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물리학에 대한 3가지 큰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980294
제가 예전부터 오랫동안 가져왔던 3가지 질문이 있는데요, 저희 학과 교수님이나 동 대학교의 물리학과 교수님께 질문을 해서 답을 얻어 보았습니다.
1. 뉴턴 법칙은 이론이 아니라 왜 법칙인가?
뉴턴 역학에 의하면 2m/s로 움직이는 판 위에 2m/s로 움직이는 사람이 있으면 4m/s입니다. 그런데 틀렸습니다
아인슈타인에 의하면 답은 3.9999...9m/s가 됩니다
제가 배우기로 법칙은 절대불변의 진리이자 전제에 해당된다고 고등학교때부터 배워왔습니다
그런데 뉴턴 역학은 완전히 틀리진 않았고 아리스토텔레스 시대를 깬 의의가 있긴 하지만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아인슈타인에 의해 알려졌습니다
근데 어떻게 감히 아직도 '법칙'의 권좌에 올라가 있는지가 의문스럽습니다
가장 설득력 있었던 설명은, 거시세계에 한정해서는 아직도 잘 해석하게 해주는 유용한 도구이기라는 설명이었습니다
2. 에너지 보존 법칙은 어떻게 법칙이 되었는가?
일반물리학 시간에 배우길 항상 측정값에는 오차가 존재하고, 레포트도 오차가 발생했을 때 그 이유를 서술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었습니다
그런데 항상 물리, 화학 반응에서 전후로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설명을 어떻게 정할 수 있었는지가 의문입니다
정말로 에너지가 무조건 보존된다 하더라도, 항상 측정값에는 오차가 생길 것이고 아무리 폐열같은 요소를 더해도 전의 에너지 > 후의 에너지 였을텐데요
좀 상상의 나래를 펼치자면, 혹시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아주아주 작은 값 만큼이 암흑물질이라던지 암흑에너지 따위로 날라가고 있을 지도 모르지 않겠습니까
'물리학에서 중대한 전제이니, 이 전제가 틀렸다고 하면 이 전제에서 위로 있는 이론들이 와르르 다 무너지기 때문에 전제가 틀렸다고 하면 안되다' 라고 반론이 가능할 듯 한데요
그러나 빈틈은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치 1번에서 뉴턴 역학과 현대 물리학에서 측정한 값이 4m/s와 3.999..m/s로 미세한 차이가 나듯이
뉴턴 법칙을 법칙이라고 불러도 될만큼의 아주아주 미세한 오차가 에너지 보존 과정에도 영향을 미쳐서, 정말 정말 작은 값이 차이가 나서 우리가 인지하지 못한다면
딱히 에너지가 100% 보존된다고 말하지 않고, 한 99.999...9%정도 보존된다고 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3. 에너지 보존 법칙은 좀 수정을 해서, 질량-에너지 보존 법칙이라고 해야하지 않는가?
2번 질문에서 이어지는데요
아인슈타인이 E=mc스퀘어 라는 것을 1900년대에 증명했는데
문제는 에너지 보존 법칙은 1800년대, 아무리 늦게 잡아도 1860년대에 정립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에너지 보존 법칙도 틀린 것은 아니지만, 수정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좀 더 엄밀하게 따지자면 에너지 보존 법칙이 아니라, 질량-에너지 보존 법칙 이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불러야 하지 않을까요
혹시 그냥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너무 오랫동안 굳어져서 그냥 이렇게 쓰는 것인지
아래는 답변 이미지. 클릭하면 더 크게 보입니다
https://ccdream.tistory.com/entry/%EC%82%AC%EC%8B%A4-%EB%B2%95%EC%B9%99-%EC%9D%B4%EB%A1%A0%EC%9D%98-%EC%B0%A8%EC%9D%B4%EC%A0%90%EC%9D%80
https://his.pusan.ac.kr/bbs/physedu/3402/639625/artclView.do
https://m.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0082&key=201908231605393988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학 문제를 풀면서 지문과 선지의 내용이 살짝 다른 것 같아도 옳은 선지일 때가...
-
궁금
-
데이트 1
-
이거 슬슬 시동거는건가요?
-
인스타에 차마 자위 중독 ㅇㅈㄹ할수 없으니까
-
ㅇㅈ 중독 3
ㅇㅈ~
-
재수생인데 0
보유금 90 정도에 용돈 50, 책 값은 따로 받는 거면 지원 ㅈㄴ 충분한 거...
-
작수는 언미물지로 32322고 3덮은 언미사문지구로 82 84 81 48 39입니다...
-
가,나 모두 읽고 문제 쭉 푸시나요 아니면 (가)읽기 -> (가)단독문제 풀기 ->...
-
아내랑 노는 중 5
-
꼴림시기엔 가만히 있어도 꼴리고 비꼴림시기엔 뭘해도 안꼴림..
-
하루에 30분씩 가볍게 하는데 오랜만에 하니 나름 재밌음
-
노래방 가는중 2
으하하
-
님드라 4
배달 음식중에 햄버거처럼 간단한거 이씀? 그냥 햄버거 시킬까
-
자위 중독 6
워딩이 왜 이렇게 웃기지
-
작수 영어 5떠서 n수하는중입니당..ㅜ듣기5개틀… 듣기는 이제 매일하려고합니다 션티...
-
올해 갈 수있으려나
-
반갑다 게이들아 12
형 왔어
-
설의 수석이라는데 내 친구 지금 알았음
-
아까 알고리즘에 뜨더라구요... 어떻게 알았지
-
후후
-
김승리쌤하고 스타일 다르신가요?
-
Be동사 생략하고 ing꼴로 나탈낼 수 있다 들었는데....그리고 맥락상 파악 쉽게...
-
어떻게 다 맞은 지문이 하나도 없냐 계속 하나씩 나가네 짜증나게
-
188 188 4
지금봤는데 신기하네
-
투데이 뭐임 4
오늘은 방금 들어왔는데 왜 69
-
대략 문닫고 들어가는 점수면 백분위 어느정도 맞아야 가능하죠?ㅠㅠ
-
만들면 안될까 오래된 생각이다
-
어흥
-
급 우울 6
뭐든간에 진전이 없네
-
아예 안 먹으면 밥생각안나는데 간식같은 저녁 믝으니까 계속 먹음
-
정시 가나다군 제도 ㄹㅇ
-
난 그냥 사학과 가서 세계각지로 여행다니다가 교사할거 같음
-
2027년 의대열풍으로 인한 사교육 과열로 인해 너도나도 실력없는 강사들이 양산되기...
-
내가 가려는학과를 깠음 공대아니면 ㅂㅅ이라던데 치킨집이나 차리라고 하던데 아
-
ㅈㄱㄴ
-
그냥 할 거 없어서 똥글 쓴건데. 상당히 당황스럽네요
-
알바비 받으면 0
헬스 끊어야지
-
철학과 갔다고 까이고 그런가요..?
-
질문해주세요 곧 대표로 교육감상 받음 ㅎㅎ
-
옆자리 한남이 자꾸 나 쳐다봐 ㅜㅜ 어떡하지ㅠ냄새도 나는거같구 이거 경찰에...
-
젭알
-
나랑 친구할 사람 11
없겠지 뭐
-
13번까지는 수능때처럼 허무하게 쉬운 문제들로 가득함 다들 BL모 많이 관심가져주세요
-
진짜 딱 1. 사학과 2. 철학과 3. 국문학과 였음 문이과 과목 다 두루두루...
-
궁금
-
약간 변형해서 냈었는데 여기서 부분점수 3점 나가서 97점 나옴ㅜㅜ
-
수업시간에 피아노 치고 노래부르던데 ㅋㅋㅋ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