거고
그러면 5/2 >= y절편/2 라는 의미를 가지죠.
반대로 3,5에서 한계반응물이 A라면 당량점의 y좌표는 5일거고
3,5와 4,6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당량점 이후 그래프보다 기울기가 작기 때문에 y절편은 5/2보다 크게 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두 점을 이은 직선의 y절편으로 한계반응물을 판단할 수 있죠.
3. A고정으로 해도 동일하게 판단 가능합니다.
한번 해보면 좋아요.
이건 양적 문제에서 상황 판단 하는데 자주 쓰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롤이나 게임에서 선 안넘을때까지만 시비걸고 상대방이 빡쳐서 패드립이나 모욕하면...
-
수학 풀면 덕코드림 15
-
동시통역은 초짜는 웬만하면 안하는데 일났다^^; 헤헤^^;; 그래고 최선을 다해서...
-
ㅋㅋㅋ
-
기다릴게
-
영어 해석 rr 1
There are times when being able to project...
-
님들은 인터넷친구있음? 22
게임할때 거의 같이하거나 그런?
-
결혼 늘자 5월 태어난 아기 8년반 만에 두달 연속 늘었다 6
혼인 건수 2개월 연속 20%대 증가율 기록…사망자 감소 전환 (세종=연합뉴스)...
-
얼버기 4
-
92 98 84 99 과목 잘못 고른거같은데 도망치기엔 늦었구나...
-
고3현역인데 국어가 맨날 백분위 76~69 이사이에 맴돌아.. (4초정도란 소리)...
-
우변이 적분기호 안쪽에 식이 e^x - 1에 f(t) 합성한거라서 미분할 때...
-
티몬 위메프 부도이슈 터지고 나서 그 쪽 직원들은 퇴직연금 못 받게 생기고,...
-
[단독] 티몬發 '페이 대란' 오나…컬쳐랜드·해피머니도 거래중단 '불똥' 2
티몬·위메프 미정산 대란이 컬쳐랜드·해피머니 등 티몬에서 판매했던 상품권 업계로까지...
-
를 원하기엔 뇌빼고 하기 너무 재밌는 과목이었다고 한다
-
김승리 현강 3
김승리 현강 2026 올오카부터 다니려고 하는데 보통 언제부터 현강 신청 받나요??...
-
김승리 커리 따라가서 올오카(다 들음) tim(1만 하고 2는 아직 안함)...
오늘 밤에 이거로...
너무 좋네요 1단원 다시 기출 풀어봐야 할듯 하네요
안녕하세요!! 이 댓글을 보실진 모르겠지만.. 반응계수가 다 나와있어 유의미한 판단 방법인지 그 여부가 궁금합니다!!
일단 이 판단 방법은 반응계수가 다 나와있어서 사용 가능한 판단 방법입니다.
문제 자체가 간단하고, 계수가 다 나와있어서 단순 귀류를 사용하더라도 빠르게 구할 수 있는 문제에요.
그래서 이런 판단법이 크게 효용이 없어보이기도 하지만, 꽤나 자주 쓰이는 판단 방법중 하나라 저는 공부해두면 좋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