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사실 함수가 특수한 경우를 직관적으로 찍는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859076
수학적으로 정확한 답이 되는 경우가 실제로 있음
라플라스 방정식처럼 같은 조건에서 해의 존재성과 유일성이 보장된 경우에는
그냥 찍더라도 결과만 맞으면 수학적으로 완벽한 해법임
그만큼 존재성과 유일성은 수학에서 매우 강력한 조건 이라는 뜻
수능 수학에서는 유일성이 수학적으로 보장된건 아니지만
어쨌든 답은 하나로 정해져 있으므로 때려맞히는 방식이 나쁘다고는 할 수 없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증을 어케함 6
무서워서 못함 ㄹㅇㅋㅋ
-
흐음 아침엔 국어를 해야하는데..
-
지금 몸에 파스 정도 크기의 상처가 있네 머같
-
옯만추썰푼다. 4
해봤겠냐고 ㅋㅋ
-
팔로워는 걍 초중고 잘 나왔으면 200은 되던데 다들 6
많은 친구들은 한 400? 저도 250언저리임
-
나이스!!
-
옯창인가요?
-
어디가심
-
할 만함..???
-
사아 밍밍타하 12
츄우야카쿠텐
이러면 또 “아하 엄밀하지 않아도 되는구나!”라고 생각하는 친구들이 나타나서…
그거는 안되죠
이런 풀이는 경험이 많은 1등급 상위권 전용
전 개인적으로 1컷 걸치는 친구들까진
케이스 분류 해서 연습 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근데 확실히 이거겠다!하고 찍고 들어가는 게 시간 단축이 많이 되긴해용
범위 구분해서 케이스 분류하는 문제중에
딱 한가지만 나오는 상황이면 특수 케이스 때려넣으면 금방 나오긴 하죠
물론 그러면 틀릴까봐 불안하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