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출 다 풀었는데 이제 뭐 해야 하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076341
슬슬 5월의 절반이 지나가니까 여기저기서 질문이 들어오네요.
그 중 가장 많이 들리는 질문은 기출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하냐 라서 이야기 해봅니다.
일단 저는 강성 기출 지지자로 수능 전날까지도 기출을 잡고 있어야 한다고 보는 사람입니다.
또한 다른 과목에도 적용이 되긴 하겠지만, 화학1에 맞춰져 있는 내용이라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0. 기출을 다 풀었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당연히 기출을 다 풀었다면, 평가원 기출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기출은 이미 풀이가 다 외워져버렸는걸요"
"문제를 보면 풀이가 떠올라서 공부가 안돼요"
기출을 풀다보면 문제가 기억에 남게 되고, 풀이가 외워지게 됩니다.
이게 학생들로 하여금 기출이 아닌 N제, 실모, 사설 컨텐츠로 넘어가게 만드는 요인이죠.
어차피 기억나는 풀이 그대로 풀면 단순 계산 노가다일 뿐이니까요.
그래서 단순히 문제를 풀고 채점을 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런식의 문제 풀이는 새로운 컨텐츠, 문제를 푼다 하더라도 큰 의미가 없죠
단순 문제 풀이는 감각적인 직관만을 늘려줄 뿐입니다.
주기적 성질에서 왠지 이 원소가 있을 것 같고
양적관계에서는 한계반응물이 A일 것만 같고
중화반응에서 혼합 용액의 액성이 산성일 것만 같은
그런데 그 감각적인 직관이 수능장에서도 먹힐까요?
먹히면 대학 가는거고,
안먹히면 커뮤 망령이 되어 6 9 1등급이 수능날 4등급이 나오는 과목이라며 한탄하고 다니는거죠.
1. 기출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
이상적으로 말했을 때, 모든 풀이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물론 이건 이상적인 이야기고, 현실적으로는 모든 문제에서 근거를 찾을수는 없겠죠.
하지만 공부는 이상적인 풀이를 목표로 해야 합니다.
어느정도 공부를 하는 학생들은 지금쯤 기출을 다 풀었을거고, 다 풀줄 알겁니다.
(근데 막상 풀어보라 하면 못푸는 애들이 많음)
아무튼 정석 풀이를 할 줄 아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6평까지 이 두가지를 해줘야 합니다.
1. 새로운 풀이법 익히기
2. 풀이에 대한 근거 찾기
이번 5월 모의고사의 한 문제를 예시로 들어보자면
정석적으로 풀자면
질량당 분자수가 3 : 4, 부피가 1:2 => 질량은 2:3 or 3 : 8 -> 2 : 3
그러면 60 : 46x + 44(2-x) = 2 : 3, x = 1
로 풀 수 있겠죠.
다른 풀이를 보자면
1g당 분자수를 뒤집으면 분자당 질량, 즉 밀도 혹은 분자량으로 볼 수 있고
이게 4 : 3이란 말은 60 : 80 or 60 : 45 -> (나)의 평균 분자량은 45 -> 1 : 1
로 볼 수 있죠.
여기서 다른 풀이를 본 사람들은 꽤나 많을겁니다.
이제 저렇게 풀 수 있는 근거를 찾아봅시다.
문제에서 주어진 것은 분자량에 관한 정보이며
부피는 마지막 계산에서나 쓰이는 자료입니다.
그리고 분자수/질량 에 대한 정보가 나와있죠.
그렇기 때문에 분자량과 분자수/질량 사이의 관계를 봐줘야 하고
이는 역수 관계임을 알 수 있죠.
즉 둘 다 같은 정보를 NO2와 N2O의 평균 분자량이 주어져있고,
NO2와 N2O의 분자량을 알기 때문에 비율을 알 수 있다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 근거를 보다 보니 새로운 풀이가 떠오르지 않나요?
역수 관계다 라는 것은 곱하면 일정한 값이 나온다는 뜻이죠.
60 * ㄱ = (나)의 평균 분자량 * ㄴ 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1. 내 풀이를 점검하고
2. 새로운 풀이를 찾아보고
3. 새로운 풀이에 대한 근거를 찾는 것
이게 기출을 공부한다는 것이며 필수적으로 해줘야 할 작업입니다.
2. 기출을 공부한 후에는?
마찬가지로 여전히 기출을 봐야 합니다.
아니 기출을 벌써 두 번 이상을 봤는데 또 기출이냐
네 기출입니다.
위에서 우리가 찾은 근거와 풀이를 다른 문제에 적용시킬 수 있어야 하니까요.
위에서 우리가 찾은 근거와 풀이가 해당 문제에서만, 해당 조건에서만 사용되는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이 되어야 하니까요.
비슷한 조건이 나온 기출에 동일하게 적용시켜보세요.
잘 풀리는 경우가 있을거고, 오히려 돌아가는 경우도 있을겁니다.
내분을 예시로 들면
내분이
1. 분수꼴 자료에서
2. 분모의 역수비로
라고 했습니다.
즉 분수꼴 자료와 그 분모 값을 알면 내분을 언제든 쓸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이 내분을 쓰면 언제나 풀이가 깔끔할까요?
오히려 돌아가는 경우가 많이 있죠.
ex 231120
내분을 쓰기 쉬우면서, 내분을 쓰는게 도움이 안되는 대표적인 기출
이런식으로 다른 기출에 적용하다보면
1. 언제 적용할 수 있는지
2. 언제 도움이 되는지
에 대해서 익힐 수 있습니다.
요약
1. 기출 풀었으면 기출 다시 풀고 근거 찾기
2. 기출 다시 풀면서 근거 찾았으면 기출 다시 풀면서 적용시키기
3. 어느정도 근거와 풀이가 자리 잡았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ㄱㄱ
-
소문의 벽 노래와 이야기 사막을 건너는 법 etc..
-
댓단자중 아이민 뒤 네자리가 가장 작은사람한테 입금함 ex) 579983,...
-
근데 나 말고도 남자가 많음..
-
캡챠해서 댓다셈...
-
안하겠다는거 맞아요
-
화학과는 어떤 느낌일까 10
궁금쓰
-
좀 빡세니까 4시까지
-
아..
-
다시 좀 건실하게 살아야하는데..
-
다리떨고 기침하고 책 세게 넘기고 냄새나고 민폐 끼치는 것들은 거의 다 남자였어
-
기다리는중
-
세탁기 썩었는데 4
전세입자가 혼자 사는 남자였는데 이사온 날 옵션 세탁기 열어보니까 입구에 곰팡이...
-
굳
-
올해 수능 또 볼거야 아내 몰래 주문한 카시오 수능 시계 시간을 달려서 11월 될수만 있다면
-
오르비에서 지들이 저능아라는 사람 볼때마다 얼탱이없음 6
그냥 장난식으로 하는 게 아니라 진지하게 그렇게 생각하는거같은경우 중경외시 이상...
-
열차에 탑승하세요
-
이제슬슬자야지 0
얼리버드슬리핑
-
자러감
-
기아 체험 썰 6
초등학교 1학년 때 토요일 강당에서 하루종일 기아 체험이라는 걸 해본 적 있었어요...
-
얼굴에 접착제로 vr 붙여두고 혈관에 링겔 몬스터에너지드링크 꼽아둘거ㅇㅇ 링겔 수액...
-
ㅇㅈ메타임? 3
밤샐게
-
담배피지말걸 1
걍 ㅈㄴ 인생이 이 조까튼 좃만한 막대기에 묶인 느낌
-
뭐해야하지
-
오늘 새르비 1
왜케뜨거움
-
기숙사 학교였는데 야자 끝나고 남사친이랑 남사친의 여사친이랑 같이 담 넘어서 편의점...
-
내가저지른삼수) 4
삼수 수능 전날... “나 올해 수능 보러 갈거니까 그렇게 아소“ 뺨 시원하게 한대...
-
근데 ㅈㄴ 억울했던게 크게 잘못한것도 없는데 맞았다는거임 분명 신발이라고 얘기했는데...
-
나보다 훨 잘난사람은 걍 존경스럽고 아득바득 사회성 발휘해서 인맥으로 만드는데...
-
메타 바꾸자 17
울 집 냥이를 희생하며..
-
어릴 때 아빠 낮잠 자는게 미워서 안방 문 레고로 잠군 적 있어요 아빠가 바로...
-
아직도 내 엉덩이가 그 맛을 기억함
-
우산 단소 소금(악기) 신발주걱으로 맞아봤으면 7ㅐ추 0
악기로 맞을 때가 ㄹㅇ 지리더라고요 카타르시스가 느껴짐
-
내일 저녁 메뉴로 해야겠어요
-
영어 프린트물 만들어서 막 주간지처럼 뿌릴거에요 어릴 때 한 게 미드 시청밖에...
-
좋아하는 사람이 0
객관적으로 ㅂㄹ 안잘생기고 내 취향으로 생겨서 좋은이유는 여자걱정이 없음ㅋㅋㅋ안전해서 마음편함
-
걍 이때 시립대 떨어지고 홍대 갔어야했는데 씨발 하
-
ㅇㅈ 메타 ㄱㄱ 0
응징이라는 뜻
-
감이안잡힘
-
마인드 스톤 개방.. 타임 스톤 개방.. 전 다 보입니다 여러분
-
얼마나 오랜 시간이 들어갈지 감도 안잡힘 일단 문제 분석부터 하고잇는데 다담주까진...
-
위스키 마싰음 2
-
ㅈ같음
-
그립습니다 6
다들 요즘 들어 누가 가장 그립나요
-
오르비 첨할때는 4
게시글 잘못 올렸다가 혼날까봐 글쓰는것도 무서웠는데
-
진짜 한 2주동안 존나 피곤하고 힘 없었어서 몸이 예전같지 않다는걸 빡 느낌...
-
돈 들어오는 족족 쓰니까 텅장됐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