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가형에서 최상위권을 가르는 것은 '기하'였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411087
학원 강사인 지인 말로는(12학번),
당시 이과에서 건동홍 포함 그 이하를 갈 학생들은 아예 기하와벡터 2문제 정도는 제끼고 시작하는게 낫다라는 말이 돌 정도였다고 합니다. 수학 3등급을 맞아도 국어 영어 과탐 평균이 2.5등급 정도만 되어도 건동홍 이하 공대는 수월히 갈 정도였던걸로 기억하니..
당시에 서울대 공대 상위권학과(당시에는 인설의와 비슷한 입결) 간 학생들도 제일 까다롭게 여기는 것이 미적분이 아니라 기하 쪽이었지요.
지금은 미적분이 가장 표본수준이 평균적으로 우수하지만,
그게 곧 과목이 어렵다는 것을 담보하는 것은 아닙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ㅂㄱ 3
아웅 피곤해
-
그나마 고려대상중에 제일 낮았으니까 분석실력이 오른건가 아님걍얻어걸린건가 음음
-
후쿠오카 오사카 다카마쓰전부 왕복 15안에끊기네 이게뭐지
-
본인 수능 국어 처음 공부를 이원준으로 함 가능하긴 한데 최소 높3끼지는 올리고...
-
얼버기 3
-
처음에는 반수 적극 지지해주시다가 요즘에는 대학 차이 별로 없다고 계속 말씀하시는데...
-
나만 미워해.. 하
-
분명 내가 듣던 노래는 멜로디가 있던 음악인데 수능장 종소리는 그냥 삐- 이거여서…
-
이 좆버러지같은거 3번이상은 못해
-
성능좋네
-
아
-
전과목 터실분 구합니다. 문제 오류, 베끼기 등
당시 공간벡터는 공포 그 자체였죠
기하만 몇개월공부해야
09가형 출신인데, 그당시에는 현재 선택미적분이 5문제 선택과목이었고 4점도 2문제에다가 그냥 쉬웠어요. 당시에 변별력 가르는 파트가 크게 2가지였는데, 하나가 확률(당시 수1)이었고 나머지 하나가 공도(당시 수2)였습니다.
최고난도문제 30번 미적분은 버려도 가형1 나오고 만점방지 킬러라 그냥 틀려도 의대 갈수잇어서
진짜 1등급을 가르는 가형수학의 꽃은 기벡의 공도벡29번이었다라고 하더라고요
그땐 3등급이80-84컷이라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