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신과정 고교 수학 & 한국과의 비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523243
일본 교육과정은 2025학년도 입시부터 적용되는 신과정(2022년 신입생 적용), 한국 교육과정은 2028학년도 입시부터 적용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2025년 신입생 적용)으로 함.
수학 I (1학년 1학기, 문이과 공통)
I. 수와 식
-1. 식의 계산
--다항식과 단항식, 다항식의 사칙연산, 지수법칙과 곱셈 공식 (중2 '식의 계산' 단원~공통수학1 '다항식' 단원)
--인수분해 (공통수학1 '다항식' 단원)
--대칭식과 교대식
-2. 실수
--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 (중2 '유리수와 순환소수' 단원)
--실수,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중3 '제곱근과 실수' 단원)
--대칭식, 이중근호
-3. 일차부등식
--부등식과 그 성질, 일차부등식 (중2 '일차부등식' 단원)
--연립부등식, 절댓값을 포함한 부등식 (공통수학1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
II. 집합과 명제 (공통수학2 '집합과 명제' 단원)
-집합, 드 모르간 법칙
-명제와 조건, '모든'과 '어떤', 역・이・대우
-명제와 증명: 대우를 이용한 증명법, 귀류법
III. 이차함수
-1. 이차함수와 그래프
--이차함수의 일반형,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평행이동과 대칭이동 (중3 '이차함수와 그 그래프' 단원)
-2. 이차함수의 값의 변화
--이차함수의 최대・최소, 이차함수의 결정, (연립삼원일차방정식) (공통수학1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
-3. 이차방정식과 이차부등식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이차방정식의 관계, 판별식, 근의 분리, 이차부등식, 연립이차부등식 (공통수학1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
IV. 도형과 계량
-1. 삼각비
--삼각비, 삼각비의 상호관계, 삼각비의 확장 (중3 '삼각비' 단원)
-2. 삼각비의 응용
--사인법칙, 코사인법칙, 삼각형의 넓이, 공간도형의 부피 (대수 '삼각함수' 단원)
V. 데이터의 분석
-분산과 표준편차, 데이터의 상관관계, 이상치 (중3 '산포도' 단원)
-가설검정 (실용 통계 '자료의 분석' 단원)
수학 A (1학년 2학기, 문이과 공통)
I. 경우의 수와 확률
-1. 경우의 수
--집합의 원소와 개수 (공통수학2 '집합과 명제' 단원)
--경우의 수, 순열, 조합 (공통수학1 '경우의 수' 단원)
--중복순열, 중복조합 (확률과 통계 '경우의 수' 단원)
--원순열 (이산 수학 '선택과 배열' 단원)
-2. 확률
--사건과 확률, 확률의 기본 성질, 배반사건과 여사건, 독립시행과 반복시행, 조건부확률과 확률의 곱셈정리, (베이즈 정리) (확률과 통계 '확률' 단원)
--기댓값 (확률과 통계 '통계' 단원)
II. 도형의 성질
-1. 삼각형의 성질
--삼각형과 선분의 비, 삼각형의 내심・외심・무게중심 (중2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단원)
--삼각형의 수심・방심
--메넬라우스 정리, 체바의 정리 (고급 기하 '작도와 평면기하' 단원)
-2. 원의 성질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 접현각, 방멱 정리, 두 원의 위치관계 (일부 중3 '원의 성질' 단원)
-3. 작도 (고급 기하 '작도와 평면기하' 단원)
-4. 공간도형
--공간에서의 직선과 평면, 직선과 평면의 수직, 삼수선 정리, 이면각 (기하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단원)
--다면체(오일러 다면체 정리)
III. 수학과 인간의 활동
-약수와 배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중1 '소인수분해' 단원)
-유클리드 호제법, 부정방정식, 기수법, 합동식
-이진법 (이산 수학 '수의 표현과 부울 대수' 단원)
-공간좌표 (기하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단원)
수학 II (2학년 1학기, 문이과 공통)
I. 식과 증명
-1. 식의 계산
--삼차식의 전개와 인수분해, 항등식의 성질 (공통수학1 '다항식' 단원)
--이항정리 (확률과 통계 '경우의 수' 단원)
--분수식과 그 계산
-2. 복소수와 방정식
-복소수, 이차방정식의 해의 확장, 고차방정식 (공통수학1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
-나머지정리와 인수정리, 조립제법 (공통수학1 '다항식' 단원)
-3. 식과 증명
-등식, 부등식의 증명: 산술평균과 기하평균과 조화평균, 부분분수분해, 삼각부등식 (공통수학2 '집합과 명제' 단원)
II. 도형과 방정식
-1. 점과 직선
--두 점 사이의 거리, 직선의 방정식, 내분점과 외분점, 두 직선의 위치관계, 두 직선의 교점을 지나는 직선 (공통수학2 '도형의 방정식' 단원)
-2. 원
--원의 방정식, 원과 직선, 두 원의 교점을 지나는 도형 (공통수학2 '도형의 방정식' 단원)
-3. 자취와 영역
--자취의 방정식
--부등식의 영역 (경제 수학 '함수와 경제' 단원)
III. 삼각함수
-1. 삼각함수
--일반각과 호도법, 삼각함수(성질, 그래프, 응용) (대수 '삼각함수' 단원)
-2. 덧셈정리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미적분 II '미분법' 단원)
--합과 곱의 공식, 배각 공식과 반각 공식, 삼각함수의 합성
IV.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 지수함수
--지수의 확장, 지수함수(와 그래프) (대수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단원)
-2. 로그함수
--로그와 그 성질, 로그함수(와 그래프), 상용로그 (대수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단원)
V. 미분법과 적분법
-1. 미분계수와 도함수
--평균변화율과 미분계수, 도함수, 접선의 방정식 (미적분 I '미분' 단원)
-2. 함숫값의 변화
--함수의 증감과 극대・극소, 함수의 최대・최소,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응용 (미적분 I '미분' 단원)
-3. 적분법
--부정적분, 정적분, 넓이 (미적분 I '적분' 단원)
수학 B (2학년 2학기, 문이과 공통)
I. 수열
-1.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수열과 일반항,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합 (대수 '수열' 단원)
--복리계산 (경제 수학 '수와 경제' 단원)
-2. 다양한 수열
--시그마 (대수 '수열' 단원)
--계차수열, 다양한 수열의 합(군수열)
-3. 점화식과 수학적 귀납법
--점화식, 확률과 점화식, 도형과 점화식, 인접 2항간 점화식, 인접 3항간 점화식 (이산 수학 '점화 관계와 알고리즘' 단원)
--수학적 귀납법 (대수 '수열' 단원)
II. 통계적 추정
-1. 확률분포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확률변수의 기댓값과 분산・표준편차, 확률변수의 합과 곱, 이항분포, 연속확률변수, 정규분포 (확률과 통계 '통계' 단원)
-2. 통계적 추정
--모집단과 표본, 표본평균의 분포, 모평균과 모비율의 추정 (확률과 통계 '통계' 단원)
--정규분포를 이용한 가설검정 (실용 통계 '자료의 분석' 단원)
III. 수학과 사회생활
-이익의 예측, 의석 배분 방법, 편차치, 3σ법, 시계열 데이터와 이동평균, 회귀분석, 최소제곱법, 로그 스케일 등
수학 III (3학년 1학기, 이과)
I. 함수와 극한
-1. 함수
--분수함수, 무리함수, 합성함수와 역함수 (공통수학2 '함수와 그래프' 단원)
-2. 수열의 극한
--수열의 극한, 무한등비수열, 급수 (미적분 II '수열의 극한' 단원)
-3. 함수의 극한
--함수의 극한, 함수의 연속 (미적분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단원)
--삼각함수의 극한 (미적분 II '미분법' 단원)
II. 미분법
-1. 도함수
--미분계수와 도함수, 곱・몫의 미분법, 합성함수의 미분법 (미적분 II '미분법' 단원)
-2. 다양한 함수의 도함수
--삼각함수의 도함수, 자연로그의 밑 e,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도함수, 매개변수와 도함수, 역함수와 도함수, 음함수와 도함수, 고계도함수 (미적분 II '미분법' 단원)
-3. 미분법의 응용
--접선의 방정식, 평균값 정리, 극대・극소와 최대・최소, 함수의 그래프,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응용 (미적분 II '미분법' 단원)
--속도와 가속도 (미적분 I '미분' 단원~미적분 II '미분법' 단원)
--근사식(일차근사와 이차근사)
III. 적분법
-1. 부정적분
--부정적분과 그 성질, 치환적분법, 부분적분법, 다양한 함수의 부정적분 (미적분 II '적분법' 단원)
-2. 정적분
--정적분과 그 성질, 적분으로 나타내어진 함수, 구분구적법, 정적분과 부등식 (미적분 II '적분법' 단원)
-3. 정적분의 응용
--넓이, 부피, 곡선의 길이, 속도와 거리 (미적분 II '적분법' 단원)
--(미분방정식) (고급 미적분 '미분방정식' 단원)
수학 C (3학년 2학기, 이과)
I. 벡터
-1. 평면벡터
--벡터의 의미, 벡터의 연산, 벡터의 성분, 내적, 벡터와 삼각형의 넓이 (기하 '벡터' 단원)
-2. 벡터의 응용
--위치벡터, 벡터와 도형, 벡터방정식 (기하 '벡터' 단원)
-3. 공간벡터
--공간좌표 (기하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단원)
--공간벡터, 벡터의 내적, 위치벡터와 공간도형, 직선・평면의 방정식 (기하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단원)
II. 평면 위의 곡선과 복소평면
-1. 평면 위의 곡선
--이차곡선: 포물선, 타원, 쌍곡선, 이차곡선의 평행이동, 이차곡선과 직선의 위치관계, 자취와 영역, 이심률 (기하 '이차곡선' 단원)
--매개변수 표시와 극좌표: 곡선의 매개변수 표시, 극좌표, 극방정식, 다양한 곡선(사이클로이드 등) (고급 기하 '곡선의 성질' 단원~고급 미적분 '극좌표와 극곡선' 단원)
-2. 복소평면
--복소평면, 복소수의 극형식, 드 무아브르 정리, 복소수와 도형
III. 수학적 표현의 연구
-1. 그래프와 행렬
--한붓그리기, 그래프, 경로, 인접행렬 (이산 수학 '그래프' 단원)
--행렬: 행렬의 표현, 행렬의 합・차・실수배 및 곱셈 (공통수학1 '행렬' 단원)
--역행렬 (고급 대수 '행렬과 선형변환' 단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쎈 풀다가 좀 쉽게 느껴져서 어삼쉬사 풀고 있는데 한세트당 보통 얼마 걸리나요??...
-
물론 영국이 나이 어리다고 말 바로 끊고 지 말 시작하기
-
뭐잇나요? 빈칸채우기랑 실생활 활용같은 문제 풀어야하나요?
-
맞죠?
-
비문학 한 번 풀어보셈
-
1. 자기가 정상적으로 국회 출입시도해서 의미있는 기록들 나옴 2. 이미 표결...
-
걍 4명 다 상대 네거티브하는 토론으로 이해했나본데
-
ㅋㅋㅋㅋㅋㅋ 토론내용은 걍 유튜브 댓글창됐네
-
수능때 3
이어폰 착용이랑 플레이리스트 1개 지참(자율) 허용되면 수학 등급컷 개같이 오를듯
-
"여성을 우롱하는 행위와 다를 바 없어"
-
이거보고도 이재명뽑으면 공범이다
-
뭘까 과연
-
ㅋㅋ
-
무슨 페미니스트임
-
집가면서 봐야지
-
저건 좀 ㅋㅋㅋㅋ
-
와우 저번보다 더 심한데...?
-
A가 B 비판 - B는 대충 얼버무리고 딴소리 후 A 비판 - 무한 반복
-
나라꼬라지 그저 암담하기만 하다
-
한완수는 상중하 다 포함!
-
시드 조금 더 넣었어도 아쉽다 아쉬워
-
노친네 3명이서 뭐하는거지
-
ㄹㅇ로
-
들어야할까여? 고1때 4둥급였움
-
아니 왜 3문제 연속으로 정답이 내가 쓴답+1인건데ㅋㅋㅋ
-
1,2번 알아서 멸망하노ㅋㅋ
-
버리는거없이 가계도랑 비분리까지 싹다돌리는게 맞죠..?
-
ㅅㅂ 주어진 질문에 답을 안하고 딴소리하고 있노 양쪽다
-
이건 좀...
-
확통 첫 n제로 풀만한거 뭐 있나요 2개 추천 좀 기출 소스 꽤 있는거로요 3
고른 N제랑 교사 문제들 이 2개로 수능까지 갈 듯요
-
나올게 나와버렸네
-
기분 탓인가
-
ㅈㄱㄴ
-
아 20번 주체 아웃 선지를 내버리네 ㅋㅋㅋ 국어인 줄 마킬라도라 있길래 바로...
-
이 사실을 모두에게 알리고 싶음
-
난 이제 작품 60퍼 1회독했어...
-
포인트 좀 모여서 이거쓰고 사려는데
-
하니-킁
-
차단해야겠다 15
-
뭐만 하면 윤석열 윤석열 다 갖다붙이노
-
에엥..
-
이건 뭐노 2
대선토론은 역시 강평ㅋㅋ
-
'오로지 사람 사는 세상을 원했던 그분'
-
난근데국어밑줄안침 11
정신사나움
-
장난전화 0
연애개입 코인한탕 동성연애
-
차단 9
한 등불이 하나 비인 하늘에 걸려 있다.
-
지금 중계중
-
4->1 1
고1 3모 국어 4 6모 3 9모 2 11모 1 수능 백분위 98 1
-
늦은 5덮 후기 2
국어 91 여태까지 풀어본 사설 중에 난이도 제일 낮았을지도? 수학 84 미적 28...
개많네

신기하네요 ㅎㄷㄷ헤에에
대 갓 본

수상, 수하 + 수1 + 수2 + 미기확 + 고급수학1 일부분사실 예전 07개정 교과였으면 저정도 되었다는... 수1수2적통기벡...
저게 맞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