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사실 함수가 특수한 경우를 직관적으로 찍는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859076
수학적으로 정확한 답이 되는 경우가 실제로 있음
라플라스 방정식처럼 같은 조건에서 해의 존재성과 유일성이 보장된 경우에는
그냥 찍더라도 결과만 맞으면 수학적으로 완벽한 해법임
그만큼 존재성과 유일성은 수학에서 매우 강력한 조건 이라는 뜻
수능 수학에서는 유일성이 수학적으로 보장된건 아니지만
어쨌든 답은 하나로 정해져 있으므로 때려맞히는 방식이 나쁘다고는 할 수 없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
-
2과목 고른사람은 1과목만고른사람이랑 다르게 고사장이 배치되나요?
-
해시태그 0
-
강k 16회 19번인데 ㄱ이 이해가 안됨 ㄴ은 맞고 ㄷ은 틀려서 3 찍해서 맞음....
-
해시태그 0
어케 설정해요?
-
고2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요.. 제발 조언부탁드립니다 0
국수영 차례대로 3모 333 6모 432 9모 333 나왔고 내신도 일반고 3점대...
-
뭐냐
-
근데 오르비언들은 다 존잘이자나? 그럼 상관 없는거 아닌가 존잘남들 귀여워
-
잘자용>< 2
낮에 3시까지만 자고 스카 가려했는데 5시에 깨서 결국 지구괴학 못했다..
-
내일맛있는거사먹어야지
-
이해원엔제 시즌1 공통이랑 설맞이 공통중에 난이도 어떤게 더 쉽나요??
-
1컷 -2초 왔다갔다합니다 쌓아놓고 그냥 벅벅 풀 사설 실모있을까요??? 사설은...
이러면 또 “아하 엄밀하지 않아도 되는구나!”라고 생각하는 친구들이 나타나서…
그거는 안되죠
이런 풀이는 경험이 많은 1등급 상위권 전용
전 개인적으로 1컷 걸치는 친구들까진
케이스 분류 해서 연습 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근데 확실히 이거겠다!하고 찍고 들어가는 게 시간 단축이 많이 되긴해용
범위 구분해서 케이스 분류하는 문제중에
딱 한가지만 나오는 상황이면 특수 케이스 때려넣으면 금방 나오긴 하죠
물론 그러면 틀릴까봐 불안하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