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618996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민초 소신발언 4
그냥 있으면 먹고 없으면 마는 정도임 무조건 민초짱! 하고 챙겨 먹을 정도도 아니고...
-
생각보다 괜찮은데 다들 안좋네여..
-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2차 세계 대전과 태평양 전쟁 등에 대해 “반성과 교훈을 가슴...
-
네
-
이제는 실질적으로 점수가 나오는 공부를 해야하는데 준킬러 시간 단축용으로 서킷푸는거...
-
대게 먹으며 휴식..
-
전역 시켜줘..
-
가요 6
밥 머그러
-
서프 렛츠고 0
ㅅㅅ
-
화학물질을 이용해서 직접만드는건가 황산이랑 이것저것 넣어서
-
응응 내잘못니지
-
누구랑 누구싸움 4
나도나도
-
저딴 행보를 보이는데 어케지지함
-
24 25?
-
안녕? 2
문제를 뭐저리내누
수업시간에 학습한 내용이긴 합니다
혹시 어떤 의미에서 오류라는 건가요?
+우선
1)p와 f(p)는 상수이며, 둘다 정해져 있는 값이다.
따라서 f(a), f(b)등을 구할 수 없다.
2)f(p)=1/p를 인정하더라도, p는 확률이므로 0<=p<=1이어야 한다. f(a), (b)는 정의역을 벗어나므로 오류.
이게 제 짧은 생각입니다..
기츨 안풀어보셨나요
이런거 안풀은건 오래되긴 했죠
기출 확인해보고 올게요 예시기출 하나만 들어주실 수 있나요?
사실 (다)에 알맞은 ‘식’이라고 해서... 저런 워딩을 쓴 순간 f(p)는 그냥 원래의 p가 가지던 맥락을 잃고 f(x)=1/x처럼 f(p)=1/p라는 함수 내지 식이 되는 거라 오류라고 하긴 힘들 것 같네요
'p가 pi^2/6이라는 상수니까 (다)에 들어갈 식은 1/p 이외에도 2/p-6/pi^2 등이 가능하다’ 라고 따질 수는 있지만, 애초에 이런 유형 자체가 맥락에 맞춰서 식을 추론하는 거니까...
오히려 문제가 있는 부분을 찾는다면 첫 줄에 당당하게 쓰인 ‘임의의 (자연)수’라는 표현이 문제 아닐까요
그렇네요 따지긴 어렵겠네요 그러면
감사합니다
시험지 깔끔하다... 우리는 무슨 똥색 종이에 글씨도 흐릿하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