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에 문학을 언어논리적으로 접근하는건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755143
겸양은 틀린게 맞음
야인생애는 걍 화자의 처지 그대로 드러낸 것인데 겸손할리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국어-1일 1실모 하면 100개 넘게 품 영어-단어 매일 30개 외우면 3천개임;;...
-
대체 올해 1
이놈의 비는 왤케 내렸다 말았다해
-
오리진 하면서 일주일동안 보완한담에 테이리 세배압축 고고혓해야지
-
무물보 0
ㅎㅎ
-
둘다 붙으면?
-
결국 아직도 간간히 출석중이다 무슨 미련이 남았길래 자꾸만 들르는걸까
-
시립대랑 경희대 4
취향차이 인건가욤?
-
이해원 한완수 1
수1은 시발점 끝내고 수분감 스텝1 까지 다풀고 수2는시발점 나가고있는데...
-
그 남자가 남자 죽어서 슬퍼하는거 있는데 제목이 모르겠네
-
한국도 방위비 많이 뜯길듯 우크라이나도 상황 안좋아보이고
-
ㄹㅇ 이비에스 강의 다 들어봤는데 제일 좋음
-
아 피말려 1
연락 기다리다가 내가 피말려 뒤지겠네 성적 나올 때보다 몇 배는 피말리고 마음 졸인다 ㅈ같다
-
역사덕후들이 하는 게임 있는데 주변에서 아는사람(하는사람x) 딱 1명봄...
-
지금은 스카에서 하고있는데 정말 최대한 부모님한테 부담안되게 하려고 저렴한...
화자가 자신의 처지를 어케 표현했냐가 중점 아닐까요 ? 어떤 작품은 똑같은 인생이라도 야인생애가 아니라 자부심 넘치는 최고의 인생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니까요 ..! 저는 개인적으로 ’야인생애‘는 겸양이 맞지만 선지의 앞부분이 ’야인생애‘에 한정해두고 판단 했을때 틀려서 틀렸다고 생각했습니다 ..! 조심스럽게 의견 드려요 ㅜ
그리고 야인생애‘도’라는 대조의 보조사 ’도‘를 사용했기에 야인생애 자체는 겸양이 맞지 않을까요오 ..?
싸우자는 건 절대 아니고 저도 아직 시원하게 답이 안 내려져서 답글 남겨봅니다 ㅜㅜ!
네 아예 아닙니다. 님 풀이는 주관을 개입하셨습니다
보기의 정보에 따르면 야인생애 자체는 아쉬움으로 봐야합니다
편집문학 특성상 보기에 있는 정보와 지문에 있는 정보가 완전히 대응된다고 단정 지을 수 없지 않나요?
맥락에 맞는 구절에 적절히 대응시키는 것이죠.
전체 구절을 본다면 보기의 자족감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지만 분명 선지에서는 그 구절 전체가 아닌 ‘야인생애’라는 단어만을 인용했고 그러므로 이 야인생애에 한정해서는 자족감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혹시 이 부분도 다르게 생각하실까요?
자족감을 느끼긴하는데 화자 생애 전체를 자랑스럽게 느끼는건 아니죠
야인생애에 ‘한정’했기 때문은 아니고요 야인생애가 전체입니다
ㅠㅠㅠㅠㅠ 아 너무 어렵네요.. 사실 아직도 납득이 안 가는데 좀 더 생각해보겠습니다 .. 야인 뜻 찾아보니 2 관직 안 나가는 사람 3 시골에 사는 사람 이렇게 있던데 3이면 … 되지 않을까 싶어서 자꾸 맴돌게 되네요 ㅜ
그렇게 단정짓기엔 여태기출에 속세랑 은거사이에 갈등하다가 그래도 지금있는 자연이 좋아+겸손을 드러내는 경우가 꽤 있어서 작품 전체맥락을 보면 언어논리적으로 틀리다고 단정짓긴 힘든거같아요
오히려 해당 수가 보기에 제시된 성공?하지못한 회포에 해당하는 구절이니까 겸양은 아니지로 접근하는게 더 명확한느낌이에요
반대로 만약 해당 수가 맥락상 보기에나온 개인적 취미?에대한 자부심애 관한 수였으먼 겸양의 표현을 맞다처리할수 있을거고요
야인생애=관직에 나아가지 못한 회포의 마음이 녹아있는 생애라
화자의 있는 사실 그대로 드러낸 것이지 겸손을 수반하진 않았어요
물론 현장에선 저도 님처럼 풂
<보기>의 자족감은 1연을 말하는 것 같네요. 관직에 나아가지 못함 아쉬움이 있으면서도 분재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