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1. 책 한 권 안 읽은 사람이 수능 국어 잘본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957504
이번에는 수능 국어 칼럼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항상 세줄 요약 있습니다.**
주제는 독해력 향상을 위한 정보글입니다. 시리즈로 업로드하려고 하며, 다년간 수십명의 과외 학생들을 지도하고, 성적을 향상시킨 사례를 모았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저 역시도 삼수를 하면서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고, 그 과정에서 얻은 팁들이 있습니다. 이번 칼럼 시리즈는 이런 팁을 모아둔 것입니다. 물론, 그 팁을 학생들에게 적용했더니 성적이 향상한 경우도 있었고, 아닌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학생의 성향에 맞는 학습법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즉, 칼럼은 오로지 참고용이며, 실제 공부를 할 때에는 상황에 맞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시 개인적인 성향에 맞춰서 조언이 필요하다면 언제나 댓글로 질문 남겨주시면 됩니다. 또한, 추천하고 싶거나 궁금한 주제의 경우는 언제나 요청해주시면 기획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강조하는 부분
- 칼럼은 일반적인 학생을 대상으로.
- 개개인의 상황은 모두 다르다.
- 즉, 공부할 때 이게 맞는 방법인지 생각하면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수능 국어에 대하여
과외를 시작할 때 항상 하는 말이 있습니다. 수능 국어는 ‘똑똑한 사람’을 찾기 위한 시험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수학이나 다른 과목도 그렇지만, 생각을 ‘깊게’ 하는 사람이 잘 보는 시험입니다. 수학은 굳이 ‘깊게’ 할 필요는 없고, 오히려 직관적인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국어는 생각을 깊게 한다고 했는데, 선천적으로 국어를 잘 하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많은 책을 읽은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책도 많이 읽고, 교양도 많으며 지식도 많은 학생은 수능 국어를 원래 잘 합니다. 그런데, 그렇지 못한 학생도 잘 봐야 하는 것이 수능입니다. 제가 그랬습니다. 책은 아예 손에 대지도 않았고, 도서를 구매해도 표지를 감상하는 정도에서 끝났습니다. 학창시절 독후감은 무조건 줄거리를 이용해서 작성했습니다. 그러다보니, 현역수능에서는 5등급 받고, 현역 3모에서는 7등급 나왔습니다. 그랬던 사람이 수능 백분위 100나오고 수능 국어 저자를 하고 있는거 보면 세상일은 아무도 모르는 것 같습니다. 아무튼, 수능 국어를 책 한권 안읽은 사람이 잘 보는 방법을 다룰려고 합니다.
다시 말해, 수능 국어를 잘 보기 위해서는 ‘똑똑한 사람’이 되어야 하지만, 1년도 안되는 수험생활기간동안 똑똑해지기는 쉽지 않습니다. 즉, 우리는 ‘똑똑한 척’을 해야 합니다. 똑똑한 사람들이 글을 읽는 듯이 읽어야 하고, 똑똑한 사람들이 문제를 풀듯이 풀어야 합니다. 그런 행동 요령을 파악하고, 이를 따라가다보면 자연스레 성적은 올라갈 것입니다. 이렇게 설명하면 쉽게 느껴지겠지만, 중요한 쟁점은 ‘얼마나’ 따라할 것인지와 ‘무엇이’ 부족한 것인지입니다. 국어를 잘 하는 사람은 100% 따라할 수 없습니다. 사람마다 머리의 구조도 다르고, 배경지식도 다릅니다. 독해력을 올린다는 말은 단순히 읽는 능력 뿐 아니라, 요령껏 읽을 수 있다는 말이고, 그 요령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칼럼 시리즈에서는 그 요령을 하나하나 짚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제가 가장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공부를 할 때, 직접 이게 잘 되고 있는 방향인지를 스스로 ‘느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바로 다음 글로 이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똑똑한 사람이 되고 싶다고 모두가 똑똑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이게 맞는 방향인지는 계속 생각을 하며 맞춰 나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2] 앞으로의 일정
우선은 비문학에 대한 내용을 먼저 시작하려고 합니다. 제가 비문학 영역 저자이기도 하고, 비문학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성적 향상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문학은 트렌드가 많이 바뀌기도 했고, 비문학에서 반응이 좋으면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간혹가다가 수학에 대한 내용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우선은 비문학으로 최대한 다양한 내용을 넣고, 질문이 많으면 질문도 한번에 모아서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최종적으로는 이 내용을 교재로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교재 구매자들은 칼럼 모아둔 페이지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주제 목록(업데이트 예정입니다)
- 템포 조절의 중요성
- 1문단의 중요성
- 문단간 연결하기와 질문하기
- 빡셀때의 판단(그읽그풀과 구조독해)
- 디테일한 정보 미루기와 나올 부분 예상하기
- 지문 잘라보기
- 선지 판단할 때의 원칙
- 기출의 중요성
- 인강의 활용 방법과 N제의 활용 방법
- 배경지식과 독해력에 관하여
- EBS 연계에 대하여
- 오답노트 작성법과 지문 노트 작성법
칼럼 목록
교재 홍보글: https://orbi.kr/00067783447
독서 연계대비 하는 법: https://orbi.kr/00067798227
2025 수특 독서 총평: https://orbi.kr/00067805608
독서 연계 공부법: https://orbi.kr/00067816815
**3줄 요약**
- 앞으로 국어 비문학 칼럼을 올리겠습니다.
- 과외를 하며 느꼈던 부분을 정리해서 올리는 것입니다.
- 구독과 좋아요,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질문 대환영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얼마나 차이날지 궁금하네영
-
남동생 완전 폐급이라 가도 현지에서 취직 못하고 돌아올거 같은데 그래도 괜찮나?...
-
1.2.
-
e^(1-x^2)
-
2. 그 존재는 좋은것과 나쁜것을 안다 3. 좋은것은 좋은것끼리, 나쁜것은 나쁜것끼리 배치한다
-
열심히챙겨봤자갈수있는곳이바뀌지않는게나를너무무기력하게하고 몰라ㅜ그냥 나는 갱생 가능한...
-
그걸 못하겠네 끊어야할게 너무 많다
-
지금 수과탐은 수능봐도 못해도 1뜨는 실력입니다.(미적,물리,지구또는 생명)...
-
저녁 ㅇㅈ 5
기네스 흑맥
-
특정 단어 들어가잇으면 걍 조회수 개 찍혀잇네 모밴 의미가 없음
-
똑같이 미불점 개수인데 수학교육 수리는 3번합성했고 농대 약대는 2번합성함
-
후무후뮤
-
커뮤니티에 어쩔 수 없이 서식하는 듯 유튜브보단 덜하다 생각
-
진짜임 이번엔 뭔가 다름
-
잔다 3
잘자
-
몰랏네요 저도 중간고사네요
-
빠르게 슉슉 했는데도 생각보다 잘그려져서 놀람요
-
세계사 분량 5
세계사 동아시아(송 원 명 청)까지 하면 어느정도 한건지 알 수 있을까요?
-
솔직히 나는 인턴한셈 안쳐주냐; 옯에서도 저년 언제까지 이거할지 궁금하겠다
-
실검 1위가 ''정시''
-
자기는 어그로를 끌려고 한다를 온몸으로 표출하면서, 재미도 없다라 좀 심하네
-
왜케 멍청하지 고딩 때 공부좀할걸 나 진짜 수능 그따위점수 맞고 먼 생각으로..뮤슨...
-
차례대로 삼국지 통일한 진옛날 진옛날 진북위고구려야요이 문화 기원전...
-
특히 그 찌그러진 개구리프사 요즘은 모르겠는디 기벡문제 해설보면서 기르가즘을 느낌
-
87+78 이런거 볼 때 자릿수 뒤바뀌어잇으니까 11의 배수임 뒤에만 더하면...
-
30번은 쓰기가 싫어짐
-
우리좀그만볼까?
-
이제 새로운 프사로 바꿀때가 왔다
-
너의 페임 나의 자랑 세계를 무대로 다시 만납시다
-
진짜로
-
ㄹㅇ임...
-
유심황 발렌타인님
-
박광일 듣다가 강민철로 갈아타려는데 작수 4등급따리면 강기분부터 듣는게 맞음?...
-
?
-
수선을 으악!하고 내리면?..뉴런 기하와벡터중
-
쇼미 노래 좋아하는데..
-
저는 대머리입니다 감사합니다
-
어떻긴 똥이나 싸러가
-
n제가 마구 쏟아져요….
-
하..
-
흠
-
뭔가 오르비가 되게 내편같다 현역 고3 기요미들 밖에 안보여
-
존나 피곤해서 공부가 되겠나ㅜ이거
-
전 아직 이미지를 사진처럼 찍어 외우는 경지엔 못 올라서... 글자가 아니라...
-
병신이랑 사는게 10배는 불행하다 나는 병신으로 살아야겟다 걍
-
아오 skt 1
지들이 잘못해노코노코 나중에 소비자 탓탓 하려고 책임전가하는게 너무 눈에 훤히 보임...
-
수특독서랑 리트지문중에 시간상 하나만 풀어여할거같운데 무ㅏ가 더 퀄 좋나여
-
교실에서 소리지르는건 뭐지 뭐 들뜨는건 인정한다만 목소리 크게 대화한다 이게 아니라...
-
과탐 걍 귀찮네 1
배경지식으로 봐야지 뭐
-
중간고사 수학 30점대 29
정시ON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