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글) 선진국이 된 한국이 나아갈 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929125
기쁜 소식이 한 가지 있다. 올해 한국의 1인당 명목 GDP가 일본의 1인당 명목 GDP을 추월했다. 즉, 이제 한국은 일본보다 더욱 잘 산다는 것이 확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각 나라의 국민들이 생활 수준을 나타내는 1인당 구매력 지수의 경우에는 대한민국은 2010년대 후반부터 일본을 앞지르기 시작하고, 그 격차를 점점 벌려 어느세 서유럽 국가들이랑 비슷해졌다. 올해 한국의 구매력 지수가 영국의 구매력 지수를 앞지르고, 2년 뒤에는 프랑스마저 앞지를 것으로 예상된다.
인간의 발전 정도를 평가한 인간개발지수(HDI) 역시 일본, 프랑스, 미국 같은 전통적인 선진국들과 비슷하다.
민주주의의 수준을 나타내는 민주주의지수 역시 미국, 프랑스랑 비슷한 수준이다. 즉, 한국의 민주주의의 수준이 전통적인 선진국들과 비슷할 정도로 잘 자리잡았단 뜻이다.
"한류"라고 불리는 한국 문화 역시 무시못할 정도로 영향력이 강하다. 중화권이나 일본, 동남아에서 한국 드라마가 자주 넷플릭스 1위를 차지하는 건 이제 당연하게 여길 정도이다.
중진국 함정도 잘 극복하면서 선진국 진입에 성공하였다. 또한 이제 아시아에선 일본에 이은 문화 강국이 되었다.
"우리도 잘 살고 싶다."라는 다짐 하나로 여기까지 올라왔다. 이젠 확실히 선진국이 되었다.
이제 국제 사회는 한국이 선진국답게 행동하길 원하고 있다. 선진국 흉내를 내던 90년대~00년대와 다르게 20년대의 한국은 확실한 선진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지금 선진국으로 자리잡은 대한민국이 해야 할 일은 지금까지 경제 성장을 하느라 신경쓰지 못했던 다른 의제들을 신경써야 할 때란 것이다. (노동, 복지 같은 것들...)
그리고 사회 분위기가 좀 더 자유로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여유로운 사회 분위기가 필요하단 것이다. 한국이 경직된 사회 분위기에서 벗어나야 건강한 사회가 형성되어 더욱 발전할 수 있다. 그리고 사람들 역시 지금보다 행복해질 수 있을 것이다.
수평적이고 유연한 사고방식 역시 사람들의 행복 및 사회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다. 앞으로 더 나은 미래를 바라며 이 글을 마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님 수특 그대로인가여 변형 풀어도 대비는 되는거겠지욥...첨이라 이런게
-
화미생지 제발...
-
내 맘대로 앉고싶은데 앉으려고 했는데 감독관이 자리 지정해서 앉고싶은데 못앉음 이게...
-
시즌1 44-47 진동 시즌2 30점대 계속 나옴(4페이지 정신나감) 시즌3...
-
특정 지문은 문장이 머리 속에 이미지로 남으면 이해가 되는데, 예를 들어,...
-
널 갖겠다
-
대가리에서 우웅 우웅 하는 소리가 나고 어지럽고 디질거 같음 눈 앞에 윽건이 형이 아른거림
-
내년 수능을 목표로 군수를 시작했습니다. 22수능을 봤었고 254255 나왔습니다...
-
수학을 가장 열심히 함 ㅋㅋ 국어가 더 급한데
-
마감일 직전에 벼락치기 한거라 수기 개 날려썼는데 설마 안되진 않겠죠... 제발..
-
당황
-
어느정도 수준인가용….
-
딱 요런느낌이구만
-
근거는 ㅈ도 없음 공부도 안 하고 일주일평균 스크린타임 10시간인데 걍 오늘 갑자기...
선조들의 피땀으로 일구어낸 국가지만 전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른 고령화 속도와 역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심각한 저출산으로 추락이 확정되어 있다는 것이 비통하다.
역으로 한국이 쇼케이스용 나라인걸수도있죠
imf도 그렇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