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극의 인문학, 뇌과학은 미래다!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오픈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931994
휴 오늘 대학교 중간고사가 끝났습니다. 진이 다 빠지네요 ㅎㅎ
지난 4월 20일 토요일 서울대 뇌인지과학과에서 하는 오픈랩에 다녀왔습니다. 딱 1주일만 이후에 열었으면 시험도 끝난 상태에서 여유롭게 가서 좋았을텐데, 왜 하필 시험 2일 전에 여는 건지.... 게다가 대학교 중간고사 기간은 거의 다 비슷비슷할텐데(설문조사에서 컴플레인을 적고 왔습니다)
저는 학부가 재료공학으로(동국대 에너지신소재공학과. 작년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에서 올해 에너지신소재공학과로 학과명 축소) 하드웨에 대해 주로 배우는 학과입니다. 그래서 다른 공대와 달리 프로그래밍은 단 1!도 안 배우는 그야말로 전자공학과와의 대척점에 있는 학과입니다. 그런데 저는 현재 뇌과학 대학원으로의 진학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 스토리를 조금 들려드리겠습니다.
사실 저는 작년까지만 하더라도 대학원을 가고 싶지만(미국 유학), 구체적으로 대체 무슨 학과를 갈 지 정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제가 호기심이 정말 무궁무진! 하거든요. 제가 대학에 오고 나서 정말 다양한 학과의 수업을 들어봤는데, 교육학 수업을 들으면 교육학에 대해서 깊이 파고 싶고, 철학 수업을 들으면 철학을 하고 싶기도 하고, 심리학 수업을 들으면 심리학을 전공하고 싶기도 했었습니다. 제가 독해력에 대해서 큰 자부심과 자신감을 가지고 있잖아요? 심지어 이과이지만 언어학을 전공해볼까 싶기도 했었습니다.
그러던 중, 과거 어떤 학생이 보낸 이메일이 문득 떠올랐습니다!
부끄럽게도 이 쪽지를 보기 전까지 피아제라는 사람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었습니다. 이 쪽지는 제가 최초로 그간 제가 풀어내던 '교육'에 관련된 컨텐츠를 '뇌과학' 관점에서 보기 시작한 계기입니다.
확실히 이후부터는 뇌의 관점에서 교육이 궁금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느낀 교육학의 한계점은, '감각과 경험에 의존'한다는 것입니다. 분명 우리는 어느 정도 수준에서 뇌과학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제가 뇌과학을 전공하지는 않았지만 뉴런, 시냅스, 알고리즘, 지능지수 정도는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구체적으로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려운게 바로 교육이라는 것입니다. 교육은 질적인 면과 양적인 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단편적으로 IQ시험이나 각종 모의고사를 개발한 이유가 잘 보이지 않는 사람들의 능력을 수치화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대표적으로 IQ검사는 세계 1차대전부터, 군인들에게 요구되는 최소한의 지능 수치를 검사하기 위한 시험이었죠.
그러니까 아직은 우리가 뇌에 전극을 직접 꽂아버려서 IQ를 안다던지, 뇌에 들어있는 용량이 컴퓨터처럼 몇 기가인지 등을 알 수 있는 길이 아직은 없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성적이 좋다고 해서 개인의 잠재적인 역량이라던지, 향후 발전 가능성이라던지 질적인 요소를 평가하고 예측할 방안이 거의 없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전 뇌과학이야말로 '궁극의 인문학'이 되리라 예상합니다. 경제학, 심리학, 사회학, 철학, 교육학 등등 모든 인문학에서 궁금해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뇌에서 나오는 결과물입니다. 우리는 그 현상과 행동 결과들을 보고 추론하고 관찰할 뿐이지요.
하지만 나중에는 정말 뚜껑을 열어서 바로 볼 수 있다면? 인간이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구체적으로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면서 그 개개인의 다른 개성적인 뇌에서 어떤 역량이 얼마나 발휘되는지 알 수 있다면? 아마 혁명일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거꾸로 어떻게 하면 주요한 역량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늘릴 수 있는지 알 수도 있겠죠!
그러던 와중에 제게 가장 큰 영감을 준 책이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의대가 있다고 알려진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신경과학으로 연구를 하시는 대가 '이대열 교수'의 '지능의 탄생' 입니다.
이 책을 읽고 하도 감명을 받아서, 이대열 교수님께 직접 이메일을 적어서 좋은 책 감사히 잘 읽었다고 인사를 드리고, 혹시 대학원생을 뽑으시는지 여쭈어보았습니다. 아주 흔쾌히 친절히 이메일에 답장을 해주셨고, 언제나 talented 학생을 환영한다고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주셨습니다. 그래서 전 지금 목숨을 걸고 이대열 교수님 랩실에 가려고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대열 교수님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시다면, 뇌과학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다면 아래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TnC65hL9n7U&ab_channel=tvNSTORY%ED%8B%B0%EB%B9%84%EC%97%94%EC%8A%A4%ED%86%A0%EB%A6%AC
저는 많은 학생들이 뇌과학을 전공하거나 최소한 공부라도 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어 저는 문과인데요? 저는 경제학과인데요? 저는 인문사회학부인데요? 라고 하실 수 있지만 핑계에 불과합니다. 당장 위에 이대열 교수님은 경제학과 출신입니다. 경제학의 대전제가 무엇이죠? 인간은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대열 교수님이 보시기에는 인간이라는 것이 별로 합리적이지 않은 것 같았답니다. 그래서 실제로 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길레 어떻게 선택을 하는지 연구하는, '신경경제학'이라는 학문을 공부하고 계십니다.
제가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오픈랩을 다녀왔다고 했잖아요? 이대열 교수님도 말씀하시길 뇌과학은 어떤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서 무궁무진하게 다양한 도구가 필요로 하고, 그래서 학생들의 배경과 전공도 무궁무진하게 다양하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당장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대학원생들의 학부 전공을 보았는데요, 생물학과 전자공학이 대체로 많긴 한데 저 같은 재료공학부부터 철문학, 심지어 철학, 예체능까지 다양하게 포진되어 있었습니다.
마지막 수능 만점자 여학생이 의대를 가면서 뇌과학을 공부하고 싶다고 했었죠. 그만큼 뇌과학은 핫한 분야이기도 하고, 원래는 생물학과 의학에서 파생된 학문입니다.
실제로 서울대 뇌인지과학과를 보니까, 의대 출신 교수님도 있더군요. 궁금해서 물어보았습니다 비의대 출신 교수님들과의 특별한 차이점이 있는가 뭔가 관점의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서요.
이인아 교수님이라고 학과장님께서 친히 설명을 해주셨는데요, 의학의 경우에는 임상이 중요해서 일단 원리를 모르더라도 치료하는 것에 집중한다고 합니다. 일단 의대 출신 교수님들이 뇌과학을 하는 경우 다양한 임상 자료, 실제 환자 진료 기록 데이터에 접근하는데 용이하다고 합니다. 불이 나는 원리를 모르더라도, 일단 뭔가 불이 났으면 무언가라도 끼얹어서 불을 꺼야겠죠. 그래서 의대 쪽에서 접근하는 뇌과학은 치료 중심이며, 실용성에 좀 더 가중치를 둔다고 합니다. 우울증 등의 정신병이 유발되는 기작을 정확히 모르더라도, 어떻게 처치하고 치료할 지는 알아야 하는게 의대에서 접근하는 뇌과학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저는 좀 무책임한 말이기도 하지만, 한국에서 의대로 가는 우수한 인재들이 의사가 되는게 아니라 뇌과학을 했으면 좋겠다는 개인적인 바람이 있습니다.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분야입니다.
왼쪽이 이인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학과장 교수님
뇌라는 것은 워낙에 복잡한 것이라서 엄청나게 다양한 질문이 제기되기도 하고, 또 응용 가능한 분야가 정말 무궁무진하기도 합니다. 당장 저처럼 교육학적인 관점에서 뇌를 접근하기 싶기도 하고, 마케팅 분야에서는 대체 사람들이 언제 소비와 구매를 선택하는지 구체적으로 뇌의 관점에서 알고 싶어 합니다. 그 외에도 요새 핫한 AI도 뇌과학과 밀접한 연관이 있고, 의대 교수님들처럼 아직 밝혀지지 않은 다양한 정신질환의 근원과 치료법을 알고 싶기도 합니다.
주요 방법론으로는 통계학, 프로그래밍, 신경과학, 심리학 등의 지식과 테크닉이 필요로 합니다.
그래서 저도 아직 이 4가지 과목들을 잘 못해서(말했듯이 재료공학은 하드웨어 집중 학과로, 소프트웨어 집중 학과인 뇌과학과와는 거의 대책점에 있습니다. 중간고사가 끝나도 쉬지를 못해요...)
당연히 서울대 말고도 뇌과학이나 심리학을 개설한 대학은 꽤나 많이 있습니다. 뇌과학에 대해서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라는 아주 유명한 회사도 있고 할 이야기가 많은데 너무 길어져서 여기서 그만해야겠네요.
궁극의 인문학이자, 궁극의 과학이자, 모든 인간의 근원! 여러분도 뇌과학에 대해서 최소한의 호기심을 가져주시길 바라는 마음에 글을 써 보았습니다~
0 XDK (+1,000)
-
1,000
-
더프 소신발언 0
아 내가 못봤기 때문에 평가원스럽지 않다고 ㄹㅇㅋㅋ
-
공부 시작한지 한달된 반수생인데 이게 맞나 수능 올 1이 목표였는데 자기객관화 하고...
-
자꾸 비도표 문제에서 의문사 하나씩 나가는거 시발 어떡하지 진짜;;
-
미친 더프 0
언매 75 언매에서만 10점나감 매체도 틀; 미적 76 영어 75 사문 47 생명...
-
ㅈㄱㄴ 화작임
-
머지 진짜
-
이제 개념 1회독차라 현돌 실개완이랑 현돌 기시감 둘이 병행하면서 리밋 필기한거...
-
시발내가7교청1등급이였는데갑자기62점으로줄없는번지점프는개에바잖아ㅅㅂㅅㅂㅅㅂㅅㅂㅅㅂㅅㅂㅅㅂ
-
보정 22 될까요…?
-
정법 ㅅㅂ 1
1번 오류난거는 둘째치고 손끝을 바늘로 찌름 —> 상해죄인거 나만 납득못함 ??...
-
아니 7덮 지학 1
6평 47 7덮 28점인게 말이되나요 풀고 너무많이틀리던데 지학 안어려웠어요 다들?
-
7덮 영어 2
작6급임?
-
그냥 다니쟈~ 2
응~
-
화작기준 보정1컷 90중반대임??
-
언매-#8,37 미적- 영어-#32,34,41 화학-#13 생명-#17,#19 과탐 에이징커브
-
83 92 100 50 50 언미화1생1 백분위도 예상해주세요! 더프 수학 생1
-
ㅈ됨 ㅅㅂ
-
李 대통령, 여가부에 특명 "'이대남' 차별 연구해 대책 만들라" 2
이재명 대통령이 이른바 '이대남'(20대 남성)들이 겪는 차별 문제를 연구해 대책을...
-
언미영물지 81 73 2 35 37 6모 31132이고 2주전부터 국어 5시간 수학...
-
학프때문에 일욜에 보는데
-
씨발!!!!!!
-
수학 ㄹㅇ 뭐지..
-
근수축 맏혀서 목풀고 나머지 5문제는 찍듯이 푼거같은데 정신병올거같다
-
7덮 화작 92 1
다들 국어 어떠셨나요,,! 화작 92점이면 몇등급일까요,,??
-
진짜 뭔가 뭔가임...
-
아늬 15번 20분을 박았는데 ㅅㅂㅅㅂㅅㅂ
-
7덮 4
언매 74 미적 88 영 3 물1 36 화1 47 8덮엔 반드시 이거보다...
-
사탐 배운적없는 사람한텐 오바죠? 2등급 언저리임 현적대가 연공이라 최소...
-
7덮 지구 2
31인데 사탐런하는 게 나음? ㅎ ㅏ ..
-
시발점 수1 하는 중인데 시발점step 2가 너무 어렵습니다 3문제 빼고는 못...
-
경제 재밌다며 2
경제만 풀어볼까
-
7덮 국어 1
비문학 2개 틀 문학 7개 틀……문학 어떻게 잘하는 건데 ㅠㅠ 심찬우 생글 듣는 중임
-
수학 84 정법 50 경제 38이에요~~ 경제 한번만 더 이렇게 내면 더프 안봄 앞으로
-
더프 생명 1
왜 생명 아무말도 없죠 나만 어려웠나
-
객관적으로 슈능 1컷 88인가요? 85? 전 84 같긴한데..
-
이번 7덮 노찍맞 38이면 ㄹㅇ 실력오른거 맞지?
-
7덮 결과 2
화작 83 미적 84 (12번을 틀리냐 ㅅㅂ..) 영어 3 화학 44 지구 50
-
화작 확통 생윤 사문 하
-
7월 더프 결산 0
국어 95 (7번 의문사, 38번 ㅅ발 언매 작작쳐틀려라) 수학 73점 (22번...
-
외모vs학벌 8
20대 초반 여자분들, 댓글에 의견부탁 내 친구랑 이거 가지고 50분 언쟁함. 물론...
-
영어 2등급받음 4
내인생에이런날이오다니 씨발
-
길고양이 핥기 8
-
그래그래
-
백호 한종철 0
고2이구요 내신과 수능 대비해서 방학때 유전을 할라구 합니다 백호쌤 상크스로...
-
다들 개념 암기 하시나요? 이해 -> 암기 요 순서인가요 ㅠㅠ 전 이해만 하면 암기...
-
릴스 보다가 갑자기 화남
-
걔는 96점인데 난 80나옴 ㅅㅂ 존나어렵던데 어땟음
-
언미영 생1 화2 건대탈출가능?
-
141528이 다 찍어서 맞힐 수 있게 설계돼서…
-
29점인데 시발 개ㅈ창난건가….하…….. 2,3,4,5 다 나갔는데 이새끼 원래 이래?
제목부터 와닿았는데 내용 또한 그렇군요. 심리학과 뇌과학에 관심이 많은지라 흥미롭게 잘 읽어보았습니다 :) 지금도 제 옆에 뇌과학 책이 있네요ㅎㅎ 추천해주신 책도 살펴보겠습니다
뇌과학 << 상방 끝판왕인데 언제 터질진모름
헐 선배님이시네...
오 그래요? ㅎㅎ
저희과 괜찮죠...?
1학년이라 전공은 1도 모르긴 하지만
그럼요 ㅎㅎ 혹시라도 궁금한거 있으면 편하게 쪽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