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글] 이원준 학파 어서 모이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008679
안녕하세요, 김미한입니다.
원래 이 글의 제목은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입니다.
생각해보면 제가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에 대해 고민하던 시기는 이원준 선생님의 강의를 들을 때였습니다.
마찬가지로 과거의 저와 비슷한 고민을 하시는 분들 중에 이원준 학파가 많을 것 같아서 글의 제목을 이렇게 달아 봤습니다.
글의 원래 제목에서 추론할 수 있듯이 이 글의 주제는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을 심화해서 다뤄보자'입니다.
'심화'라고 해서 어려운 느낌이 있는데, 실제로 이해하기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은 반응이 다소 소소할 것으로 예상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글을 소화해 내신다면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고, 평가원 기출에도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이 직·간접적으로 출제된 만큼 앞으로 다가올 6평, 9평 수능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여러분은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을 어디서 들어보셨나요?
충분조건과 필요조건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개념은 조건문입니다.
P→Q라는 조건문에서 P는 Q를 성립시키는 충분조건이고, Q는 P가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입니다.
'내가 오메가-3를 먹으면 혈행 개선이된다'라는 조건문에서 '내가 오메가-3를 먹음'은 '혈행 개선'을 성립시키는 충분조건이고, '혈행 개선'은 '내가 오메가-3를 먹음'이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입니다.
근데 여기서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의 의미가 정확히 이해되시나요?
‘내가 카페 모카를 마신다면 나는 오줌을 싼다.’
내가 카페 모카를 마시는 것은 내가 오줌을 싸는 것을 성립시키는 충분조건입니다.
하지만 내가 카페 모카를 마시는 것은 내가 오줌을 싸는 것이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은 아닙니다.
만약 내가 모카를 마시는 것이 내가 오줌을 싸는 것이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면 내가 카페 모카를 마시지 않으면 나는 오줌을 싸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나는 카페 모카를 마시지 않아도 오줌을 쌀 수 있습니다.
내가 포카리 스웨트를 마셔도, 라떼를 마셔도, 수분이 들어간 음식을 먹어도 오줌을 쌀 수 있습니다.
내가 오줌을 싸는 것을 성립시키는 충분조건은 여러 가지입니다.
이처럼 P가 Q를 성립시키는 충분조건이라고 해서 반드시 하나뿐인 충분조건인 것은 아니며, 또한 저절로 필요조건이 되는 것도 아닙니다.
‘내가 수분을 섭취해야 나는 살아갈 수 있다.’
내가 수분을 섭취하는 것은 내가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입니다.
하지만 내가 수분을 섭취하는 것은 내가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성립시키는 충분조건은 아닙니다.
만약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내가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성립시키는 충분조건 중 하나라면 내가 수분을 섭취하는 것만으로 살아갈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수분을 섭취하는 것 외에도 여러 조건들이 필요합니다.
내가 살아가기 위해 마실 공기가 있어야 하고, 섭취할 영양분도 있어야 하며, 자외선을 차단해줄 오존층도 있어야 합니다.
이처럼 P가 Q가 참이 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 해서 반드시 하나뿐인 필요조건인 것은 아니며, 또한 저절로 충분조건이 되는 것도 아닙니다.
여기까지 읽었는데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이 도대체 뭔지는 알 것 같은데 확실하게 잡히지 않는 듯한 느낌이 드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다 직관적 이해를 위해 추가적인 설명을 드리려 합니다.
‘폭우(C)는 홍수(E)의 원인이다.’
해당 인과관계를 톺아보며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을 이해해 볼 것입니다.
인천 시내에 폭우가 발생(C)했다고 해봅시다.
기상청은 비가 얼마만큼 내릴 것이라고 예보를 합니다.
그에 따라 관련 부처에서 댐을 열어 물을 적절히 방류하여 홍수에 대비합니다.
즉 인천 시내에 폭우가 발생했지만 기상청이 폭우를 예보하여 댐을 적절히 방류했다면 홍수가 발생하지 않을 거라는 것이죠.
만약 인천 시내에 폭우가 내려 홍수가 발생했다면 기상청의 예보 실패(A), 댐 방류랑 조절 실패(B)가 있었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이걸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습니다.
(C∧A∧B)→E (이때, ∧는 AND를 의미합니다.)
이때 폭우(C)는 충분조건으로서의 원인일까요, 필요조건으로서의 원인일까요?
당연히 필요조건으로서의 원인입니다.
폭우가 발생(C)하지 않는다면 홍수도 발생(E)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폭우가 발생(C)한 것만으로는 홍수는 발생(E)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때, 폭우(C)를 기상청의 예보 실패(A), 댐 방류량 조절 실패(B)로 바꾸어도 상관 없습니다.
즉 C, A, B는 각각 E가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인 것이죠.
그렇다면 E의 충분조건은 무엇일까요?
C와 A와 B를 모두 AND로 이은 (C∧A∧B), 즉 폭우가 발생하고, 기상청의 예보가 실패하고, 댐 방류량 조절을 실패하는 경우가 바로 홍수를 발생시키는 충분조건입니다.
그런데 충분조건을 이것만 생각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쓰나미가 발생(D)하거나 극악의 확률이지만 강에 혜성이 충돌(F)한다면 홍수가 발생(E)할 수 있습니다.
쓰나미(D)는 당연히 충분조건으로서의 원인입니다.
쓰가미가 발생(D)한 것만으로 홍수가 발생(E)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쓰나미가 발생(D)하지 않더라도 홍수가 발생(E)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 쓰나미(D)를 강에 혜성 충돌(F)로 바꾸어도 상관 없습니다.
이걸 다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습니다.
(C∧A∧B)∨D∨F→E (이때, ∨는 OR를 의미합니다.)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의 직관적 이해를 원한다면 상기의 표기를 기억하시길 권장합니다.
여기서 D, F를 제외한다면 C, A, B는 각각 E가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이고, (C∧A∧B), D, F는 E를 성립시키는 충분조건입니다.
여기까지가 본론이고, 평가원 기출에 직접적으로 출제된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을 소개하며 이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이때, 거시 건전성 정책은 미시 건전성이 거시 건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충분조건이 되지 못한다는 ‘구성의 오류’에 논리적 기반을 두고 있다. (2020학년도 6월 모평 발췌)
이때 미시 건전성이 거시 건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충분조건이 되지 못한다는 진술은 미시 건전성이 거시 건전성의 필요조건일 수 있다, 즉 거시 건전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미시 건전성 외에도 다른 것들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귀납 추론하여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콰인은 가설만 가지고서 예측을 논리적으로 도출할 수 없다고 본다. (2017학년도 수능 발췌)
이때 가설만으로 예측을 논리적으로 도출할 수 없다는 진술은 예측을 논리적으로 도출하기 위해서는 가설 외에도 다른 것들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귀납 추론하여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민간이 사후적인 결과만으로는 중앙은행이 준칙을 지키려 했는지 판단하기 어렵고, 중앙은행에 준칙을 지킬 것을 강제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2018학년도 6월 모평)
이때 민간이 사후적인 결과만으로는 중앙은행이 준칙을 지키려 했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진술은 민간이 중앙은행이 준칙을 지키려 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사후적인 결과 외에도 다른 것들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귀납 추론하여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팔로우' 눌러주세요!
p.s 『독해분석』이 조만간 전자책으로 출판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외대 예비 전추 0
예비 9인데…됐으면 좋겠는데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뒤져 줘도안가 (주면감 제발저요)
-
경한 미적사탐 0
정시 백분위가 어느 정도여야 붙어요?
-
부산대 경북대 0
부산대 어문 경북대 경통 오디가 더 나아요? 진로는 아직 안 정했어요
-
반수생이라서 7월 초에 입소해서 수능때 까지 공부했습니다. 각 과목 질답 선생님...
-
몇회독 하셨나요 그리고 회독할때마다 얻은게 있나요?
-
예비 1번인데...
-
사과게임 1
뇌 빼고 했더니 막혔어요 이거 너무 어려워요
-
연세대쓸걸 1
뱃지하나날렸네
-
이거 무조건 건대임?? 사과대융합이라 응용통계 쪽으로 빠질 생각이었는데… 차이가 많이 나나?
-
사실 추가모집까지 끝나야 진짜 끝난거임 ㅋㅋㅋㅋㅋ
-
교육청 모고, 6월 9월까지 아무 예고 없다가 수능 날에 갑자기 어둠의 경제단들...
-
지거국 컴 예비 9 -> 6 -> 2 -> 2 -> 전추 정원 13명, 작년에...
-
ㄷㄷㄷㄷ
-
개발자로 일할수도 있나요? 코딩 개인적으로 더 공부해서
-
제발 지금 예비 5번인데 6시 마감이잖아 원래 이 완전 직전 타임에 많이 빠짐?...
-
도대체 이 분은 몇 명을 악의 구렁텅이로 이끄는거임? 3
도대체 동치로 나오는 키워드 찾아서 풀리는 추론 문제가 있음? 닉슨쇼크 이후...
-
냥대 인칼 혹시 지금 몇 점까지 돌았는지 상황 아시는 분 계신가요??
-
으흐흐
-
방금 풀어봤는데 24점 나옴 족된거임?
-
한양대 물리 1
15명 뽑고 예비2번인데 가능성 있을까요? 냥대 전추
-
중앙대 도계부 0
빠지시는분 있나요??
-
한번만 더 물어봅니다..
-
서강대 전추.. 6
됐습니다.. 응원해주신 분들 다들 감사핮니다..ㅠㅠㅠㅠ
-
2의7승까진 문제에서도 자주 나오니까 자연스레 기억나는데 2의8승부턴 잘...
-
투과목 해야되나 0
현역으로 고대 높공 합격했는데 서울대 전전이 너무 가고 싶어서 반수할 예정 현역때,...
-
한양대 신소재 7
전화추합 돌고 있는거죠? 혹시 빠지시는 분 있을까요 냥대 전추 추가합격 마지막날
-
계산이 안되는데..
-
브크+문학론어떰 1
ㄱㅊ나요
-
아아아악 아아아악 예비 1번인데 아아아아악 전화가 안와 빠질만한 사람이 없었나 아아아악
-
ㅈㄱㄴ
-
서강 앞에 친구가 1순위지원 거기로 넣었던데 얘 빠지기만 하면 바로 저라서......
-
감사합니다 크럭스
-
1시간 준다. 0
세종 ai로봇 안빠지면 나 어떻게 될지 모른다.
-
설전정 - 설컴 6
둘다 안정이고 코딩 어느 정도 잘하면 님들은 어디 갈 거 같음?? 이유도 같이 적어...
-
울었어
-
사과게임 4
예전에 세웠던 최고기록이에요 150점 이상은 도저히 제 능력으론 안 될 것 같아서 포기
-
놀러가거나 좀 중요할때만 껴볼까 싶기도 하고
-
갑자기 말걸더니 번호 줄수있냐고 하는데 살면서 이런일 처음생겨서 당황스러움
-
ㅆ!발 그놈의 A보다 B 이걸 실수하네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을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나 예비도 못받았었는데?????
-
고대 학부 교과 3
다 돌았나보네요
-
글 다시 써서 죄송합니다 궁금해서 ㅠ
-
글렀나...
-
조의 vs 전치 2
제곧내 의대 증원 여파도 고려하면 어떻게될까요
-
사탐 안맞는데 0
다시 생명 가는거 어케 생각하심?
-
음무리야
이렇게까지 반응이 없다니.. 역시 이번 글은 버리는 카드인가..

전 감사히 읽었어요좋아요 누르고 가요

감사합니다!!대대대원준
이륙하고 싶다..
헉! 이원준학파로 항상 찝찝했던 부분인데 감사드립니다ㅠㅠ
대 원 준
올라갔다

반응 없을 거라 생각했는데.. 제목 어그로 성공한 건가.. ㅎ_ㅎ스키마는 배경지식
수능 국어는 문학과 중세국어 위주로 개편
그아아아악
출판 기대 중입니다
이원준 선생님을 한번도 들어보지는 않았지만 범주, 상하 관계, 대등 관계들이 저 또한 독해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들이었기에 책에서 어떻게 다뤄질지 궁금하네요 다만 논리학 기호로 다루는 건 아직 낯설긴 하네요 ㅎㅎ
너무 감사합니다 ㅜㅜ
설명에 모순이 있습니다.
C, A, B가 각각 E가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면, C가 발생하지 않으면 "D나 F가 발생하더라도" E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뜻이 됩니다. 이는 D나 F가 E의 "충분조건"이라는 것과 모순적입니다.
오우 그러네요. D, F를 제외한다면 C, A, B가 각각 E가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고쳐야 겠네요. 지적 감사드립니다. 유명하신 분이 댓글 달아주셔서 깜짝 놀랬네요..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보다는, INUS 조건으로 처리하면 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영상 등에 설명해두었습니다.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필요조건, 충분조건
https://youtu.be/AiNqEz4yXh4?feature=shared
조건문과 인과관계(+필요조건, 충분조건) | 머리야 터져라
https://youtu.be/dMe0ekd-uwA?feature=shared

감사합니다이 부분 읽을때쯤 잉..? 하면서 왠지 등장하실거 같았는데 정말로ㅋㅋㅋ
면,한은 충분조건 야,만,도는 필요조건
아닛
이원준 학파라면 효용을 얻을 수 있는 글들 자주 써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ㅎ
갓216
브크 들으면서 포함 관계와 인과 관계의 구분이
헷갈렸었는데 덕분에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브크3세대를 듣고 있는데 살짝 스키마에 대해 설명을 자세히는 안해주시더라고요…
혹시 스키마를 정확히 이해할려면 브크2024 기초를 들어보는게 좋을까요..?? 근데 시간이 없어서 ㅠㅠ
독해분석에도이런 내용이 들어가있나요..? 이원준 브크 수강하는데 이해 안가는 부분이 꽤 많아서 이 책으로 보완 가능할까요?
네 들어가 있습니다. 보완하기에 충분하실 듯해요!
독해분석으로 공부해보고 싶은데 혹시 이 책이 원준쌤이 강의하시는 내용이 다 포함하는 상위개념인가요?
원준t 수업을 아주 예전에 들었었기 때문에 지금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예전 수업에서 다루던 논증, 인과, 이항대립 모두 다 포함하고 심화해서 다루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