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은 토끼 · 1313299 · 24/06/29 17:40 · MS 2024 (수정됨)

    융기횟수 맞고
    부정합면은 실질적으로 한개여서 최소 2회입니다

  • 응애살려줘 · 1258220 · 24/06/29 17:41 · MS 2023

    감사합니다!!

  • 검은 토끼 · 1313299 · 24/06/29 17:41 · MS 2024

    참고로 맨 위에 땅 밑에 있는 경사부정합은 마지막으로 융기했을 때 생긴거라 포함 안시킨 겁니다

  • 응애살려줘 · 1258220 · 24/06/29 17:42 · MS 2023

    넵!! 이해했어요☺️

  • 닥마 · 994443 · 24/06/29 20:48 · MS 2020 (수정됨)

    융기횟수와는 다릅니다. 지층A가 풍화/침식을 받은 횟수를 보셔야해요. 지층 A는 동그라미로 확대된 부정합면 하나와, 경사부정합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각각 풍화/침식을 1회씩 받았고, 이 과정에서 육상에 노출되었을 것이므로 최소 2회라고 해야해요. 최소 융기횟수 문제와는 논리가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지층 A의 최소 융기횟수는 3회가 맞아요.

  • 응애살려줘 · 1258220 · 24/06/29 20:53 · MS 2023 (수정됨)

    제가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