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론적 이형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797873
‘먹는’ 음식
‘좋은’ 음식
위에서 ‘는,은’ 은 음운론적 이형태 맞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무잔이다!! 4
녀석은 목을 베어도 죽지 않아!!
-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은 과외 어떻게 구하시나요 ?! ... ㅜㅜ 0
오랜만에 오르비에 들어와 글을 씁니다. 제곧내인데, 여러분들은 어떻게 과외를 어디서...
-
등급적어주셔도 되고 현장에서 어케 할건지 등등 자유롭게 서술해주세요 ㅎㅅㅎ 저는...
-
정법을 많이 들으시는 것 같은데 사문은 글이 별로 없네요 ㅠ
-
에필로그 문항 수 늘려줬으면 좋겠음. 하루에 국어 4시간 이상 하라고 말하는데 그...
-
눈물이 다 나네
-
폐쇄병동 궁금하신분 26
17살때 2달입원 23살(작년)에 2주 입원 경험자임 궁금한거 질문받음 ㄱㄱ
-
이해원 n제 다하고 드릴할까 고민중인데, 메가패스가 없습니다.. 드릴 교재...
-
수능 물리 20번 유출 11
정답은 2번이라네요
-
ㅈㄱㄴ
-
놀아주세요 14
-
우리사랑했자나 1
제발 날울리지마
-
돈주고 사기
-
ㅠ흠냐뇨이
엥 !?? 관형격 어미가 먹(다)이라는 동사 뒤에서는 -는, 좋(다)라는 형용사 뒤에서는 -은 으로 쓰인 것 아닌가요? 한번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
음운론적 이형태면 '주격조사 이/가'처럼 음운의 환경에 따라서 교체가 되야 하는데 동사와 형용사면 음운의 환경이 다른 게 아닙니다.
그럼 ‘는,은’은 의미론적 이형태인건가요?
는,은 을 바꿔 말하면 적절치 않고, 관형어 역할이라는 기능도 동일하므로 이형태는 분명 맞는 것 같아서요
굳이 이형태라고 기술하지 않습니다. 음운론적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 않으니 음운론적 이형태도 아니고 특정 형태소와 결합할 때 다르게 나타나는 것도 아니니 형태론적 이형태도 아닙니다.
또 의미론적으로 보기도 어렵습니다. '에'와 '에게'는 유정/무정의 의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동사/형용사라는 범주는 의미라기에는 애매합니다.
학교문법에서 '-는'과 '-은'의 관계를 기술하고 있지 않으니 고려하실 필요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