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763584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비교내신하면 2점 초 줄거 아녀 내가 무슨 생각을 27수능으로 가야지
-
PCR, 카메라, 비타민 K, 우주론 빼고
-
6개가 커져잇고 추우면, 6개 온도를 다 올리는게 아니라, 6개 세기를 약하게...
-
아도신곡 0
많이 들어주세요
-
캬오 1
캬아아오
-
유행하는거 하나도몰라서 사실너도!똑같더라고네슬픔이 어쩌고저쩌고 이거 어제알아서...
-
시간 지나니깐 공도가 뒤지게 안풀리고 벡터가 훨씬 잘풀림;; 벡터는 좀 정형화 된 느낌??
-
못 알아보는게 2
뭐가 중요하겠어 지금부터 다시 알아가보자
-
…… 0
-
다시 처음 한걸음부터 해야되네....
-
28재수못한다는거 다 근들깁이얏구만
-
행복하고싶다 0
지금은 전혀 행복하지 않아
-
난 서늘한게 좋단 말이다..
-
슬슬 6
자볼가
-
왤까
-
지인선 같이 하프모 형식으로 된 n제 뭐있음??
-
닉변 너무 많다 11
누군지 모르겠엉
-
그냥빠르게성형후 11
틱톡커나하자
-
수학 실모 추천 1
수학 2-3 나오는데 이정도 수준에 맞는 실모 있을까요?ㅠ
-
수학연속7시간은 0
고문이야~
-
딱대
-
실모 0
yes24에서 실모좀 시키려고하는데 지인선모나 이해원모 난이도 킬캠 시즌2...
-
요즘 6
오르비 활력 없나 아무리 노잼글을 싸질러도 이정도 뮤반응은 아니얐는데
-
너 말이야.
-
용 대가리 (서울 토박이/상급지 거주) 용 꼬리 or 뱀 대가리 (지방에서 서울...
-
아이고 4
오르비 하도 안하니까 뻘글 영감이 안 떠올라
-
ㅠㅠㅠ
-
지 혼자 발기된거 보소
-
뻘글에 대한 기준이 뭘까 무미건조한 글? 재미 없는 글? 유익하지 않는 글? 그냥...
-
지금 배터리11퍼인데 종점역까지 간다음에 걸어서 한강이랑 아무도없는 밭 건너야함...
-
보고싶다
-
각각 예상 1컷 41 38 39 이게맞?나
-
저는 이번에 처음책받아서 오늘 공부해보는데 꽤 강의도 길고 필기할게 많아보이는데...
-
설의에 가고 싶은 밤이구나
-
선착순 1명 7
반가운 기냠으로 인사 하이욤
-
오늘 공부한거 0
독서기출 강이분언매2-10 영어 순삽7문제 수학 강k24 회 허들링 적분 8문제...
-
이질감 들어서 뭔가 했네
-
그녀에게 들리게
-
교수 차이 때문인지 과학보다 재미가 없네 오히려 화,생이 1402181배 재밌음
-
오늘의 홈트 10
야자째고 마라탕도 먹어서.... 홈트 좀 많이 했습니다다닥 오늘도 심으뜸님 복근...
-
오늘 마무리 0
국어 새기분 (Part 2의 3, 복습) 이감 N제 화작 한 세트 수학 수1...
-
만약 이번에 공항빵 지면 젠지로 갈아탄다
-
제가 그 기분이에요 지금
-
힘들다 0
오르고잇는거니
-
근데 보통 0
독학 반수생이나 재수생은 보통 가채점표 어디서 받음? 그냥 알아서 준비해 가는건가
-
마감2분전에제출 8
2000자 글을 써야 햇지만 당당하게 마감 30분 전까지 프세카를 하다가 초집중해서 완성햇어요 흐흐
-
하사십 작년꺼는 잘풀긴햇어요
A
일반적으론 A이겠지만 이 문제의 의도는 ‘무조건 A라고 단언할 수 있나?’ 입니다
모든 외행성은 매일 남중시각이 조금씩 빨라지고, 더 바깥 궤도의 외행성일수록 기준점인 태양과의 적경변화 속도차이가 더 커져서 단위시간당 남중시각의 변화량도 더 크다고 배웠는데 예외도 존재하나요?

외행성 근일점 원일점에 위치할때의 속도차같은것도 고려를 해야하나아닙니다! 공전궤도는 원궤도라고 가정한 상황입니다!
맞습니다!
하지만 같은 외행성이라 하더라도 단위시간당 남중시각의 변화량이 항상 일정하지 않습니다.
만약 지구가 외행성의 공전궤도의 중심(태양 위치)에 있었다면 단위시간당 남중시각의 변화량은 항상 일정하겠죠
실제로 화성을 제외한 외행성은 공전궤도 반지름이 지구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지구가 거의 공전궤도의 중심에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따라서 화성을 제외한 외행성들은 단위시간당 남중시각의 변화량이 거의 일정할 것입니다.
하지만 화성의 공전궤도 반지름은 1.5AU밖에 되지 않아 지구가 화성의 공전궤도의 중심에 있다고 할 수 없고, 화성의 단위시간당 남중시각 변화량은 충 부근에서 평소보다 빠를 수 밖에 없습니다.
(화성이 서구->동구로 이동하는 동안 남중시각은 12시간 변하고, 동구->서구로 이동하는 동안 역시 남중시각이 12시간 변합니다. 하지만 동구->서구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훨씬 오래걸린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기간동안 A가 만약에 충 부근을 지나는 화성이고, B가 목성이라고 가정하면 화성의 공전궤도 반지름이 목성보다 작음에도 남중시각 변화량은 더 클 수 있습니다 ㅎㅎ
사진의 11월-12월 두달동안 화성과 목성의 남중시각 변화를 비교해보시면 이해할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물론 수능에서는 이런거 가지고 장난질 치진 않을 것입니다..

화성 정도로 지구와 가까우면 외행성-지구-태양의 각(= 직각일때) ≠ 외행성-태양-지구의 각이 되는거군요화성보다 바깥 외행성들은 등호로 봐도 상관없는정도의 오차고
정확합니다!! 화성에서는 저 오차가 꽤 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남중시각 변화량도 지구와의 위치관계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는 것입니다. 충 부근에서는 단위시간당 남중시각 변화량이 잠시나마 목성보다도 커지죠

문제로 나왔으면 좋았을 내용이네요목성과의 남중시각 변화량의 미세한 비교까진 아니더라도, 지구와 화성의 공전궤도 반지름 차이를 시각적으로 제시해주고 지구와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화성 단독의 남중시각 변화 속도를 묻는 문제정도라면 나올만도 한것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