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문학 자작 문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379666
국어 자작 고전시가.pdf
22예시문항 개규칙 문제 모티브로 만든 고전시가 문제인데
생각보다 쉽지 않게 만들어보려 노력해봤습니다
보완해야 할 점들이나 어떤지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안녕히,
-
6평보고 싸하면 사문 한지 lets go
-
상식퀴즈 5
어쨋든 상식퀴즈
-
탈출가능...맞팔 할사람....
-
똥테 가기 싫어 7
못생겼음
-
새벽 맞팔9 5
똥테 탈출하기
-
나도 갓생살아서 하루 2끼먹고싶다
-
나도 써줭 11
-
맞팔구 10
라고 올리면 된다는데 이거맞나요!!
-
이미지 써주세요 12
-
음료 두캔으로 두통비스무리한게..
-
이미지 써주세요 36
-
다들그러지않나
-
학생증 있어야 인증 되는데 일단 앱은 깔았고 걍 기다리면 뜨는 거??
-
나만이런가 자라는뜻이겠지
-
하고 싶은데 어디 없나?
-
진짜네 1
-
푸드존 분리도 없는데 라면에 삼김인지 뭔지까지 야무지게 드시네... 이건 가서 한입...
-
나도질문해줘라 7
물론 나를 아는 사람은 잘 없갯지만..
-
목표는 jvke - golden hour 완벽히 치는 것
-
재수때 독학기숙으로 가서 모든 과목을 현역때보다 올렸음 (1등급은 유지) 그래서...
-
정원 26명과에서 9명돌고 이제 2까지 왔는데 가능할까요..?
-
너무 긴장된다
-
하……
-
그렇습니다
-
이미지좀 써주셈 58
싫음말고
-
똥테 탈출을 위한 26
맞팔구
-
질받질받질받 9
-
레어는 3
검색같은거 못하나요
-
그것이 문제로다
-
D-267 0
국어 문학 1지문 비문학 1지문 요즘 나름 정답률이 높다 생각했지만 그저...
-
뉴비를 도와주새요! 15
입시 끝 커뮤 시작
-
이거 과톡 8
초대해달라고 말해야하나;;
-
1시간 2
ㅡ
-
모르겠네 뭔가 나대는 것 같고 그럼
-
ㅈㄴ 재밌네 ㅋㅋㅋ 어떤 반전이 나올까
-
내년 입시는 너무 혼란스럽겠다
-
강한 육군 좋은 육군 유꾼 유꾼 유꾼 워~ 리 어 플랫~ 폼
-
만점자가 한둘이었던 것도 아니었으니까 한명쯤은 있지 않았을까 싶어서
-
흐흐 기대된다
-
ㅅㅂ 어케 된거지 ㅠㅠ
-
고3 수면시간 4
고3 되고나서 공부 좀 열심히 해보겠다고 노래를 아예 끊었는데 한 3-4주차 쯤...
-
프사까지 달면 뭔가 진짜 옯.창. 같아서 안 달고 있음
-
새삼스레 미안해지네 아 소고기 땡긴다
-
달을 찍어보았다 3
흐흐흐
-
국어 자체를 접해본 적이 거의없고 어색해서 글 읽기도 힘든 상탠데 (고1,2때는...
-
저녁에 동근이 숯불 두마리 치킨 먹을거임 Bhc 굽네 60계 프라닭 로테이션...
3 3 2 4
20번만 틀리셨습니다, 혹시 문제 푸시면서 느낌 어떠셨나요?
지문 퀄리티는 높았고, 문제도 대체로 괜찮았지만 일부 표현이 중의적인 면이 있는 것 같아요. 가령 첫 문제 1번 선지에 ‘실감나게’가 적절한 표현인지 의구심이 드네요!
피드백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20번 정답은 5번이었습니다, 제도적으로 양반이 개선하고자 하는 모습이 드러나지 않고, 유교적 가르침에 따르자는 것만 나오기 때문입니다
18 21 답이 왜 답인지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제 사물함 맨 아래까지 내려와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우선 18번의 정답이 3번인 이유는 초장과 중장에서는 제3의 시적 화자가 서술하지만, 종장의 경우는 '두터비'가 하는 진술이므로 시적 화자가 모두 동일하지 않아서 적절하지 않은 진술이 됩니다.
다음으로, 21번의 정답이 4번인 이유는 (가)의 함정에 있습니다. 일단 (나)에서 '파리'는 탐관오리를 표상하는 '두터비'에 의해 괴롭힘당했던 당시 조선 백성들을 상징하여 이를 통하여 조선 백성들의 애환을 드러내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가)에서 '고양이로 인하여 죽는 쥐'라는 구절을 보고 필자가 고양이를 비판하고자 하는 대상에 비유했다고 오해를 할 경우 속게 됩니다. (가) 아래의 설명에 의거하면 필자는 당시 자신의 남루한 옷차림을 보고 요청을 거부한 지역 유지들을 비판하고자 이 시를 썼고, 비판하고자 하는 대상에 '진사', '첨지', '석사', '생원' 등의 한자어를 썼다고 나와있습니다. 이를 통해 '쥐'는 비판하고자 하는 대상, '파리'는 비판하고자 하는 대상에게 당하는 대상이므로 두 대상은 동일한 층위에 놓여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21번의 4번 선지는 적절하지 않은 진술입니다.
답변에 대해 추가적인 의문이 생길 경우, 언제든지 질문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