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캐일러 투척 8
-
질문해드립니다 2
으우.. 일하기 시러…
-
지면 최악이고 이겨도 얻을게없음..
-
하원 후 수능 후기 미리쓰기 (중략)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처음엔 해방감을...
-
히히 똥 5
히히 똥 발싸!!!!!히히
-
저는 왜 친구가 없나요 10
친구가 없습니다. 딱히 있기를 바라는 건 아니지만 대학 가서 존재감 없이 지내고...
-
“남편 기일에 큰 선물 받아”…명절에 더 그리운 가족·동료 위한 소방청 영상 1
“오늘(17일)이 기일이거든요. 누군가 그 하루라도 ‘이런 소방관이 있었지’ 하고...
-
재밌어서 공부가 안됨…공부할 때도 자꾸생각남 추석때 하루 14시간 공부하려했는데..
-
작년에는 호두랑 연의 간 사람 둘이 임팩트 말 안됐는데 올해는 그정도급은 안...
-
애니프사다죽어 19
다죽어
-
나:서강대 좋죠… 친척들이 들은말: 서강대? 갖다치워~ 서울대는 씹어먹죠
-
큰일 났나
-
우리 言語 語彙나 表記 自體가 半分 以上이 漢文에서 비롯했고, 오히려 正書法을...
-
심심하니까 칼럼을 읽어 보자
-
정규분포 빨리 계산하는거 쓰심? 아니면 걍 표준화하심?
-
소서운사실 2
이제 토요일 8번 남음
-
너무 어려운거 말고 이해원 시즌2 모고정도면 풀만해서 그정도나 혹은 그거보다 좀 더...

박…읍
하루에 국어 몇시간 하심
1 안정되고서는 하루 1시간
3에서 1 될때는 하루 한 4시간?
화작 왜하면안뎀
물수능때 너무 손해를 많이 봄
최저만 맞추먄 되면 노상관?
2개 틀렸는데 백분위 95로 1컷 간신히 맞춘적 있긴 함
평가원 믿고 화작드가자 ㅋㅋ
선택 먼저 vs 나중
본인 스타일따라
근데 개인적으로 다들 공통부터 하니까 페이지 넘기는게 신경쓰여서 선택부터 하긴 함
본인 3인데 어케올려야 할지 감이안옴
일단 심찬우 들어바여
1 안정화 영향은 어떤 파트 잡히면서 확보되심?
문학중에서 산문이라던가 독서중에서 어떤 제재라던가 언매 몇분컷 수렴이라던가
그 계기가 된 시점이 있다면
독서 내 뇌에 맞게 읽는 방법 터득하고 빡 오름
문학은 기출만 해도 천천히 오르고
언어할 시간이 없다 ㅠ.ㅠ
그렇다면 화작도 ㄱㅊ
언매할 짬이 도저히 안나서 화작하려는데 공부법 참고한거 있나요. 시간 줄이려고 특정 방식 있나요 아니면 그읽그풀 하시나요
그읽그풀하긴 하는데
나오는게 진짜 정형화돼서 나올만한 부분 손으로 네모같은거 등으로 강조해주면서 체크하면 훨 빨라져요
감사합니다 확살히 공부해서 채화하는게 도움되갰군오
심찬우 김상훈 문학 중에 누가 더 좋았는지(어떤 포인트에서) 궁금합니다. 실제로 성적 상승에 도움이 된 선생님이요
문학는 김상훈이 좀 더 와닿았음
근데 성적 올린건 스스로 올린게 더 큰듯
기출 계속 풀면서 이게 왜 답이지 고민하는게 젤 중요해서
피램 기출문제집 ㅊㅊ
유대종 들을까요 김승리 들을까요?
유대종 ㅊㅊ
노베로 시작하고 강기분 하면서 확실히 풀이가 나아지긴 했는데 글을 하나하나 이해하고 완전히 독해했다는 느낌이 안 들어요… 그래서 강기분 복습 후 심찬우쌤 들을까 고민 중인데 그냥 강민철쌤 꾸준히 커리 따라가는게 낫나요?
무료강의라도 유튜브로 찾아서 들어보고 판단하셔요
제가 결정드릴 부분은 아닌듯
독서에서 큰 차이가 나는 편인가요? 어제 1강 들어보니까 비슷한 느낌인데 심찬우 선생님이 한 문장 한 문장 왜 이렇게 생각해야되는지를 알려주는 느낌이었어요
독서 공부법이랑 시험 풀이 순서 궁금합니다!
심찬우+피램 듣고 나서는 그냥 글 읽으면서 최대한 머리만 써서 이해하되
헷갈리거나 문제에 나올만해서 돌아올 것 같은 부분은 밑줄 정도 쳤어요
시험 풀이는 화작 -> 독서론 -> 독서 -> 문학 -> 검토 했는데
화작 먼저인 이유는 위에 참고하시고
독서는 빠르게 날려 읽으면 폭망해서 시간을 어느 정도 고정으로 잡아줘야 되는 반면에
문학은 그래도 빨리 읽으려 하면 문제에 필요한 부분만 발췌독해도 돼서?
그읽그풀로 해서 되면 그게 베스트고 그게 안되면 김상훈 같은 강사들이 알려주는 툴, 그러니까 강약조절이나 비교 같은걸 참고해서 읽으시면 될듯
김승리 문학 듣다가 아닌거같아서 다른사람 문학 goat 공부방법있나요
피램 기출문제집 ㅊㅊ
김상훈 인강도 좋
국어 노베인데 질문드립니다..
1.심찬우 강의 들으면서 국어 공부중입니다 속발음에 너무 신경쓰지 않아도 될까요?? 독해로 지문을 뚫는 연습중인데 어쩌다가 속발음 관련된 글 읽고 나서 이때까지 속발음으로 독서를 풀었다는걸 알아서 뭐가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2.기출 지문을 읽을 때 내가 확실히 이해가 되었다 라는 기준은 어느정도로 잡는게 최대한 객관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까요??
3.풀었던 기출들 지문만 다시 복습해서 이미지로 사고하는 연습 여러번 반복해도 괜찮은거죠??
너무 노베라 노베스러운 질문만 했는데 시간 나시면 답장 부탁드리겠습니다.. 국어ㅜ때문에 재수합니다...
위에 말씀하신 시험풀이 순서별로 하셨을때 시간 몇분씩 잡으셨나요? 문학은 지문쭉 읽고 문제에서 막힘없이 체크체크하고 넘어가야 25분컷 내나요?
문학 기출여러분풀어보ㅓ도 실력올라가는 느낌이 전혀안들고 실제로 늘지도 않았는데 자세히 어떻게 공부하셨는지 알려주실수있나여?ㅠ
심찬우랑 피램 같이 병행 추천하시던데 대충 어떤식으로 병행하셨나여 찬우쌤 에필로그 대신 피램하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김상훈t 문학론이랑 유네스코 병행 / 피램기출로 독학 중에 어떤 걸 더 추천하시나요?